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 cgclic oxalate의 합성과 반응성 연구

        김남령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new protective group for diols, cyclic oxalates (26) (30) were synthesized by using oxalyl chloride, ethyl oxalyl chloride, diethyl oxalate and oxalic acid. In the reaction of diol with oxalyl chloride, the product was a mixture of the cyclic oxalate(26) and mono oxalate(27). When ethyl oxalyl chloride was used with pyridine as base, acyclic oxalates (28) (31) were obtained. Whereas ethyl oxalyl chloride with triethylamine instead of pyridine, cyclic oxalates (26) (30) as well as acyclic oxalates (28) (31) were obtained. Using diethyl oxalate, the amounts of cyclic oxalates (26) (30) were increased, but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 separations of its desired products. Oxalic acid, however, did not afford cyclic axalates but gave formate which probably was formed by decarboxylation of hydroxy-oxalyl group. Cyclic oxalates were readily cleaved to the corresponding diols by various bases but were stable in acid.

      • 서초구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개선요구 분석

        김남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Seocho-gu and Seocho Support Centre for Childcare have operated a specialized educational curriculum(basic) for infant care teachers (referred to as the 'teachers') since 2015 to increase a quality of childcare centers in Seocho-gu jurisdiction by providing educational curriculum specialized for the infant care teachers and giving an incentive to those who complete the course. This research is aim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requiring improvement from the teachers who were offered to take the specialized education curriculum (referred to as the 'curriculum' three different times from 2015 to 2016. This can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pecializ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offer fundamental information for efficient operation in the future. Therefore, the questions based on the aim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pecialized educational curriculum? 2. What are the required improvements for the specialized educational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183 participants who had attended the curriculum between 2015 and 2016. The researcher prepared the questions based on precedent survey and related references with professional advices. A total of 25 questions (30 questions including subordinate questions) are as follows; 10 questions related to general background and the curriculum, 3 questions related to the teachers' perception and 12 questions about require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total 17 questions including subordinated questions). Collected information is calculated into percentage and counts by the questions. Standard deviation is also calculated in need and multiple responses are analyzed by case percentage calculation. The analyzed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who took the curriculum were aware of the need for the specialized education on the grounds of improving professionalism as an infant care teacher. For this, more than half are assumed to positively recognize the need of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ose who responded negatively found the curriculum to be unhelpful. The period when the curriculum was taken was evenly divided from 2015 to 2016 not focused on the particular group. The purpose of taking each class was mostly to acquire practical information and skills such as professional knowledge and higher quality of teaching skills for infant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whil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ethics, motivation of self-development and increase of confidence were not considered as much. Second,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suggested taking the curriculum "when starting the infant class". While the remainder of the participants suggested to take the curriculum "before starting the infant classes". The time most preferred for the taking the class was the weekend.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wanted to maintain the 48 hours requirement while others suggested for shorter hours for the curriculum. Furthermore, based on the variety of opinions, the incentives given to those who completed the curriculum are considered to be improved in some parts. The parts include higher payment and extended period of incentive pay. The participants preferred learning practical skill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however; they also wanted to take theo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lasses. The instructors preferred were relatively as follows; the experienced instructor in infant classes, the former-present principal, and professors majored in childcare relative department. In general, the participants hoped to focus on the practical teaching skills with case-study. Based on the grounds above, this research suggests administrative support and a customized education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conditions with efficient to operation of the specialized educational curriculum. 서초구와 서초구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는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수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서초구 관내 어린이집 보육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2015년부터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3회에 걸쳐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을 수강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개선요구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향후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에 대한 영아교사의 개선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6년 진행된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에 참석한 수강생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토대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다. 