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김미배(Mibae Kim),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 중, 고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듣기 및 읽기이해특성을 살피고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듣기이해능력의 오류유형을 확인하여 읽기부진 아동의 평가 및 중재에서 확인해야 하는 언어능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 저학년(1-2학년), 중학년(3-4학년), 고학년(5-6)학년 총 83명의 읽기부진 아동과 학년, 거주지역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83명을 대상으로 듣기이해, 읽기이해 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듣기이해에서의 오류를 분석하고 읽기이해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읽기부진 아동은 듣기 및 읽기이해에서 초등 저, 중, 고학년 모두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듣기이해오류를 살펴보았을 때 일반아동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나 일반아동이 고학년에 주로 질문범위오류를 보인 반면 읽기부진 아동은 질문범위 오류와 추론 오류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듣기이해능력과 읽기이해능력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듣기이해 오류유형별 오류율과 읽기이해능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읽기부진 아동은 고학년까지 읽기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며 이것은 듣기이해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능력을 확인하여 읽기중재에 반영하며 특히 아동의 오류유형을 살펴 읽기부진 아동의 언어적 어려움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 중재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school-aged poor readers. In addition we have also identified the error patterns of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which affect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Methods: A total of 166 elementary school children (83 poor readers and 83 good readers)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lower (1-2), middle (3-4), and higher (5-6) grade groups. The tasks for identifying their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ere performed and then compared. Additionally, the errors in listening comprehension tas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relations to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Results: Poor readers in the three groups commonly presented a significantly low achievement in their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asks. As for error type analysis, the most frequent error type was question scope errors for higher grade of good readers, whereas poor readers showed question scope errors and inference error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overall listening skills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hereas no correlation was found in each error patterns for listen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oor readers in elementary schools had difficulties both in their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s even when they reach higher grades. Also, it seems to be necessary to tap into listening skills by considering error patterns as well as reading skills in order to provide an intervention program for poor readers.

      • KCI등재

        낱말읽기에서의 초등학생 음운해독력 발달

        김미배(Mibae Kim),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낱말읽기에서의 음운해독력 발달을 살펴 언어읽기장애 아동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6학년 아동 300명을 대상으로 2음절로 이루어진 낱말 68개를 제시하여 아동의 음운해독력을 측정하였다. 의미유무에 따라, 자소-음소 일치여부에 따라, 음운규칙에 따라 학년집단별로 발달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초등학교에 재학한 학령기 아동은 초등 저학년이 초등중학년, 초등고학년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무의미낱말보다 의미낱말에서, 자소-음소 불일치낱말보다 일치낱말에서 수행력이 높았으며, 불일치 낱말만 분석하였을 때에도 의미낱말에서 수행력이 더 높았다. 음운규칙별로 살펴보았을 때 된소리화 규칙이 일찍 발달하고, 비음화, 기식음화, ㅎ탈락 규칙이 초등저학년에서 초등고학년으로 갈수록 오류율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며, 설측음화와 구개음화 규칙은 초등고학년에서도 오류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아동은 학년이 증가하면서 낱말에서의 음운해독력이 발달하며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은 초등고학년까지 발달이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유무, 음운규칙 적용여부에 따라서 다른 수행력을 보이며 음운규칙의 종류에 따라 발달의 시기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언어읽기장애 평가 및 중재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decoding development in Korean children in word reading and provided guidelines for assessing and improving word reading ability. Methods: Three hundr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luding three developmental grade group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requested to read 68 two-syllable-words, considering meaning familiarity and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Six representative phonological rules in Korean word reading were measured. Results: Generally, Korean children read meaning words better than they did nonsense words and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better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First- and second-graders performed poorly compared to third-grade and higher groups. Among the six phonological rules, tensification was acquired early, during the first- and second-grades, with the rules, nasalization, aspiration, and h elision developing later. Interestingly, the lateralization and palatalization rules seemed to still be developing in all of the tested children. Discussion & Conclusions: The word reading ability of Korean children showed universal patterns in meaning dependency and grapheme-phoneme correspondence. Given that the Korean language is highly transparent in spelling, it is interesting that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were still developing decoding a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lateralization and palatalization rule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guidelines to assess and improve word reading ability.

