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승옥 시나리오 〈안개〉의 구조와 장면 분석

        김만수(Kim, Mansu)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0

        김승옥의 단편소설 「무진기행」은 동일 작가에 의해 시나리오 〈안개〉로 각색되었으며, 이후 김수용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었다. 시나리오 〈안개〉는 소설 「무진기행」의 특징을 잘 살리고 있으며, 소설의 내면적 심리를 영화적인 장면으로 잘 확장한 사례에 해당한다. 본고에서는 삶과 죽음의 경계영역이자 중립항인 ‘비-삶’과 ‘비-죽음’의 영역을 설정한 다음, 비-삶에서 비-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서사프로그램이 이 작품의 중요한 스토리 라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서사프로그램을 뒷받침하는 영화적 장치에 주목하였다. 시나리오 작가는 소설의 내적 독백을 줄이기 위해 몇 가지의 보충적 사건을 삽입하는데, 이는 ‘안개’의 기표와 기의를 중점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집중하고 있다. 작가의 이러한 방식은 상당히 표현주의적인 것에 가까운데, 영화에서는 이 중의 몇 가지를 생략함으로써 원래의 시나리오가 전달하고자 했던 의미를 일부 포기하고 있다. 한편 시나리오 〈안개〉는 ‘여행과 귀환’이라는 대중적인 플롯을 따르고 있는데, 이러한 플롯에서는 상징적인 죽음과 재탄생을 다룬다. The famous short story 〈A Journey to Mujin((무진기행)〉 written by Seung-ok Kim(김승옥) was adapted to the scenario 〈Mist(안개)〉by the same author. Immediately, it was filmed by the director, Su-yong Kim. This paper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the scene presented in the Scenario 〈Mist〉. The scenario 〈Mist〉 can be estimated the well-made play which made 〈A Journey to Mujin〉 better. It can be the successful example which convert the excellent short story to the brilliant film. Screen writer inserred some supplementary events to currail the long, sometimes boresome, inner monologue in the short story. Those events concentrated o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mist’ to intensify the theme of the work. These techniques are closer to the pattern of the expressionism film. Director Su-yong Kim reduced those supplementary events to make this cinema more popular. The master plot of the scenario 〈Mist〉 belong to the pattern of ‘voyage and Return’ which followed the cycles of the symbolic death and rebirth.