총 25문항(하위문항 포함 30문항)으로 일반적 배경 및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 수강 관련 10문항,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에 대한 인식 3문항과 요구 12문항(하위문항 포함 시 17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별로 빈도, 백분율을 구하고, 필요한 경우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중복응답 문항은 케이스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을 수강한 영아교사 대다수가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 이유로 과반 수 이상이 영아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라고 응답해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영아교사들은 내용이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이들의 수강 시기는 2015년부터 2016년에 걸쳐 대체로 고른 분포를 보여 특정 기수에 몰려 있지는 않았다.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의 각 교과목별 목적에 대해서는 대체로 전문지식 습득, 영아 지도기술 향상 등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이나 기술 습득이라고 인식한 반면, 직업 윤리 확립, 자기계발 동기 부여, 자긍심 획득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을 수강하기 적절한 시기는 '영아반을 맡기 시작할 때'라고 과반 수 이상이 답하였으나, '영아반을 맡기 전' 언제라도 수강 시기로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 또한 과반수에 가깝게 나타났다. 적절한 시간대로는 현재와 같이 주말 시간대를 선호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총 48시간으로 진행되고 있는 교육시간에 대해서도 현재와 같이 유지되기를 희망하는 의견이 과반 수 이상이었으나, 현재의 시간이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영아교사들은 대체로 시간 단축을 요구하였다. 또한 현재 이수자에 한해 지급되는 인센티브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인센티브의 금액 인상이나 지급기한 연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현행제도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희망하는 교육 형태로는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제적인 방법을 위주로 하되, 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이론적 강의를 병행하는 방법을 선호하였다. 희망하는 강사진은 영아반 경력이 많은 교사, 전 현직원장, 보육관련학과 전공 교수 순으로 선호하였고, 공통적으로 현장 사례중심으로 교육 받기를 희망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영아반 보육교사 전문교육과정(기본)의 효율적인 운영으로 영아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처우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요자 맞춤형 교육제공과, 행정적 지원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입원형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가 말기암 환자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김남령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medical care provided by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o see if there are any problems with the hospice palliative care system. We used the claims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Evaluation Center of terminal cancer patients who died at a tertiary hospital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7. Th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days spent in the palliative ward group and the general ward group, the daily cost, the cost per admission, and the number of daily analgesic use, Age, type of insurance, type of cancer, and accompanying disease score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number of days of hospitalization, daily expenses, and daily use of analgesics. The number of hospital day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palliative ward group than in the general ward group. The cost of hospitalization per da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lliative ward group than in the general ward group, and the cost per hospitalization was lower in the palliative wards group but not significant. The number of daily analgesic u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palliative wards than those in general wards. Regression analysis of age, sex, type of cancer, type of insurance, score of accompanying diseases, number of days of hospitalization, cost of medical treatment (daily fee, cost per case), number of daily analgesic u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hospital days and the daily use of analgesic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daily medical expenses decreased significantly.In case of medical expenses per case, the use of palliative wards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wards,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 use of palliative care not onl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but also reduces medical expens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palliative ca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medical staff and the public according to the education and publicity related to palliative care. In addition,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to actively encourage the use of palliative care and to link hospitalized, home-based, and advisory hospice services. Key words: terminal cancer patients, hospice, palliative care, days of hospitalization, cost per day, cost per incident, number of daily analgesic use 이번 연구는 말기암 환자의 완화의료 이용여부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로 인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보기위한 것이다. 2017년 1월 ~ 12월 상급종합병원에서 사망한 말기암 환자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자료를 이용하였다. 완화병동 이용군과 일반병동 이용군의 재원일수, 일당진료비, 입원건당진료비, 일당진통제사용횟수의 차이를 비교(t-test)분석하였다. 완화병동 이용여부에 따른 재원일수, 일당진료비, 일당진통제사용횟수을 보기 위해 성별, 연령, 보험종류, 암종류, 동반질환점수를 통제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완화병동 이용군이 일반병동 이용군 보다 재원일수가 유의하게 길었다. 입원 일당진료비는 완화병동 이용군이 일반병동 이용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입운건당 진료비는 완화병동 이용군이 낮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일당진통제사용횟수는 완화병동 이용군이 일반병동 이용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 성별, 암 종류, 보험종류, 동반질환점수를 통제하고 재원일수, 입원건당 진료비, 입원일당 진료비, 일당진통제사용횟수를 회귀분석한 결과 일반병동 이용군에 비해 완화병동 이용군의 재원일수와 일당진통제 사용횟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입원일당 진료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입원건당 진료비의 경우 일반병동 이용군에 비해 완화병동 이용군이 낮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완화의료 이용은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의료비용도 감소시킨다. 이에 완화의료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완화의료 관련 교육과 홍보에 따른 의료진과 국민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완화의료 이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입원형, 가정형, 자문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연계 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핵심어 : 말기암, 호스피스, 완화의료, 재원일수, 일당진료비, 건당진료비, 일당진통제

