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학습방안 :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이승언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역사교육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고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바람직한 역사의식을 길러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역사적 사고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역사학습 방법의 하나가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다. 박물관은 현재와 과거의 문화유산을 미래에 전승하고 사회와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박물관과 학교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상호보완적이라 할 수 있다. 박물관 교육은 직접 박물관에 가서 실제의 표본, 유물, 작품들을 눈으로 확인하고 깊이 이해함으로써 그동안 교실에서만 수업해야 했던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지역의 박물관은 지역 문화의 상징의 결합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확보함으로써 향토사를 파악하기에 유리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역사 연구의 한 분야로써 향토사와 박물관의 개념과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고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고, 다음으로 박물관과 연계한 중학교 향토사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이 박물관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형식적 수업으로 인해 우리 고장의 문화재에 대한 관심도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물관 학습의 방향이 관람뿐 아니라 실제로 체험하여 활동할 수 있는 적극적 수업을 원했다. 이러한 설문을 바탕으로 지역박물관과 연계한 향토사 학습이 역사교육에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원지역 내 창원대학교 박물관과 성산유적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중학교 국사교과서와 연계될 수 있도록 서술부분을 찾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자료 제시하고 학습방안을 재구성해 보았다. 현장학습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역사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안을 작성하여 그 동안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던 수동적 수업을 개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학습은 학습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채워 줄 수 있고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어 학습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고,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시켜 계속해서 강조되어 왔던 향토사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전시하고 유물, 유적의 발굴 보고에만 치우쳐 있던 기능을 교육을 위한 학습 공간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육현장으로서의 역할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s growing desirabl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grasping the historical truth, and establish the power of though to history, not just cram the historical truth. And one of way that met these important matters is local history connected local museum. A museum is nonprofit organization established to hand down property of ancestors and contribute of society and culture of mordern times. And the museum and school can help each other when we review in the side of education. The education in museum overcome the problem of the education in school to see the exhibition by theirselves in museum. Specially the local museum is better to know local history as secure local identity through connection the symbol of local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show the general idea and characteristic of local history and museum as a part of history study, then, investigate and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l history education connected museum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most of students know the importance of museum, but they have little interest of our local cultural assets due to formal class. Moreover they want not only viewing the museum but also experience.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the contacts of study laying stress on the museum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and SungSan relics and suggest description part so that the local history study connected local museum is accomplished in history education and these can be connected to the meddle school course as well. And through this, for suitable study, showed the data of the study and reconstructed pertinent way. Additionally, this paper tried to improve formal and passive class as pertinent teaching plan so that the students can pick up the way to history by themselves. The study like this can fill up their mental curious, increase study effect as activity taking part, and reach the goal of local history education that put emphasis at every moment. And the ability of museum that just keeping exhibition and finding, reporting historic relics is expected to be a part enlargement to use as study space for education.

      •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교육관 비교

        서성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재 우리의 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맹자와 순자의 인성론은 어떤 것이며,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는가? 둘째, 서로 다른 인성론을 바탕으로 한 맹자와 순자의 교육 목적, 내용, 방법은 무엇이며,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는가? 인성론의 측면에서 맹자는 도덕성의 선천성을 제시하며 선한 인간은 선천적 본성의 회복을 통해 만들어 질 수 있다고 보고, 인의예지의 도덕성 배양에 따른 덕의 실현을 목적으로 삼고 본시 선했던 본성을 되찾을 수 있도록 인의의 도를 익히는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하였다. 순자는 도덕성의 사회성을 제시하며 선한 인간은 훌륭한 관습과 제도의 힘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고 보고, 악한 성품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경전을 외워 예를 익히도록 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하였다. 비록 이들은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것과 악하다는 상반된 인식에서 출발하나, 모든 인간은 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종착지는 같다고 할 수 있다. 교육관의 측면에서 맹자는 인의예지의 도덕성 배양에 따른 덕의 실현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선한 성품의 단서인 사단을 확충하기 위해, 오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올바른 인간관계와 인간기술, 즉 인의의 도를 익히는 것을 교육 내용으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마음을 오로지 하여 항상 됨이 있고, 차례를 ?i아 점차적으로 나아가며, 재능에 따라 가르침을 베푼다는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순자는 인간의 악한 성품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시, 서, 예 악, 춘추와 같은 경전을 교육 내용으로 삼았다. 배우는 것과 생각하는 것을 그대로 옮겨야 하고, 선입견과 편견을 없애야 함을 강조했으며, 스승을 높이고 벗과 사귐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개인적으로 욕심을 절제하고 해야 하며, 지속적으로 지식을 쌓고 새겨야 한다는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맹자와 순자의 교육사상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목적과 내용은 인간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어야 한다. 맹자와 순자가 비록 교육의 형태를 달리 하고 있으나, 그들이 모두 목적하는 바는 성인이라는 인간상이었다. 둘째, 교육의 방법에 있어서 획일적인 교육 형태를 지양하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 방법을 추구해야 한다. 맹자와 순자는 상이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 같으나 공통적으로 이상적인 인간성을 회복하고 추구하기 위해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능력에 알맞은 단계별, 수준별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고, 지행합일의 자세와 학문을 익히기 위한 끊임없는 자기 개발을 요구하였다.

