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콩 기생성선충의 중요도 등급

        김동근,최인수,류영현,허창석,이윤수,Kim, Donggeun,Choi, Insoo,Ryu, Younghyun,Huh, Changseok,Lee, Youns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전국의 콩밭에서 274점의 토양을 채집하여 식물기생성 선충의 종류와 밀도를 조사하였다. 콩씨스트선충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토양에서 발견되었으며 검출율은 38%(25-51%)였고 씨스트 밀도는 토양 $300cm^3$ 당 평균 46개(1-500)로 중요도 1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의 검출율은 약 13%였는데, 경남, 전남, 제주 등 남부지역에서 높은 검출율(16-44%)을 보여 중요도 2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내부기생성 선충인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은 경기, 강원 등 북부지역에서 검출율(10-13%)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중요도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나선선충류인 Helicotylenchus는 특히 제주에서 검출율과 밀도가 높았는데(62%, 토양 $300cm^3$당 평균 571마리), 제주도는 국내 나물콩의 주산지로 앞으로 나선선충이 나물콩에 피해를 주기 않을까 우려되며 중요도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위축선충류인 Tylenchorhynchus, 침선충류인 Paratylenchus, 주름선충류인 Criconema, Criconemoide, Mesocriconema, Ogma, 검선충류인 Xiphinema, 궁침선충류인 Paratrichodorus, Trichodorus 등은 국내 콩밭에서는 밀도와 검출율이 낮음으로 중요도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다음의 선충들은 콩에 대한 피해가 확인되지 않았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고자 한다.; 식이성이 토양 조균류인 Tylenchus, Aphelenchus, 잎선충류의 Aphelenchoides, 줄기구근선충인 Ditylenchus, 벼뿌리선충, Hirschmanniella immamuri, 그 외 꼬리주름선충 Basiria graminophila, 곤봉선충류인 Psilenchus, Pseudhalenchus 등은 콩밭에서 드물게 발견이 되고 콩에 대한 피해는 알려져 있지 않음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창선충 Hoplolaimus tylenchiformis는 콩에 상당한 피해를 끼치는 선충이나 표본미확인 상태임으로 콩 기생성선충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콩밭에서 총 26속 41종의 식물기생성선충이 보고되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선충 종류별 콩에 대한 중요도를 검토하고 우리나라 콩 식물기생성선충을 16속 30종으로 정리하였다. 국내 주요 콩 기생선충의 중요 우선순위는 1) 콩씨스트선충, 2) 뿌리혹선충, 3) 뿌리썩이선충으로 생각되며 4) 제주지역의 나물콩은 나선선충의 피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Plant parasitic nematodes were isolated from 274 soil samples collected from soybean fields in Korea. Nematode importance rating in soybean is proposed based on this study and by reviewing other reports. Soybean cyst nematode, Heterodera glycines is the most important nematode species and rated as $1^{st}$ because it detected from 38%(range 25-51%) of soil samples with high density except Jeju provinc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spp. is rated $2^{nd}$ and is more widely distributed in southern provinces, Gyeongnam, Jeonnam, and Jeju province (detection rate ranged 16-44%). Pratylenchus is rated $3^{rd}$ and is more frequently detected from northern provinces such as Gyeonggi and Gangwon (detection rate ranged 10-13%). Helicotylenchus is rated $4^{th}$ and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Jeju province (detection rate is 62% and numbers averaged 571 nematodes/$300cm^3$ soil), which is the main production area for sprouting soybean in Korea. Tylenchorhynchus, Paratylenchus, Criconema, Criconemoide, Mesocriconema, Ogma, Xiphinema, Paratrichodorus, and Trichodorus occur in low frequency and density, thus they are rated to $5^{th}$. We propose to delete following nematode genus from the list of soybean parasitic nematode in Korea because their parasitism on soybean is unconfirmed or negligible; Tylenchus, Aphelenchus, Aphelenchoides, Ditylenchus, Hirschmanniella immamuri, Basiria graminophila, Psilenchus, and Pseudhalenchus. Therefore, we revised 30 species in 16 genera as soybean parasitic nematodes in Korea. Importance rating is $1^{st}$ Heterodera glycines, $2^{nd}$ Meloidogyne spp., $3^{rd}$ Pratylenchus spp. and $4^{th}$ Helicotylenchus spp. especially in Jeju province.

      • KCI등재

        성토재로의 활용을 위한 Bottom Ash의 파쇄지수 산정 및 투수계수 변화

        김동근,손영환,박재성,봉태호,Kim, Donggeun,Son, Younghwan,Park, Jaesung,Bong, Taeho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6

        The objective of the this study is to find the breakage index and changes in permeability of Bottom ash from thermoelectric power plants in Korea. Bottom ash was crushed by compaction according to compaction energy from 0 to $1661.4\;kN/m^2$.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estimated by sieve analysis. The various breakage indexe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chang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effect of compaction energy. In the result, breakage indexes were increased as compaction energy and initial upper 4.75 mm diameter ratio, but values and tendencies of breakage indexes appeared in different as calculation method of breakage indexe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was decreased with particle breakage, but decreasing ratio of permeability was very small. Bottom ash has a higher permeability than the weathered soil and it is considered high usability as a permeable materials.