      •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이 직무지식, 수행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金南伶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and verify with those of existing job education its effects on the job knowledge,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followed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Web-Based Evidence-Based Nursing(EBN) job education program on the subject of 'respirator patient nursing.'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apply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this study comprised two groups with the participants of 21 nurses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21 nurses for a control group arbitrarily selected from among new nurses working at four serious case units of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wangju city. The instruction design model of Dick, Carey and Carey (2001) was applied to the web-based EBN job education, which had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September 2003 and July 2004.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and program application was between July 26 and September 4, 2004, during which pre-test for measuring variables, total four weeks of experiment treatment, two times of control group training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Measuring tools used to verify the program effect were a job knowledge measuring tool that I composed according to 'Respiratory Therapy Review' by Kelsey (1982), and in terms of measuring the job performance, firstly a measuring tool of problem solving modified-supplemented by Woo Okhee (2000) was adopted, and secondly a measuring tool of for nursing performance that I modified-supplemented with the performance checklist for the respirator by AACN Also, a measuring tool of learning motivation developed by Keller (1994) and later modified-supplemented by Jang Heejeong (1996) was taken in use for this study. For the analysed data, by using SPSS/Win 11.0 PC+, χ²-test, t-test and Fisher's exact probability were us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w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test and ANCOVA were performed to compare two groups on each of the measures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Hypotheses 1, 'After intervention on web-based EBN job education, job knowledge in experimental group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accepted because there wa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210, p=.649). 2. Hypotheses 2, 'After intervention on web-based EBN job education, job performan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ere all accep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wo subhypotheses. 3. Hypotheses 3, 'After intervention on web-based EBN job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accepted because it w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119.38) had statistically higher point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111.23) (t=2.445, p=.019). In the final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web-based EBN job education program was verifi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linical nurses' problem solving and their job performance where their job is related critically to life, and in particular, this scientific results proved through a nursing study could be applied to the clinical fiel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job. Thus in this study a positive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EBN job education program is a suggestion for nurses' maintaining training and job education.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환자간호’를 학습주제로 근거-중심 간호(EBN)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웹으로 개발하고, 간호사들에게 적용한 후 직무지식, 수행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기존의 직무교육과 비교·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로, 광주광역시 소재 C대학병원 중환자실 4곳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를 편의표집하여 실험군 21명, 대조군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 단계로 이루어졌다.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은 교수설계 개발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Dick, Carey와 Carey(2001)의 수업설계모형을 적용하여 2003년 9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개발하고 수정·보완하였다. 자료수집과 프로그램 실시기간은 2004년 7월 26일부터 2004년 9월 4일까지로 측정변수에 대한 사전조사, 총 4주 동안의 실험처치 및 2회의 대조군 교육 그리고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로 직무지식은 Kelsey(1982)의 “Respiratory Therapy Review"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직무지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직무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첫째, 문제해결 능력은 Lee(1978)가 개발하고 우옥희(2000)가 수정·보안한 문제해결 능력 측정도구를, 둘째, 업무수행 능력은 AACN(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의 업무수행측정도구(performance checklist)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업무수행 능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학습동기는 Keller(1994)가 개발하고 장희정(1996)이 수정·보완한 학습동기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0 PC+를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χ²-test, t-test 및 Fisher's exact probability로, 가설 검증을 위한 두 군 간의 직무지식, 문제해결 능력, 업무수행 능력, 학습동기의 차이는 t-test, ANCOVA로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인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을 받은 간호사들은 기존의 직무교육을 받은 간호사와 교육 후 직무지식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지지되었다(F=.210, p=.649). 2. 제 2 가설인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을 받은 간호사들은 기존의 직무교육을 받은 간호사들보다 교육 후 직무수행 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의 2개의 부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지지된 부가설은 부가설 1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을 받은 간호사들은 기존의 직무교육을 받은 간호사들보다 교육 후 문제해결 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F=5.914, p=.020)와 부가설 2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을 받은 간호사들은 기존의 직무교육을 받은 간호사들보다 교육 후 인공호흡기 환자간호에 대한 업무수행 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F=6.436, p=.015)이었다. 3. 제 3 가설인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을 받은 간호사들은 기존의 직무교육을 받은 간호사들보다 교육 후 학습동기가 더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119.38점)이 대조군(111.23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2.445, p=.019). 특히 4개의 부가설 변수 중 주의집중(t=2.197, p=.034), 자신감(t=2.286, p=.028), 만족감(t=2.478, p=.018)은 중재 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으며, 관련성(t=1.345, p=.186)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 프로그램은 생명과 직결되는 간호직무를 수행하는 임상간호사의 문제해결 능력과 업무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특히 간호연구를 통해 입증된 과학적 근거를 임상실무에 투입함으써 간호업무의 표준향상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사 보수교육과 직무교육에 근거-중심 간호 교육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