      •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비교

        강수정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경상남도 가운데 진주, 마산, 창원에 거주하고 있는 어린이집 관리자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로 조사하여 문항별로 분석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경영의 전반에 걸쳐 가장 중요한 결정권을 가진 관리자와 그것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 실태를 밝혀 그들의 인식형태와 문제점을 찾아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바람직한 해결책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는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교육활동에 대한 인식은 어린이집 교원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며 둘째는 통합교육의 방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어린이집 교원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며 셋째는 통합교육의 여건과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어린이집 교원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설문지 분석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관리자나 교사들 모두 장애영유아에 대한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은 관심이 있는 수준 이기는 하지만 매우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어린이집 교원 모두 받을 필요가 있다에 응답이 높았다. 이 또한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매우 필요하다는 등의 절실함이 없어 보인다. 둘째, 장애영유아의 통합교육을 위한 장애관련 교육활동 실시 의사는 관리자와 교사 모두 실시해볼 의향이 있다에 응답이 높았으며 장애영유아의 통합교육을 위한 장애관련교육을 실시 한다면 어떤 교육활동 형태를 취할 것인가에 대한 응답은 장애 관련 비디오 보기가 가장 높았다. 관리자는 특수학교 방문에 그 다음으로 응답을 많이 한데 비해 교사는 장애모의 체험에 그 다음으로 응답이 많았다. 셋째, 통합교육시 통합 형태는 어떻게 하기를 원하느냐에 관리자와 교사가 반반씩 완전통합과 부분통합을 희망하고 있었고, 특수교육연수나 통합교육경험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이 완전통합을 원했고 특수교육연수나 통합교육경험이 없는 사람이 부분통합을 원했으며 통합학급에 장애영유아 인원수가 많을 때 대처방안에 대해서 관리자는 학급의 인원 수를 줄인다와 보조교사와 자원봉사자를 활용한다에 응답이 높았으며 교사는 학급의 인원수도 줄이고 보조교사도 배치해 줄 것을 원한다에 응답이 높았다. 넷째,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의 시작 연령은 언제가 적당한가에 대해서 관리자는 2세 미만, 2-3세, 4-5세 모두에 응답이 높았으나 교사는 장애영유아를 교육하기가 용이한 2-3세, 4-5세에 응답이 높았으며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에 적합한 장애영유아 수는 어느 정도인가에 대해서 관리자와 교사 공히 각반에 1-2명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다섯째, 장애영유아 통합교육시 장애아동의 학급편성형태는 어떤 형태가 바람직한가에 대해서 관리자는 원아의 보육과 안전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는 입장이므로 혼합연령학급에 응답이 높았고, 교사는 직접 교육을 시켜야 되는 입장에서 프로그램을 짠다든지 교육안을 짜는데 있어 일의 효율성을 높이기위해서 동일연령학급에 응답이 높았으며 일반영유아가 장애영유아와의 학습을 꺼려하는 이유에 대해서 관리자는 안전사고 등의 생활지도의 어려움 때문에 응답이 높았는데 반해 교사는 장애영유아를 다루어 본 경험이 적어서 학습지도상의 어려움 때문에의 응답이 높았다. 여섯째, 통합교육을 실시할 경우의 가장 큰 문제점에 대해서 관리자는 일반영유아와 장애영유아의 능력격차가 심하다에 응답이 높았고 교사는 일반영유아의 부모가 원치 않는다에 응답이 높았으며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려면 가장 시급히 해결 되어야 할 문제에 대해서 관리자는 어린이집을 체계적인 시스템하에서 운영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발의 중요성에 응답이 높았고 교사는 학부모와 접촉하는 일이 많으므로 학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부족을 염려하여 일반영유아 부모의 통합교육에 응답이 높았다. 일곱째, 장애영유아의 통합교육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준비 정도에 대해서 관리자는 외부의 시선을 의식해 교사의 준비는 되어있지만 교사자신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미비와 교사들의 연수교육의 부족을 이유로 보통이다에 응답이 높았고 교사는 학교를 졸업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교육과정 및 교수자료의 준비는 잘되어 있다고 생각하므로 준비가 잘되어 있다에 응답이 높았으며 통합환경에서 장애영유아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 관리자와 교사 공히 많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에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최초로 부정적인 응답이 나왔다. 이는 우리나라의 영유아교육의 현 실정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여덟째, 통합교육에 가능한 장애영유아의 장애정도에 대해서는 관리자와 교사 공히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 없는 정도에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현재 우리나라 사회상황으로 보아 통합교육의 실현가능성의 정도는 어떠하냐에 대해 관리자와 교사 공히 점차적인 통합교육이 바람직하다고 보아 조건을 갖춘 어린이집부터 선택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에 응답이 가장 높았다. 아홉째, 어린이집 내부에 특수학급을 설치하는 문제에 대해서 관리자는 설치할 필요가 있기는 하다에 응답이 높았으며 교사는 반드시 설치하겠다에 응답이 높았으며 통합된 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해 관리자는 특수기관의 교육과정에 맞춰 지도한다와 일반교사가 장애영유아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지도한다에 응답이 높았으며 교사는 일반교사가 장애영유아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지도한다에 응답이 높았다. 