      • KCI등재

        ‘두 형제’ 이야기의 원형과 현대적 변용

        김만수(Mansu Kim)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Anti Aarne and Stith Thomson have classified story types of ‘The Twin or blood brothers’ as Type No.303. “The Twin or blood brothers” can be transformed into different relations: Two Sisters, Two Siblings, Two Pseudo Brothers, Two Friends. The basic story of “Two Brothers” is based on the contest between the two. In myths and folk tales, the competition between brother and sister remains in their original form. These stories are Isis/Osiris in Egyptian mythology, Big Star King(대별왕)/Small Star King(소별왕) in the folk tales of Jeju Island, Izanagi/Izanami in Japanese mythology, Cain/Abel in the Holy Bible. In these stories, we can find negative feelings such as murder, jealousy, incest and lies besides competitions. The second pattern of “Two Brothers” is ba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Two brothers cooperate each other for a common goal. They are in competition at first, but gradually understand the other brother and help him. The poet <Two Saints at Southern White Moon Mountain(남백월이성)> written by Seo Jeong-ju(서정주) tells the competition between two friends who wish to be the Buddha through the hard mental discipline at Southern White Moon Mountain. At first, they intended to be a Buddha by winning the other rival friend. But they learn to know that the best way to be a Buddha is to help each other. The third pattern of “Two Brothers” can be found at the stories of the ‘twin’. They resemble each other in appearance but are different in the own characters. Karl Gustav Jung defined the psychological types of human mind. Of course, they have their own “shadow” in their deep level minds. Sometimes twin brothers can have the opposite characters. The heroes of both movies in <The Iron Mask(아이언마스크> and <Masquerade(광해, 왕이 된 남자)> are twin kings. In those movies, one is real a King, and the other is a pseudo King. The half of the real King’s characters which are suppressed can be represented at the other characters of twin brothers. The twin personalities can be the supplement each other. It is the universal law that the elder brother is good and younger is evil in the folk tales: Nolbu(놀부)/Heungbu(흥부), Big Star King(대별왕)/Small Star King(소별왕) Isis/Seth, Thor/Loki. According to Bettelheim’s theory, Sibling rivalry such as jealousy, competition, fighting between siblings are based on the struggle between past(conservative-, stable-) and future(progressive-, adventurous-). The additional opposed features such as fool/clever, male/female, good/evil, thinking/felling which are found at the type of “The Twin and Blood Brothers” mean that the narrow “Ego” can be cooperated into the “Whole Self” in the process of their lives. ‘두 형제(Two Brothers)’ 이야기는 아르네-톰슨에 의해 유형 303으로 분류된 바 있다. 두 형제의 경쟁과 협동을 담은 이러한 ‘형제 서사’ 유형은 형제 대신 자매, 남매, 유사 형제, 친구 등의 관계로 변용될 수도 있다. ‘두 형제’ 이야기의 기본은 형제 사이의 경쟁담이다. 신화와 민담에서는 형제/자매의 경쟁담, 남매의 결혼담 등이 원형으로 남아 있는데. 이집트 신화 속의 이시스/오시리스, 제주도 설화 속의 대별왕/소별왕, 일본 신화 속의 이자나기/이자나미, 성경 속의 카인과 아벨, 야곱과 에서, 탕자의 비유 등에서 광범위하게 확인된다. 여기에는 경쟁이라는 요소 외에도 살인, 질투, 근친상간, 거짓말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도 자주 등장한다. 또 하나의 패턴은 형제 사이의 협력담이다. 형제들은 공통의 목표를 두고 협력하는 관계에 놓이는데, 처음에는 경쟁 관계에 있다가 점차 이해와 공존, 보완의 관계에 도달한다. 서정주의 시 「남백월이성」는 친형제의 이야기가 아니라 유사 형제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이 시에서 두 스님은 성불(成佛)을 목표로 경쟁하는 관계에서 출발하나, 점차 큰 깨달음으로 향하는 존재로 변하게 된다. 셋째 패턴은 그야말로 ‘쌍둥이’를 다룬 텍스트에서 발견된다. 쌍둥이 모티브는 한 인격에 내재된 모순된 두 측면의 충돌, 카를 융의 용어에 의하면 두 대립적 심리유형 사이의 상보성을 가장 전형적으로 드러내는 사례에 해당한다. 영화 <아이언마스크>와 <광해, 왕이 된 남자>는 현실에 존재하는 왕 뒤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쌍둥이, 즉 ‘상보성’으로서의 왕이 존재한다는 가설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들 숨겨진 왕은 현실에 존재하는 왕의 대립적인 인격을 대표하고 있으며, 왕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제시된다. 형이 착하고 동생이 영악하다는 설정은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데, 놀부/흥부, 대별왕/소별왕, 이시스/세트, 토르/로키 등의 형상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형제 싸움은 과거(보수, 안정)와 미래(진보, 모험)의 싸움, 혹은 의존하려는 경향과 자립하려는 경향 사이의 갈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옛이야기에서는 바보/현자, 남성/여성, 선/악, 이성/감성 등의 이항대립이 발견되는데, 결국 이항대립에 근거한 ‘두 형제’ 이야기는 서로 상반되는 인격의 두 측면이 내적 통합에 이르는 과정을 형상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기술 활용이 정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김만수(Kim, Mansu),정소윤(Chung, Soyoon)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 활용이 정부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실증분석하고, 효과적인 디지털 활용과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실시한 ‘공공부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의 공무원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통계 분석 결과, 디지털 기술 활용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간 클라우드 기술 활용에 있어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연구분석 틀 구성은 디지털 기술(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을 독립변수로, 정부 조직성과(업무 효율성 제고, 가치창조업무 확대, 대국민서비스질 제고)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조직 · 개인요인을 통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디지털 기술 중 클라우드 기술이 가치창조업무 확대와 대국민서비스 질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업무 효율성 제고에는 어떤 디지털 기술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끝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간 디지털 기술 활용 차이의 개선, 인사부문 개선, 디지털 기술 활용 제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how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ffects organization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 and to provide some recommendation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enhanced organization performance. Basic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data from the public officials" perception survey in “Research on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for the Public Sector” research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e basic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overall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was low.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officials from the central and the metropolitan government on the use of cloud technology. The research framework consists of digital technology (cloud,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government organization performance (work efficiency improvement, expansion of value creation task, and public service quality enhancement) as dependent variables, while organization and personal factors are controlled. Th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loud technology among all the digital technologies has a positive impact on expanding value creation task and improving public service quality. On the other hand, no digital technology affects th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improvement of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differences between governments, improvement of human resources, and enh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세대인문학, 어떻게 할 것인가 : 새로운 세대의 인문교육을 위하여

