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헷지 및 안전피난적 자산으로써의 암호화폐에 대한 연구

        김미령(Meiling Jin),박성용(Sung Y. Par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3

        본 연구는 암호화폐가 주식시장, 채권시장 그리고 금 현물시장에서 헷지(hedge) 및 안전피난적(safe haven) 자산이 될 수 있는지를 최근 3년 동안의 2017년 8월 17일부터 2020년 4월 10일까지의 638개의 일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검정을 위하여 국내에서 자주 거래되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캐쉬, 라이트코인, 그리고 리플 5개 암호화폐의 국내 거래가격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계열 자료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변환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설정을 위해 Legendre 다항식을 이용한 시변하는 모수와 조건부 분산항을 고려한 GJR-GARCH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된 결과로는 5개의 암호화폐 모두가 KOSPI200과 금에 대해서는 헷지 자산으로 판정되었으며 흥미로운 사실로는 KOSPI200에 대해서는 최근에 들어오면서 헷지 효과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채에 대해서는 2019년 6월 지점에 비트코인의 경우만 제외하고 모든 시점 모든 암호화폐가 헷지 자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암호화폐가 충분히 큰 음의 충격이 주식시장, 채권시장 그리고 금 현물시장에 가해졌을 때 안전피난적 자산이 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tests whether cryptocurrency can be a hedge or a safe haven to stocks, bonds and gold by using daily data from 17th August 2017 to 10th April 2020 with 638 total observations. Korean domestic transaction prices for 5 cryptocurrencies (Bitcoin, Etheruem, Bitcoin Cash, Litecoin, Ripple) are used to test whether those cryptocurrencies are indeed hedges or safety haven. In order to take care of possible structural brea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series variables a time-varying coefficient is constructed by Legendre orthonormal polynomials. Moreover, GJR-GARCH model specification is also used to capture ARCH effect in the conditional error variable. Thus the highly non-linear models are used to capture the time-varying characteristic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and ARCH effect of the conditional error ter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se 5 cryptocurrencies are hedges and safe havens for stocks, bonds and gold over the time horizon of consideration. On interesting finding is that the hedging effect corresponding to KOSPI200 becomes stronger recently.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 분석연구: 적용 실제를 중심으로

        김미령(Meiling Jin),손승현(Seung-Hyun So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3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적 통합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보편적 학습설계가 교육과정적 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부상되고 있다. 하지만 보편적 학습설계의 철학과 이론적 정당성의 무게에 비해 구체성이 부족한 관계로 교육현장에 정착하기 어렵고 보편적 학습설계를 실행하는 주체인 교사의 혼란을 빚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20건의 교수학습지도안을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보편적 학습설계의 교육현장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와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발달장애 학생을 포함한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지도안이 주로 이루어졌다. 대부분 교수학습지도안은 수준별 학습목표를 제시했고 활동 중심 교수학습 요소를 적용했으며 테크놀로지를 학습안내도구로 활용했다. 둘째, 표상 및 표현 원리에서 각각 6개의 키워드 및 관련 세부 내용들이 추출되었고, 참여 원리에서는 9개의 키워드 및 세부 내용이 추출되었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20건의 교수학습지도안에 반영된 표상, 표현, 참여 원리의 충족률은 비교적 고르게 적용된 반면 가이드라인별 충족률은 불균형적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편적 학습설계의 교육현장 적용을 위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inclusion that can meet the special educational needs of all students increase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is emerging as an effective way to realize curriculum inclusion. However,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philosophy and theoretical legitimacy of UDL, it is difficult to settl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teachers who implement the UDL are confused due to the lack of specificity in implem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references and suggestions for UDL’s establish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by analyzing 20 lesson plans that applied UD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lesson plans were mainly conducted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st of lesson plans presented differentiated learning goals for students, applied activity-based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and used technology as a learning guide tool. Second, six key words and corresponding details were extracted from the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principles, respectively, and nine key words and corresponding details were extracted from the engagement principle. Third, satisfaction rates for the principles of representation, expression and engagement were applied evenly, while the satisfaction rates for each guideline were unbalanced.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of UDL to the educational field were presented.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 분석 연구