      • KCI등재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과 예측변인

        김미배(Kim, Mibae),배소영(Pae, So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본 연구는 음운해독 부진 아동의 낱말읽기능력을 살피고 낱말읽기 예측변인을 찾아 읽기 평가와 중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3학년의 음운해독부진아동 36명과 학교,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36명을 대상으로 94개의 2음 절 낱말을 읽도록 하였다. 낱말의 의미유무에 따른 낱말읽기 수행력 차이를 살펴보았다.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을 중심으로 낱말읽기능력 예측력을 살폈다. 그 결과 음운해독부진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 기, 음운기억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고, 의미의존도가 더 높았다. 음운해독부진아동은 어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이 음운해독부진아동의 낱말읽기능력의 58.1%를 설명하였고, 이중 빠른 이름대기와 음운기억의 예측력이 높았다. 한국어 낱말읽기에서 비의미적 경로의 중요성과 빠른이름대기 및 음운기 억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전반적 언어이해력이 좋은 발달성 난독증 아동에 대한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d reading abilities of Korean poor readers based on lexical transparency and phonological process and tried to find predicting variables of Korean word reading. Thirty-six Korean poor word readers and grade and age matched normal readers of Korean 1st to 3rd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requested to read 94 words balanced in semantic transparency. Phonological awareness(PA), rapid automatized naming(RAN), phonological memory(PM) were measured in addition to lexical knowledge to find predicting variables of Korean word reading. Poor word readers showed lower word reading ability than non word reading ability while normal readers revealed no differences in semantic transparency. Poor word readers performed lower than normal readers in PA, RAN, PM, and lexical knowledge. PA, RAN, PM, and lexical knowledge explained 58.1% of word reading for poor readers and 30.4% of word reading for normal 1st to 3rd graders. RAN and PM predicted word reading of poor readers independently. Korean poor word readers seemed to be more dependent on semantic transparency than normal readers supporting dual route model in reading. RAN and PM could be valued in clinical settings in addition to PA and lexical knowledge although PA, RAN, PM, and lexical knowledge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ord read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al with Korean developmental dyslexia.

      • KCI등재

        읽기부진아동의 해독특성

        윤효진(Hyo Jin Yoon),김미배(Mibae Kim),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부진아동의 해독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읽기집단, 학년집단, 낱말의 의미 유무, 자소-음소 일치 여부, 자소-음소 일치형 낱말의 의미 유무,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의 의미 유무에 따른 해독력과 음운규칙 오류율을 살펴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1∼6학년에 재학중인 89명의 읽기부진아동과 학년을 일치시킨 89명의 일반아동 총 178명이 참여하였고, 2음절 낱말 68개의 해독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읽기부진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모든 해독과제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읽기부진아동은 초등중학년과 초등고학년 사이에 낱말해독력의 증진을 보이는 반면, 일반아동은 초등저학년에서 초등중학년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해독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읽기집단 모두 의미낱말보다 무의미낱말에서, 자소-음소 일치형 낱말보다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에서, 자소-음소 일치형과 자소-음소 불일치형의 의미낱말보다 무의미낱말에서 더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부진아동은 의미 유무와 자소-음소 일치 여부에 더 영향을 받으며, 무의미낱말과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다. 음운규칙별로 살펴보았을 때 두 읽기집단 모두 비슷한 발달패턴을 보였다. 된소리와 비음화 음운규칙에서 낮은 오류율을 보이며 일찍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개음화와 설측음화 음운규칙은 고학년에서도 높은 오류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일반아동은 초등중학년에서 해독능력이 자동화되는 반면, 읽기부진아동은 초등중학년까지 어려움을 보이다가 초등고학년에서 해독능력이 자동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해독기술이 완성되는 시기가 다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읽기부진아동은 무의미낱말, 자소-음소 불일치형 낱말 해독과제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으며, 이는 읽기부진아동이 자소와 음소의 대응 규칙을 빠르고 적절하게 대응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읽기부진아동은 음운규칙을 적절하게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음운규칙의 발달시기도 늦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달양상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nd Objec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decoding skills of school-aged poor readers. The study examined whether decoding skills differ between children who were poor rea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ross grades in: (a) word and non-word reading (b)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c) word and non-word decoding i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d) word and non-word decoding i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and (e) words that adhere to six phonological ru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89 poor readers and 89 aged-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grades 1 to 6.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1) poor readers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all decoding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2) the decoding skills of the poor readers did differ between grades 3 to 4 and grades 5 to 6, while decoding skills of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ffered between grades 1 to 2 and grades 3 to 4, (3) both reading group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word than non-word decoding tasks, the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asks,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non-word task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han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non-word tasks, and (4) the children showed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s on the acquisition of phonological rules, demonstrating that both groups acquired the rules of tensification and nasalization early in development, while they had not fully acquired palatalization or lateralization rules and illustrated high rates of errors. Discussion & Conclusion: Poor readers tend to acquire automaticity of word decoding during grades 5 to 6, whil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cquire accurate and fluent word reading skills during grades 3 to 4. Poor readers experience difficulty with decoding of nonsense words and grapheme-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Even though poor readers acquired phonological rules slower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reading groups did not differ qualitatively in terms of developmental patterns of acquisition of phonological rules.