        김만수 ( Kim Mansu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7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5 No.3

        전지구적 세계화의 추세 속에서 국가, 민족, 언어 등 근대국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장벽들이 점차 허물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계 넘어서기와는 반대편에서, 빈부 격차와 세대 격차의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는 양상이다. 특히 세대 간의 격차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각 영역에서 문제시되는 바, 이의 해결을 위한 인문학적 기여에 대해 고민할 시점에 와 있다. 물론 사회발달이 가속화될수록 세대 차의 발생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최근 부의 양극화에 따른 계층의 양극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정보격차 등의 문제는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에게 각각 고통의 근원이 되고 있다. 기성세대는 인간이 겪어야 할 최고의 난관인 노화에 시달리면서도 한편으로는 디지털 정보 영역에서의 소외로 인한 고통을 안고 있다. 또한 청년 세대는 저성장으로 인한 일자리 부족, 전반적인 복지에서의 소외 등의 고통을 겪는다. 양 세대는 공히 소통의 부족에 대해 불평하지만, 이를 해소할 구체적인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들의 불평은 가히 ‘에이지즘(ageism, 연령차별주의)’로 통칭할만한 사회적 현상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세대차에서 비롯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인문학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세대 인문학’이라는 아젠다를 제시하고자 했다. 세대 인문학은 정보 격차, 분배의 격차 등에서 비롯되는 제반 문제를 기존의 윤리 규범은 물론 경제적 교환의 윤리에 바탕을 둔 소통의 통로를 통해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기여해야 한다. 대학의 교양 교육도 이러한 방향을 지향하면서 새롭게 개편되어야 할 것이다. 교양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것 또한 세대 인문학을 위한 초석으로서의 의미를 지닐 것이다. According to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e walls that form the identity of modern nations such as countries, ethnic groups and languages are gradually collapsed. However, on the contrary of these phenomenons, the disparity of rich and poor disparity and generation gap becomes more and more serious. The gap between old and new generations becomes more serious that we must effort to solve these problem in the way of humanities contribution. When the social development is accelerated, it is inevitable the problem of generation gap occurs. Particularly, the problems of income gap and information gap have become sources of pain both for the old generation and young generation. The old generation is suffering from aging which is a fundamental difficulty if a human being suffers,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suffering from alienation in the digital information area. In addition, the young generation undergoes pain such as shortage of employment due to low growth, alienation of overall welfare. Both generations complain about the lack of communication, but they have not been able to find a concrete scheme to resolve this. These complaints lead to a social phenomenon so generically as “age discrimination” or “ageism”. In this paper, we tried to present an agenda called “Humanities for Generations” as a methodology to explore humanistic alternatives to overcome problems coming from the gap between generations. humanities for generations must contribute to the proposal of alternatives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paths based on the ethics of economic exchange as well as existing ethical norms as well as various problems such as information gaps and income gaps.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should also be reformed aiming for such a direction. Presenting a new viewpoint on culture is also a meaning as a basis for humanities for gener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세 인물, 세 사건에 기초한 9단계 서사모형의 제안