열 번째, 어린이집에 장애영유아가 입학을 희망한다면 그 수용태도에 대해서 관리자는 기꺼이 받아들이겠다에 응답이 높은 반면 교사는 망설여지지만 받아들이겠다에 응답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입학에 대해 망설여지지만 받아들이겠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이는 교사와 학부모는 장애영유아에 대한 편견이 작용하지만 관리자는 철학이나 교육적 효과와 교육적 권리 때문에 장애영유아를 받아들이겠다고 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어린이집에 장애영유아의 입학을 허락한다면 어떤 이유에서이냐에 대해 관리자는 장애영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철학과 통합환경이 장애영유아에게 주는 교육적 효과 때문이라는 데 응답이 높았고 교사는 일반유아들에게 차이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기르도록 하기 위해서에 응답이 높았으며 어린이집에 장애영유아의 입학을 거부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냐에 대해 관리자와 교사 모두 영유아교사의 준비가 되지 않아서와 물리적 환경의 미흡에 응답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aycare center managers and teachers perceived inclusive education for disabl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whether the daycare center managers and teachers investigated had a different opinion on the necessity of inclusive education and relevant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the managers felt the stronger need for inclusive education than the teachers. It's because the former who had taken courses in special education and provided inclusive education felt more keenly the necessity of it. It indicated that even the younger and smart new-generation teachers lagged behind the managers in awareness of inclusive education. Second, whether their background variable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view of inclusive education methods and curriculum was checked. As a result, the managers preferred multiage classes and a partial integration in terms of learning or sociability, and they wanted to comply with the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s for the reason, they believed that multiage classes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an inclusive-education system more efficiently and smoothly, and that a partial integration could produce the best and fast results. And they were fond of the authoritative national curriculum that allowed them to live up to their own educational philosophy or conviction. In contrast, the teachers who actually taught infants and preschoolers were in favor of homogeneous age grouping on the ground that it's the only way to attain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mplete selected lesson plans or programs in time. And they backed up a perfect integration in every regard since they believed it's the only way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Instead of sticking to the finalized curriculum, they hoped to modify it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their position should be taken for granted in a way. Third, whether their background variables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outlook on the given circumstances for inclusive education and problems with it was examined. And it's found that the managers and teachers agreed with each other on matters related to the feasibility and top priority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biggest problem with it. According to both of them, it's needed to have daycare centers provide inclusive education on a selective basis. Namely, daycare centers that were already ready for that should be allowed to launch that education, and the top priority of inclusive education was developing appropriat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And the gravest problem was a broad gap between the abilities of nondisabled and disabled preschoolers. But the two groups disagreed with each other on the degree of disability eligible for inclusive education. The managers thought that those who could take care of themselves and have a simple communication with others would be able to receive inclusive education. It seemed to indicate that they were willing to accept every disabled preschooler provided that they could communicate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stressed that disabled preschoolers shouldn't disturb others. Since they witnessed disabled infants or young children who interfered with class, the largest number of them accentuated it. As for another difference between the managers and teachers, the teachers in regular daycare centers were reluctant to teach disabled preschoolers. Concerning the reason, the greatest number of the managers felt that inclusive education made it hard to offer guidance because that provoked more safety accidents than usual. In contrast, the largest number of the teachers believed that a shortage of experience to deal with disabled preschoolers made it difficult to provide proper learning guidance. Thus, there was a gap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two groups.

