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성인학습 관점에서 본 필요성 및 접근 방안 탐색

        김병건 ( Byung Keon Kim ),박유정 ( Yu Jeong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1

        전문가로서의 특수교육교사는 다양한 학생의 학업성취와 생활지도 등에서 복잡하고 전문적인 역할 수행 및 책임을 지니며, 끊임없는 교육정책과 새로운 교육방법 등의 출현으로 인해 성인학습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된다. 이로 인해 특수교사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현재 유아특수교사를 위한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주요 전문성 발달 접근을 탐색하여 교사발달 프로그램의 향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전환학습이론(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로서 특수교사의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전문성 발달의 필요성과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끝으로, 유아특수교육의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의 향상을 위해 구체적인 전문성 발달의 방향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한다.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expertise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intensive, encompassing more responsibilities with more diverse group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roles and responsibilities have been driven by changes in educational policies, practices, and values, requiring them to be more knowledgeable about curriculum, disabilities, and interventions in specific areas. Accordingly, the expertise required to effectively fulfill such roles has grown, it is essential that teachers participate in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PD) that provides them with opportunities to deepen their knowledge and keep teachers up-to-date on new knowledge and approaches.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improve a PD institute/program, this paper aimed to offer alternate, promising PD approaches that increase teachers` knowledge and expertise in practice. Also,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as applied as a way to increas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lf-directed and proactive learning and application of PD contents and knowledge to their classrooms. Finally, the authors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better implementations of PD and research.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웹 접근성 실태 및 분석

        김성완(Kim Sung-wan),김병건(Kim Byung-keon),정동훈(Jeong Dong-hoon),채희태(Chae Hee-tae),박종화(Park Jong-hwa)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웹 사이트 및 웹 서비스의 접근성 준수 실태를 분석한 후,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웹 사이트 및 웹 서비스 구축과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 및 종합하고 장애인 온라인 정보 접근성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평생교육 관련 20개 기관의 홈페이지 또는 웹서비스의 접근성 수준을 자동평가 한 후, 이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3인의 수동평가를 실시하여 웹 접근성 실효수준을 파악하였다. K-WAH를 활용한 자동평가 결과,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율은 인식의 용이성이 가장 높았고, 운용의 용이성 및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순으로 나타났다. OpenWax를 활용한 자동평가 결과, 오류 없이 검사항목 모두를 준수한 사이트는 20개 기관 중 3개에 불과하였다. 그 다음으로 WAVE를 이용한 자동평가 결과, 6곳에서만 오류 항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평가 항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수동평가를 실시한 결과, 웹 접근성 준수율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장애인 평생교육 사이트 구축 및 운영에의 시사점으로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보편적 설계를 고려한 콘텐츠 개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One Web 원칙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web accessibility of websites and web services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propose strategic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web sites and web services for them. To this end, we analyzed and synthesi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accessibility guidelin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 contents,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accessibility of online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after automatically evaluating the accessibility level of homepages or web services of 20 institut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effective level of web accessibility was identified by conducting manual evaluation by three experts based on this result. As a result of the automatic evaluation using K-WAH,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of the web site was the highest in recognition, followed by ease of operation, ease of understanding, and robustness. As a result of the automatic evaluation using OpenWax, only 3 out of 20 organizations complied with all inspection items without errors. Next, as a result of automatic evaluation using WAV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error items in only 6 places. As a result of conducting manual evaluation for an in-depth analysis of the automatic evaluation items, it was found that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was generally poor. A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sites for the disabled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program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dis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content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and One Web principles for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we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들의 학습준비도에 관한 중재연구 고찰

        김민경 ( Min Kyung Kim ),박유정 ( Yu Jeong Park ),김병건 ( Byung Keon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기초학습 중재연구의 특성과 동향을 알아보고 기초학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된 중재들의 특성과 교수·학습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선행연구 포함/제외 근거에 따라 총 13편의 국내 학술논문이 그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대상, 중재환경, 중재 회기 빈도, 중재자, 연구 설계, 종속변인, 중재 요소 등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6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대다수의 중재가 교사에 의해 유아가 재학 중인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에서 이루어졌다. 중재 회기 빈도는 대체로 다양한 양상을 보였으며 15회기 이상 회기로 이루어진 연구들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연구 설계는 주로 단일대상연구가 사용되었고 대부분의 중재가 읽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중재 제공에서 언어적 촉진과 연습의 기회는 다수의 연구에서 실시된 것으로 보고된 반면, 강화, 교사의 시범, 놀이 관련 활동 등은 비교적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문헌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 및 장애위험유아를 위한 기초학습능력 중재연구 및 실제에 대해 논의·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e review is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designed to improve academic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ose at risk for disabilities. A total of 13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ipants, settings, number of sessions, interventionist, research design, dependent variable, and instructional components.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 most of subjects were 4-6 year-old young children, and most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he number of sessions was varied; the majority of studies included more than 15 sessions. Single-case design was widely used and most studies examined reading skills as a dependent variable. Verbal prompting and opportunities to practice were included in majority of the studies reviewed; however, few studies included reinforcements, modeling, and play-related activitie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 KCI등재

        장애인 교원 임용확대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제고

        고혜정 ( Koh Hye-jung ),김병건 ( Kim Byung-keon ),박유정 ( Park Yu-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4

        연구목적: 장애인 교원 양성 기회 및 임용기회 확대를 위한 법적·제도적 마련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 및 구체적 적용 방향은 미흡하다고 평가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교원에 대한 연구가 어떤 주제 및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교원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장애교원 관련 학술논문 30편을 분석하였다. 첫째, 장애인 교원 연구의 년도별, 학술지별 게재현황 분석. 둘째, 장애인 교원 관련 연구들의 연구대상 분석. 셋째, 장애교원 관련 연구의 연구방법 분석. 넷째, 장애교원 관련 연구의 주제에 대한 심측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교원 관련 연구의 년도별 게재현황은 미비한 수준이며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학술지는 시각장애연구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교원 당사자에 관한 연구, 시각장애교원, 중등교원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장애인 교원 관련 주제별 동향을 살펴보면 장애교원의 재직 중 겪는 교직적응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교원관련 연구는 장애교원의 양성단계부터, 임용 및 배치, 재직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활발히 시행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구체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In spite of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increased training opportunities and employment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their effectiveness and specific applications are often judge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the needs for in-depth research to solve this problem are gro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at topics and methods were adopted in studies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and providing fundamental data drawn from the examination that suggested practical supports plans. Method: This study analyzed 30 academic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First, the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status by year and journal. Second,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Third,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Fourth,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each study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ublication status of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year was insignificant and that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was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ajority of studies. As for research subjects, a lo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visually impaired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he trend by topic, the studies related to teachers with disabilities mainly address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with disabili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during their service and improvement measures thereof.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research on teachers with disabilities needed to be conducted vigorously on the entire career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from the training stage to appointment and placement, and in-service stage, and that specif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each stag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dea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