        김미령(Meiling Jin),손승현(Seung Hyun Son)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양상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활용한 중재연구를 검색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20개의 교수학습지도안을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의 방법을 활용하여 일반 양상과 한국형 UDL 체크리스트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국내 중재연구에서 적용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실제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수학습지도안이 36개의 체크리스트 중 최소 18개의 항목에 부합한 것으로 나타나 충분히 보편적 학습설계에 근거하여 수업계획을 구성한 것으로 간주 할 수 있고 중재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표상, 표현 및 참여 원리를 모두 고르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리별에서 비교적 고르게 분포된 충족률과 비해 지침별 충족률은 상대적으로 큰 편차를 보이고 사용 빈도에 불균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에 근거하여 보다 신빙성 있고 체계적인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기 위하여 체크리스트 중 잘 구현된 항목과 그렇지 못한 항목을 분석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편적 학습설계 중재연구를 위하여 시사점을 주고 이를 통해 UDL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연구」학술지의 연구 동향분석: 2008-2020년 학술지 수록 연구를 중심으로

        길한아(Hanah Kil),김미령(Meiling Jin),손승현(Seung-Hyun So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학습장애학회’에서 발간하는「학습장애연구」학술지에 2008년부터 2020년 8월까지 게재된 324편의 논문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저자특성, 연구방법 및 실험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소속기관은 대학교가 가장 많았으며(80.9%) 실험연구의 경우 일반 학교(11.1%) 소속 저자에 의해 연구되어지고 있었으며 전공 분야는 특수교육학 전공자가 많았다(71.6%). 둘째,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 분석결과,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주제는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 선정 시 사용한 선별준거를 분석한 결과, 지능검사 결과를 사용한 선별준거, 기초학습기능검사 및 학업 성취도 검사 결과를 사용한 준거가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정 학문 분야에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연구를 진행했는지 보여줌으로써 그 학문영역에서의 지식 정보가 생산 및 재생산되는 형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었고 추후 2차적인 주제로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주제 결과를 토대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주제들을 향후 연구에서는 주목하여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s,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studies to examine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f 324 papers published from 2008 to August 2020 in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 First, with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 the proportion of universities(80.9%) was the highest, and in the case of experimental studies it was studied by authors who are involved in general education schools(11.1%)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authors was majored in special education(71.6%). Second, experimental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a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on instruction and strategy occupied the greatest weigh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reening criteria, it was found that the intelligence test, basic learning function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were most commonly u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howed who, where, what, and how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specific academic fiel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format in which knowledge information is produced and reproduced in that academic field. It is a very important role in that it can be a springboard for great opportunities to expand. Furthermore, topics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based on research topic results suggest the need to be addressed with attention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위한 쓰기중재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경도지적장애, 학습장애, 학습부진학생을 중심으로

        고서연 ( Ko Seo-yeon ),백영선 ( Paek Young-sun ),길한아 ( Kil Hanah ),김미령 ( Jin Meiling ),( Sakura Yusuke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쓰기중재를 실시한 연구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ANOVA를 통해 쓰기중재의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을 대상자 관련 변인인 대상자 유형, 성별, 학년, 지능지수와 중재 관련 변인인 중재유형, 중재회기, 중재시간, 쓰기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1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보고서 및 학술지 논문을 포함하여 총 34편이었으며, 총 159개의 효과크기(Tau-U)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쓰기중재연구의 쓰기능력 향상에 대한 중재 및 유지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중재회기 및 중재시간에 따른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에 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writing interventions on "students with difficulty in writing" defini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and low achievement.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single-subject research about writing intervention for those students. In addition, through the meta-ANOVA, the control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he subject-related variables(type, gender, grade, IQ) and the intervention -related variables(type, session, time, and writing target area). A total of 34 articles were analyzed from 2001 to 2017, and a total of 159 effect sizes(Tau-U)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writing intervention studies were proved,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shown in the intervention session and intervention tim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