      • KCI등재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배소영(Soyeong Pae),김미배(Mib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초등 저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수행력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발달을 살피고, 언어읽기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어머니로 둔 초등 1-3학년에 재학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34명과 학년과 지역이 일치하는 비다문화가정 아동 34명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 비교하였다. 읽기의 경우 낱말재인력과 덩이글이해력을 측정하였고, 관련언어요소로서 덩이말이해력과 음운인식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다문화가정아동은 비다문화가정아동처럼 1학년에서부터 3학년으로 갈수록 언어와 읽기능력이 발달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아동의 낱말재인과 덩이글이해력은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고, 언어능력인 덩이말이해 면에서도 비다문화가정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한편 음운인식력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은 읽기와 언어가 발달하고 있지만, 읽기와 언어에 대한 선별평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텍스트를중심으로 한 말과 글에 대한 평가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Reading is an important area of language use in school activities.study aimed to compare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MC) with those of non-multicultural backgrounds (NMC) and to discus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ol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Method: Thirty-four school-aged children (mean age of 8 years old) with MC and 34 NMC pe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Readingabilities were measured on word recognition and text comprehension while reading-related language abilities were tapped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text and phonological awareness. Results: Both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reading and language as their grade level increased. However, children with MC showed lower abilities in word recognition, text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compared to children with NMC.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in the area of phonological awareness. Discussion and Conclusion: School-aged Korean children with MC appeared to develop their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although their overall performance of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lagged behind their NMC pe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to screen and assess NMC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s well as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

        Correlation among Morphological Awareness,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in Third to Fourth Grades

        Hyo-Jung Han(한효정),Mibae Kim(김미배)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들의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능력을 살펴보고 읽기와 쓰기를 설명하는 요인들 중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형태소인식능력이 읽기와 쓰기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16명, 학년과 지역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6명,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형태소인식검사는 합성, 파생으로 살펴보았다. 읽기유창성과 철자쓰기는 한국어 읽기검사(KOLRA)의 읽기유창성, 받아쓰기를 사용하였으며 읽기유창성은 속도와 정확성으로 살펴보았고 철자쓰기는 자소-음소 일치형 쓰기, 불일치형 쓰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능력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낮았다. 일반아동은 형태소인식능력과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고 특히 파생은 속도와 일치형 쓰기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언어학습장애는 형태소인식능력과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고 합성과 정확성, 일치형 쓰기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 철자쓰기 능력이 형태소인식능력과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일반아동의 경우 파생 능력이 자동적으로 읽기와 정확하게 쓰기에 영향을 미쳤고 언어학습장애는 형태소인식능력을 아직 정확하게 읽는 데에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읽기유창성, 철자쓰기의 결함을 언어능력과 연결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중재 계획을 설정할 때 형태소인식능력을 고려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re are several linguistic factors affecting reading fluency (RF) and spelling, particularly the factors called metalinguistic abilities such as phonological awareness (PA) and morphological awareness (MA). The 3rd and 4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re widely known as important periods for developing RF and spelling.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d how MA ability affects reading and writing skills of primary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ty-two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16 students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LLD) and 16 typically-developing students (TD). The research used RF with accuracy and rate, spelling with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GC) writing and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writing and MA. MA tasks were divided into compound and derivation. Results: First, the students with LLD showed prominently lower performance in MA tasks than TD students. Second, students with LLD showed slower speed and less accuracy in correspondent and non-correspondent writing tasks than TD students. Third, TD’s derivation correlated with RF, reading rate, spelling and PGC scores. In particular, derivative scores were correlated with reading rate. In the LLD group, accuracy was correlated with compound and overall production. Conclusion: TD students use MA to read automatically. This means TD students near the final stages of correspondent writing are influenced by their derivative abilities. Students with LLD also depend on their MA skills to read accurately, and therefore fail to read fluently.