      •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협동학습이 일반중학생의 장애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for A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Comm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 by Park, Jung-Min Major in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won, Yo-Han, Ph. D. This study set out to apply a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art reorganiz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small groups of comm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art lessons in middle school,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comm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disabilities and efficient inclusive education. The subjects include two inclusive classes at K Middle School, which ran special classes on the campus and provided part-time inclusive education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mmon middle school students, in Changwon City. While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cooperative learning lesson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control group received ten lessons twice per week without cooperative learning. Th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art selected the GI model of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for its applicability in the art subject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cooperative learning for art in an environment of inclusive education. The program was further reorganized in art learning and teaching content tha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pplied to lessons by consulting the content systems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inclusive education. Employed in the study were the inventory of 32 adjectives based on the translated inventory of Siperstein(1980) to measure changes to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ttitudes of common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attitude inventory of Oh Won-seok and Seo Yeong-ran(2006) that translated the inventory of attitudes toward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developed by Hsin-Ling Hung(2005) and reorganized it fit for the situations of the nation.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Cronbach’s α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An independent-sample t-test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in the pre-tests on commo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sabled people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COVA was performed with the pre-test scores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in post-test score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present study applied a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art b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to the perception test scores(emotion, physical appearance, learning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of the experiment that recorded a higher increase rat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 group that received lesson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art tha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significant changes to its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general inclusion, sense of closeness, positive expectation, and negative expect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urther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lessons to which a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art was applied and demonstrated the possibilities of common students accepting inclusive lesson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more positively.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미술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중학교 미술 수업시간에 일반중학생과 지적장애 학생들을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협동학습을 실시한 후 일반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여 긍정적인 장애인식 함양 방안과 효율적인 통합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표본대상은 일반학교 내에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고, 지적장애학생과 일반중학생이 함께 시간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창원시 K중학교 통합학급 2개 학급을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을 적용한 협동학습 수업을, 통제집단은 협동학습 없이 주 2회 10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미술협동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협동학습 모형 중에서 미술과에서 적용 가능한 GI모형을 선정하여 통합교육 환경에서 미술 협동학습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중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및 통합교육 교수-학습 자료를 참고하여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 교수-학습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는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중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태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Siperstein(1980)의 척도를 번안한 32개의 형용사 척도를 사용하였고, 태도 검사도구로는 Hsin-Ling Hung(2005)이 개발한 청각 장애아동의 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내용을 번안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오원석과 서영란(2006)의 검사도구를 재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및 통제집단 일반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사전검사에 대한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중재효과를 검증을 위해서 사후검사 점수의 두 집단 간 비교에서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협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본 연구에서 인식검사(감정, 신체적 외모, 학습행동, 사회적 행동)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했고, 통제집단에 비해서는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협동학습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을 통하여 실험집단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통합일반, 친근감, 긍정적 기대, 부정적 기대) 또한 통제집단에 비해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협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에서 장애학생을 조금 더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고 더불어 장애학생과 함께 통합수업을 받는 것에 대해 긍정적이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는데 그 의미를 두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대상 학생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고 배려하여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기회를 마련한다면 일선 학교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적장애 학생들에 대한 일반중학생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 및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교육정보화에 대한 교사들의 현장수용 정도에 관한 연구