      • 증강현실 반려동물의 동작 표현 단계에 따른 상대적 효과 측정 기법 설계

        김동근(Donggeun Kim),조동식(Dongsik Jo)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일반적으로 반려동물들은 음성을 통한 대화를 통해 사람과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 음성으로 대화를 할 수 없는 반려동물은 움직임과 표정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이를 파악하는 것은 반려동물과의 의사소통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가상 반려동물의 움직임과 표정도 사용자의 실재감과 공존감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인 상호작용 요소이다. 하지만 최근 AI 기술을 이용하여 상황을 인식하고 동작을 스스로 생성하는 지능형 가상 반려동물을 제작하는 연구에 비해 사용자와 가상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에 집중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 속 반려동물의 동작 표현을 정적, 표정, 동작, 표정과 동작 네 단계로 비교하여 정성적인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높은 몰입경험 제공하는 최적의 증강현실 반려동물 동작 표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증강현실 반려동물 콘텐츠의 개발과 발전에 상호작용 측면에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마사토 운동장 포장의 유지관리를 위한 입자 파쇄 및 현장 다짐 정도 검토

        김동근 ( Donggeun Kim ),김태진 ( Taejin Kim ),전지훈 ( Jihun Jeon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학교 운동장은 학생들의 전인적 교육활동 공간으로 지속적인 단체 체육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따라서, 단체활동에 의한 반복적인 사용과 훼손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교 운동장 포장에 사용되는 마감재의 종류는 마사토, 천연잔디, 인조잔디, 우레탄 등의 탄성포장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긴 흙인 마사토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또한, 2014년 개선된 마사토 운동장 설계 기준을 바탕으로 기존의 운동장을 친환경 마사토 운동장으로 변환하는 친환경 마사토 운동장 조성사업이 계속 진행 중이다. 마사토를 이용한 흙 운동장은 흙 자체가 가지는 친환경적 가치와 친숙함으로 인해 선호되는 경향이 있지만, 풍화토의 특성상 체육활동, 차량 운행 등으로 인해 흙 입자의 파쇄와 다짐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입자 파쇄가 발생하면 조립질의 흙이 점차 세립질로 바뀌면서 강우 시 물이 통과하는 경로가 되는 간극이 점차 막히게 되고 이는 운동장 포장의 배수 성능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다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입자의 재배열로 인해 간극이 감소하여 배수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마사토 운동장의 설계 당시의 배수성능 유지를 위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입자 파쇄 및 다짐의 발생 정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 시공된 마사토 운동장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 및 시험을 수행하였다. 입자 파쇄 및 다짐 정도의 검토를 위해 시공 당시의 시험 성적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서울시 내 친환경 마사토 운동장 10개교를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공 당시와 현장 모니터링 당시의 입도분포, 현장 밀도를 비교하여 입자 파쇄 정도와 현장 다짐도를 검토하였다. 특히, 마사토 운동장의 깊이에 따른 입자 파쇄 및 다짐도의 검토를 위해 표층에서 깊이 15cm지점까지 5cm 간격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마사토 포장의 유지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다공성 실리카를 혼합한 경화토의 건습반복 강도특성

        김동근(Donggeun Kim),방성택(Seongtaek Bang),오세욱(Sewook Oh)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10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실리카를 사용하여 시멘트계 고화재의 유해성을 개선한 경화토의 기후변화에 대한 강도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습윤건조 반복시험을 수행하여 경화토가 기후영향을 받기 전과 후의 강도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경화토는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풍화토 및 우드칩을 사용하였으며, 일축압축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지름 50 ㎜, 높이 100 ㎜의 크기로 혼합토 중량대비 실리카의 혼합비율을 5 %, 10 %, 15 %로 변화시키고 각 단계별로 우드칩을 0.5 %, 1.0 %, 1.5 % 혼합하여 제작하고 7, 14, 28일 동안 상온으로 양생시킨 후 습윤건조 반복과정을 0, 3, 6, 12 cycle을 반복하여 역학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습윤건조 전후의 상대동탄성계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사이클이 종료되면 동탄성시험을 수행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strength properties depended on climate changes of solidified soil amended by porosity silica which enhance harms of cement, this study conducts a wetting and drying repetition test and then, attempts to verify strength properties before and after solidified soil gets environmental influence. Test pieces for the unconfined compression test changed the mixing ratio of solidified soil compared to mixed soil weigh to 5 %, 10 % and 15 %. For each step, it was created by mixing 0.5 %, 1.0 % and 1.5 % of wood chips, and curing period for 7, 14, and 28 days. Then, the wetting and drying repetition process was repeated 0, 3, 6, and 12 cycles to analyze mechanical properties. To also evaluate changes of relative dynamic elastic modulus before and after the wetting and drying, dynamic elastic modulus tests were conducted when each cycle was completed.