      • KCI등재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구문인식능력 특성과 읽기이해능력과의 상관관계

        조민경(Min-Kyeong Cho),김미배(Mib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1

        배경 및 목적: 초등 3-4학년은 텍스트 수준에서 읽기이해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텍스트를 구성하는 구문능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학령기에 상위수준에서의 언어발달을 고려하여 구문능력을 상위수준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능력과 상위구문능력인 구문인식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산시 소재의 초등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아동 16명, 학년과 지역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6명으로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문인 식능력은 구문유형(단문, 복문)과 복문유형(접속문, 내포문)에 따라 살펴보았으며, 읽기이해능력은 한국어읽기검사(KOLRA)의 읽기 이해검사를 사용하였다. 결과: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구문인식능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단문과 복문 모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복문에서 더 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구문인식능력과 읽기이해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구문유형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며 특히 복문을 자세히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집단 모두 구문인식능력과 읽기이해능력 간에 상관관계가 나타나 구문인식능력이 읽기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구문 하위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데 의의가 있으며 구문인식능력을 확인하고 중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reading comprehension is beginning to develop.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sentences that make up the text. At school age, it is necessary to examine syntactic ability at a higher level considering language development is also at a higher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syntactic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3rd and 4th grad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LLD) and 16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This study performed a syntactic awareness test anda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is study was composed of sentences categorized into a basic sentence type (simple sentence, complex sentence) and a complex sentence type (compound sentence, embedded sentence). Results: First, when comparing syntactic awareness according to group and basic sentence type, LLD children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D children. Second, when comparing syntactic awareness according to groups and complex sentence types, LLD children exhibited lower performance than TD children. Third, in both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 LLD children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entence, and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type of complex sentence. In both group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yntactic awareness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syntactic awareness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entence sub-type, and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assess syntactic awareness.

      • KCI등재

        초등 저학년 아동의 언어학적 단위(단어/문장)에 따른 철자 쓰기 발달 특성

        고은이(Eun Yi Ko),신명선(Myungsun Shin),김미배(Mib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초등 저학년(1-3학년)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학년별 단어와 문장 수준의 받아쓰기 과제를 통해 철자 쓰기 정확률 및 오류 유형에 따른 철자 쓰기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 1-3학년(각 학년별 20명) 일반 아동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철자 쓰기 검사 도구는 2017년, 2018년 개정 교과서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1-3학년 받아쓰기 급수표를 기반으로 단어 수준 과제에서 실시한 낱말을 문장 수준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결과: 첫째, 단어 수준 과제 정확률이 문장 수준 과제의 전체 어절 정확률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단어 수준 과제와 문장 수준 과제의 목표 낱말 정확률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모든 학년에서 표기 처리 오류, 형태 처리 오류, 음운 처리 오류 순으로 높았고, 단어 수준, 문장 수준 모두 표기 처리 오류, 형태 처리 오류, 음운 처리 오류 순으로 높게 나타나 오류 특성이 유사하였다. 논의 및 결론: 철자 쓰기 발달이 초등 저학년 시기에 활발하게 이루어는 중요한 능력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철자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의 평가 및 중재 시에 학년별 쓰기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쓰기 지도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uracy of spelling and types of errors through grade-level word and sentence dictation tasks for general children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grades 1-3).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TD children in grades 1 to 3 (20 students in each grade) from elementary schools. The spelling test was constructed to include words implemented in word-level tasks at the sentence level based on textbooks revised in 2017 and 2018 that were being used in grades 1 to 3 used in actual school sites. Results: First, The spelling accuracy at the word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whole word segment accuracy at the sentence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ask types in the accuracy at the word level and the target word for the sentence level. Second, All grades showed orthographic errors, morphological errors, and phonological errors. When analyzed according to task types, the error level was similar at the word and sentence level in the order of orthographic errors, morphological errors, and phonological errors. Conclusion: Spelling ability is active in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confirming that it is an important ability to develop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if writing grade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and setting of intervention goals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spelling, this suggests that a positive writing instruction is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