        강선화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식정보사회의 도래는 정치․경제․사회․문화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고, 교육정보화가 국가의 미래를 예측하는 지표로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여기에서 교육정보화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근간으로 하는 정보통신기술을 교육 활동에 본격적으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지식정보사회에서 국민 교육체제의 변화를 일컫는다. 즉 교육의 내용, 방법, 대상 등에 대한 총체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학교에 도입된 컴퓨터를 활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주체인 교사들이 교육정보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육정보화 정책에 대한 인식 속에 나타나는 교육정보화의 가능성과 그 가능성이 실현되는 공간인 학교의 현실적인 제약 조건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이런 현실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의 모색과 앞으로 교육정보화 사업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경남 창원지역에 소재하는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무작위추출방법에 기초하여 180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이중 162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학교에서 컴퓨터는 업무처리와 학습자료 제작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멀티미디어 교육의 효율성 인식부족으로 수업시간의 활용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정보화에서 잘된 분야는 하드웨어적 측면이 강하고, 부족한 분야는 소프트웨어적 측면이 강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육현장에서 멀티미디어 교수, 학습 자료의 보급과 개발과 정보화관련 인적자원 개발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향후의 교육정보화가 물적 기반보다는 소프트웨어와 관련한 정보와 컨텐츠 측면에 집중하여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교사들은 교육정보화가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비해 현실적으로 교육정보화가 학교현장 및 교사들의 요구와 유리되어 추진되어 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교육정보화의 추진에 있어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특히 일반교사, 여자교사, 예체능교사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 넷째, 교사들은 기초적인 인터넷과 파워포인트, 엑셀, 워드 등의 기본적인 컴퓨터 활용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넷 자료를 제외한 멀티미디어 도구의 제작과 활용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의 멀티미디어 교육도구의 제작능력을 향상시키는 연수를 개설하거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고연령 교사들과 오랜 교직 경력교사들의 인터넷활용능력을 제고하고 수업에의 적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연수기회의 확대와 유인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들은 교육정보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필요성의 인식을 현실로 유인하는 정책이 필요한 것이다. 여섯째, 담당교과에 따라 교육정보화에 대한 심리적 부담과 불이익에 대한 인식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업무평가에서 담당교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부담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

      •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숙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진로인식단계인 초등학생들에게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가운데 자신들의 진로를 합리적으로 준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필요성에 의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검증하고 바람직한 진로지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에 있었다. 또한,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원시 T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학업성적, 생활환경, 학생들의 성향, 담임교사의 성별 및 연령이 거의 비슷한 수준의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한 후, 이 두 집단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는 안창규, 안현의(2008)가 제작한 Holland 진로발달검사이며, 실험집단에게 적용한 프로그램은 강원도 교육과학연구원(2006), 경기도 교육정보연구원(2006)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동중심 내용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에게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매주 2회씩 총 13회 적용할 동안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적용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Holland 진로발달검사의 결과 처리는 한국가이던스에서 학생 개인별, 집단별로 T점수를 통보해 주었으며, 이를 다시 SPSS 1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두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전체진로성숙도와 하위요소인 직업의 이해 영역의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소인 직업의 이해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을 토대로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후 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나, 다른 학년에 적용하였을 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에게 활동중심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기간이 8주 였으므로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소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프로그램 적용 기간을 장기화한다면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 인지 지속적으로 적용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n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in a bid to determin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career guidance, as elementary schoolers who were in the stage of career awareness should be helped to make a rational preparation and choice of their own career by applying an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A hypothesis was formulated on the assumption that an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might be effective at boosting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s in an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a control group that does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fth graders in two different classes in T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Changweon. The two classes that were similar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living environments, disposition and the gender and age of the homeroom teacher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re were 29 students in each of the groups, and the two groups took a pretest.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 of an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Holland Career Development Inventory produced by An Chang-gyu and An Hyeon-eui. Kangwon Education & Science Research Institute(2006)'s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Gyeonggi Education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2006)'s program were modified and reconstructed into an activity-centered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13 times, twice a week, and no action was taken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both groups took a posttest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tes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Korea Guidance notified this researcher about the T scores of the individual students and the two groups, and SPSS 15.0 program was utilized to look for any possible intergroup gap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the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showed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career matur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As a consequence,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The activity-cent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could be sai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school children. Specifically, that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ir occupational understanding, one of career maturity subfactors.