      •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심층 신경망 기반 흙의 함수비 및 건조밀도 예측

        김동근 ( Donggeun Kim ),김태진 ( Taejin Kim ),전지훈 ( Jihun Jeon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딥러닝 (Deep Learning)은 이미지 분류 및 분석 분야에서 기존의 분석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성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한 토양 특성 예측 분야에 딥러닝을 적용하면 낮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현장의 토양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법 중 심층신경망 (Deep 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흙의 디지털 이미지를 분석하여 물리적 특성 중 함수비와 건조밀도를 예측하고자 한다. 함수비와 건조밀도를 다르게 조정한 시료를 원형 몰드에 고르게 성형하였으며, 광조건이 일정한 실내 스튜디오에서 표층의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이때 심층신경망의 입력자료 구축을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으로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Digital Image Processing)을 적용하였다. 토양 이미지에서 토양의 색상정보 (RGB)와 함께 임계값 (threshold)별로 간극면적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심층신경망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임계값별로 추출한 간극면적은 하나의 변수인 표준편차로 치환하여 모델에 입력하였다. 심층신경망의 학습시에는 모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k-겹 교차검증 (k-fold cross validation)을 수행하였다.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함수비 예측 시의 RMSE는 0.2∼1.0%로 나타났으며, 건조밀도 예측 시의 RMSE는 0.061∼0.101 t/m<sup>3</sup>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 결과에 비해 높은 정확도로 토양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속하고 경제적인 토양 모니터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UAV 영상을 이용한 간척지 표층 함수비 추정방법의 현장 적용성 평가

        김동근 ( Donggeun Kim ),김태진 ( Taejin Kim ),전지훈 ( Jihun Jeon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간척지는 초기 염도가 높아 작물의 생육이 어렵기 때문에 제염 이후 활용하여야 한다. 토양 내에서 염분의 이동은 수분의 이동과 함께 이루어지는데 이때 토양 표층의 함수비가 낮은 경우 모세관현상에 따라 염분 이 상승하여 표층에 집적되는 재염화 현상이 발생한다. 간척지와 같은 해안 매립지의 경우 지하수위가 높아 초기 제염 이후에도 재염화 현상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농경지로의 활용을 위해서는 표층 함수비의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모니터링을 위해 시료를 주기적으로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방법은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넓은 간척지 지역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비행체 (UAV)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의 색상정보를 통해 표층의 함수비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간척지 중 시화지구의 토양을 대상으로 표토를 채취하였으며 건조 후 함수비를 0∼30%로 조정하여 팬에 포설하였다. 이를 실외 태양광조건에서 UAV로 고도 20, 50, 100, 150m에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이후 팬의 시료를 채취하여 함수비를 측정하였으며 샘플링 지점의 RGB값을 추출하여 이를 이용한 함수비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추정식의 현장 적용 시 추정식 개발시와 현장의 광조건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이미지의 색상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현장의 일부 시료를 활용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모니터링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시료의 개수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보정용 시료 4개 확보 시함수비 추정식의 RMSE는 평균 3.16%, 표준편차 0.50으로 나타나 현장의 함수비를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척지 표층 함수비 추정의 정확도 및 모니터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입자파쇄와 현장밀도에 따른 바텀애쉬의 투수특성 변화

        김동근 ( Donggeun Kim ),박재성 ( Jaesung Park ),노수각 ( Sookack Noh ),봉태호 ( Taeho Bong ),손영환 ( Younghwan Son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바텀애쉬는 국내 발전량의 절반 이상을 생산하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이다. 발생되는 바텀애쉬의 60% 가량은 매립되고 있으나 현재 매립지의 부족 및 처리 비용 증가로 인해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바텀애쉬는 입자 내부의 공극이 많으며 일반적인 흙에 비해 비중이 작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매립재나 배수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텀애쉬는 다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다짐에 의한 입자의 파쇄가 일어나기 쉽고 시공 시 다짐에 따른 현장밀도의 변화로 투수성 저하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바텀애쉬의 파쇄정도 및 현장밀도에 따른 투수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자 다짐시험, 입도분석 및 투수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짐시험을 통해 구한 최적 함수비에 해당하는 시료를 다짐에너지를 달리하여 입자를 파쇄하였다. 파쇄정도가 다른 시료들에 대해 입도분석을 실시하고, 파쇄 전 시료의 입도분석 결과와 비교를 통해 파쇄지수를 산정하였다. 파쇄 된 시료를 각기 다른 밀도에 따라 재성형한 후 변수위 투수시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파쇄정도 및 밀도변화에 따른 투수계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바텀애쉬의 재활용 시 소요의 투수성을 만족하는 파쇄정도 및 단위중량을 제시하고 시공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