        김만수(Kim Mansu)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이 논문은 세 명의 인물, 세 개의 사건에 기초한 9단계 서사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서사모형은 우리에게 익숙한 대부분의 이야기 형식이 세 명의 인물, 세 개의 사건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먼저 그림 형제와 제이콥스가 수집한 297편의 작품 중 제목에서 숫자 3이 명시적으로 확인되는 30편을 샘플로 골라, 그 의미와 유형을 분석해보았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세 명의 인물(Character)에 각각 C1, C2, C3를 부여하고, 세 개의 사건(Event)에 각각 E1, E2, E3를 부여한 다음, 이를 행과 열로 처리한 도표를 제시하였다. 세 사건의 배열 축을 수평의 연합(combination) 관계로, 세 인물의 배열 축을 수직의 선택(selection) 관계로 설정하면, 세 명의 인물과 세 개의 사건이 조합해낼 수 있는 9개의 빈 칸이 제시되는데, 이를 ‘9단계 서사모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서사모형은 기왕의 이분법적 서사모형이 포괄할 수 없는 제 3의 요소들을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좀더 효율적인 서사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them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ine-stage narrative model based on three characters and three events. The narrativ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most of the narratives we are familiar with are based on three characters and three events. First of all, I analyzed the types and meanings of thirty storie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total 297 stories collected by Grimm Brothers and Joseph Jacobs. In the next step, I endowed C1, C2, and C3 to each of three characters and E1, E2, and E3 to each of three events. After numbering, I made a simple tableau consisted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When the axes of three events are set to a horizontal combination relationship and the axes of three characters are set to a vertical selection relationship, nine blanks are presented that can be named the "nine-step narrative model". This narrative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ore efficient narrative model because it can contain third elements that cannot be covered by the dichotomous narrative model of the past.

      • KCI등재

        한국학: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집단전기학으로

        김만수 ( Mansu Kim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강대국들에 인접한 나라인 한국은 현실적인 힘의 약세를 상상적인 힘의 승리로 전환하는 독특한 자기서사를 전개하면서 한국의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현실적인 힘의 약세를 극복하고자 하는 한국인들에게는 강한 민족주의가 필요했는데, 이는 한국의 경제발전을 추동하는 힘의 원동력이 되었다. 최근 한국은 경제적, 문화적으로 상당한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는데, 이제는 경쟁에 입각한 민족주의적 감정에서 벗어나 전지구적 사유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최근 한국학은 한국이라는 지역을 넘어서서 동아시아 전체의 차원에서 사유하는 동아시아 한국학의 단계로, 또한 각 나라에서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나름의 한국학을 사유하고 개척하는 집단전기학으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집단전기학은 서로 다른 집단의 특성을 인정하고 관용과 환대의 정신을 결합하고자 하는 자세를 갖출 때, 복수로서의 한국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Korea is a country that does not have a history of aggressive empires. Koreans have invented the unique narratives that transformed their realistic weakness into a victory of fictitious world. Strong nationalism was needed for Koreans who wanted to overcome the weakness of realistic power. Nationalism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Korea's economic development. Recently, Korea has reached a high level of economic and cultural maturity. Now, it is necessary to get out of the nationalistic sentiment based on Korean competition. Recently, Koreanology have gone out narrow nationalism and advanced to the level of East Asian Koreanology. Nowadays Koreanology is also developing into prosopography that think and pioneer their own Korean studies in each country. Prosopograph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s a plurality, when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roups and accepting them in the spirit of tolerance and hospit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