      • 학생참여 확인 및 검증을 통한 온라인 강좌 시스템 개선 연구 : C대학을 중심으로

        김휘종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fast development in the IT industry has effected the creation of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in South Korea and there has been active attempts improve the environment using the feedback from online evaluation systems. However, these attempts does not appear to be constructive as there has not been any theory developed yet for establishing dependable evaluation approaches. Hence, much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establish a working theory for better online class evaluation.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existing online evaluation systems. The proposal is compiled through the analysis of one existing online class system (cyber system) used by college C in comparison with one online class center (cyber center) in the local area. There is a limitation to this proposal since it wouldn't be possible to extend the applicability to other online class systems and centers (cyber systems and centers). The analysis has considered student attitudes to online classes, the level of student participation in online evaluation, the differences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and the problems of both types of classes. The analysis has found that the menus have to be user-friendly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guidelines for the users of an online class system has to be appropriate and directed to users' needs. However, user-friendly menus don't determine the quality of an online class system. For an online class system to be effectively managed, it has to have an optimal number of functions; it is not necessary to have more than this. College C's online class system structure is self-sufficient in comparison to other system structures. However,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accommodation of latest menu structure and function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in evaluation of online class systems.

      • 농어촌 정보화 마을의 정보화 교육실태와 개선방향 : 성주 도흥 참외 정보화 마을을 중심으로

        김정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research focuses on SEONGJU DOHUNG melon information-oriented village. Rapid modific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external opening of agriculture, and the necessity of corresponding farming agriculture improvement strategy, present new standpoints of approach to Korean agriculture information-oriente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Especially, as WTO (World Trade Organization) structure appeared, the information-oriented agriculture would be one of the rationalized confronting strategies, as the government’s political counter plan and method about farming and fishery societies. However, it would be largely restricted and it had problems. Therefo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promoting a release of digital divide (The available information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such as farms, mountains, and fishing villages), increasing resident's income, improving life quality through developing local competitive power. However, there are many indications that information-oriented villages should be changed. Yet, the information contents of village are weak because they have been mainly based on quantitative swelling. There are only 114 out of 338 villages, which are in a revitalization stage of electronic commerce. There are few villages where their residents can make use of computers freely. The reports said that they made substantial results from the release of digital divide between city and rural community, the increase of villager’s income and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But there still exists a lot of insufficiency regardless of huge financial investment. This research closely examines the status of current agriculture information-oriented village. The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iv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have only focused on the purpose of releasing the digital divide. SEONGJU DOHUNG melon agriculture information-oriented village had substantial investment in information-oriented facilities. There has been an excellent result concerning villager’s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lso, the electronic commerce internet homepage (www.invil.org) operated by some villagers, has increased the income of the villagers. But, there are a few problems about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for better effective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six solutions for effectiv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offered in the following statements. First, posting periodic announcement of income results by the electronic commerce internet homepage. Therefore, all the villagers who could not use computers, could be informed. Second, developing a curriculum about effectiv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for children. Third, rescheduling of education time during agricultural off season. Fourth, building up educational mentoring systems between the group I people and the group II Fifth, nurturing information-oriented leaders. Lastly, keeping continuous support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Using the solutions in the above six statements, we can achieve the improvements of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effective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villager’s capacity practically helps reduce the digital divide between city and rural community. It is one of essential elements to run an electronic commerce site which has much importance for information-oriented village business. It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villager’s incom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lead a self-governing body’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is helps the local community directly, not just ending up with a constructed education curriculum. Furthermore, not just finishing simple curriculum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to lead community's active participation that will offer direct helps to the villages. And income-increase effect will be crucial to information communities in order to achieve strong support from residents. Therefore, the research about income aspect through electron transaction on not just Korean market but international market, will be needed. The research about international interchange will be also expected to be crucial. 급격한 산업구조의 개편과 농업의 대외개방, 그리고 이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한 농촌 농업 발전전략의 필요성은 우리나라 농촌 정보화를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WTO(World Trade Organization, 세계무역기구) 체제의 출범에 따라 정부의 농민과 농촌에 대한 정책적 대안과 수단은 크게 제약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농촌 정보화는 하나의 합리적인 대응전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행정안전부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2001년부터 농· 산· 어촌 등 정보화 소외지역의 정보격차 해소와 주민소득 증대 및 지역경쟁력 강화를 통한 주민의 삶의 질 개선 등을 기본 목표로 하는 정보화 마을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제 정보화 마을도 변화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 높다. 그 동안 양적 팽창 위주로 조성돼 콘텐츠가 빈약하고 아직 전자상거래가 활성화 단계에 있는 마을은 전체 338개중 114개에 불과하다. 전자상거래 활성화 단계의 마을 역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일부의 주민의 사례에 불과하다. 도시와 농촌 간 정보격차 해소, 마을 주민소득 증대,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고는 하나 막대한 재정 투자를 한만큼의 효과라고는 보기에는 아직도 미비한 점이 많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화 마을에 대한 연구가 정보격차 해소에 집중되었던 것과 달리 정보화 교육 측면에 관심을 두고 현행 농촌 정보화 시범 마을사업에 대해 개선 방법과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성주 도흥 참외 정보화 마을은 전반적인 정보화 시설투자가 잘 되어 있고, 기존 시행되고 있는 정보화 교육의 주민 만족도 역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민의 일부가 운영하는 거래사이트( www. invil.org )도 주민의 소득증대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정보화 교육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하고 보다 효과적인 정보화 교육을 위해 아래의 일곱가지 정보화 교육의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운영 소득 실적을 온라인만이 아닌,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모든 주민이 볼 수 있도록 주기적인 공지 둘째, 자녀 정보화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의 개발 셋째, 농한기를 이용한 교육시간의 재배치 넷째, A군의 회원과 B군의 회원의 멘토링 교육시스템 운영 다섯째, 정보화지도자의 양성 마지막으로 행정기관의 지속적인 지원 위와 같은 정보화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민의 수용능력에 따른 효과적인 정보화 교육은 도·농간 정보격차를 해소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정보화 마을 사업 중 가장 비중이 크고 소득 증대에 큰 역할을 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 운영에도 필수적인 요소라고 하겠다. 그리고 단순한 교육커리큘럼 구축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운영 주체인 마을과 현지에서 마을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치단체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정보화 마을이 주민들의 강한 지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소득증대효과가 중요해질 것이며 이를 위해 한국시장만이 아닌 전자상거래를 통한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한 소득 측면의 연구와 해외교류에 대한 연구가 더욱 중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교 ICT교과 성취 기준 도달을 위한 교육대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장영욱 昌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ctual applying condition of ICT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perception of teacher toward completion criteria, and connect ion between completion criteria and the courses of educational university, and to suggest scheme for curriculum reformation of educational university to reach completion criteria at this point of in time when ICT based instruction is executed broadly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conducted were 172 teachers working in Gyeongsangnam-do.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using questionnaires sheet, and suggested reformation scheme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e research found that most of teachers followed beyond standard lesson hours when operating ICT instruction, and ICT-related capability of class teacher was significantly important since 74.34% of respondents operating ICT instruction were class teachers.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ICT instruction completion criteria, 56.37% of them thought that completion criteria are appropriate, and they also claimed information-communication ion field should be extended with basic computer skill reduced in terms of instruction contents. They, moreover, considered the connect ion between ICT instruction and curriculum of educational university is deficient since university curriculum inclines to particular field. There is a great disparity between the subjects that helped to reach completion criteria and established subjects related to ICT instruction in educational university 9.21% of teachers asked acquired ICT-related skill in educational university. Most of respondents insisted curriculums of educational university should be reformed in accordance with ICT instruction. There are three aspects required to reach completion criteria; firstly, enhancing the connect ion between ICT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curriculums of educational university; secondly, establishing curriculums improving teacher's ICT application ability; thirdly, increasing related curriculum and credit points since ICT instruction is function-centered. It is sincerely necessary for educational university to reform curriculum in order to fulfill education consumer's need since it is a purposed universit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preliminary teachers should be prepared with capacity for efficient achievement of ICT instruction completion criteria through curriculum reformation of educational university, accept ins the requirement of <7th school curriculum> and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