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레탄수지에서 캐비테이션 저항을 높이기 위한 Polyol의 영향

        이익수,김낙주,박대원,Lee, Iksoo,Kim, Nackjoo,Pak, Daewo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에 의한 부식에 강한 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탄성의 우레탄 수지에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Polypropylene glycol(PPG), Polycarbonate diol(PCD), Polycaprolactone polyol(PCL-1), Polycaprolactone-tetramethylene glycolether(PCL-2) 등 4가지 종류의 Polyol을 첨가하여 제조한 도료의 물성과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합성된 도료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 Polyol 중에서는 PCD을 첨가한 경우 경도와 내마모성이 높아 캐비테이션 저항성이 높을 수 있는 물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점도를 가지고 있어서 도료화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점도가 낮은 도료를 위하여 PCL-1을 적절한 첨가제로 선정하였다. PCL-1이 첨가된 도료의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EM을 이용하여 표면 분석을 통한 기공의 침식현상을 관찰하였다. In this study, a new paint which is able to resist the cavitation erosion is tried to be developed by using urethane added with polyol such as poly propylene glycol(PPG), poly carbonate diol(PCD), polycaprolactone polyol (PCL-1), and poly caprolactone-tetramethylene gylcolether polyol(PCL-2). The new paint synthesized by adding polyol was characterized with physical properties and resistivity to cavitation erosion. Among polyol, the prepolymer added with PCD showed high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However, due to too high in viscosity, the prepolymer added with PCL-1 was selected as a paint. The paint added with PCL-1 showed high resistivity to cavitation erosion and its surface was monitor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KCI등재

        나노입자 첨가를 통한 우레탄수지의 캐비테이션 저항 향상

        이익수,김낙주,박대원,Lee, Iksoo,Kim, Nackjoo,Pak, Daewo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에 의한 부식에 강한 도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탄성의 우레탄 수지에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Multi wall과 Single wall type의 Carbon nano tube(CNT)와 Spherical과 Fiber type의 Graphite 나노 입자를 첨가하여 물성과 캐비테이션에 대한 저항성, 작업성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나노 입자로서 Graphite에서는 캐비테이션 저항성($t_{50}$)이 Spherical type($t_{50}$ 182min)보다는 Fiber type($t_{50}$ 292min)이 높은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CNT에서는 Single wall type의 캐비테이션 저항성($t_{50}$ 286min)이 Multi wall보다는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나노 입자중에서 가격 및 캐비테이션 저항성을 감안하면 가장 최적의 나노 입자는 Fiber type의 Graphite로 관찰되었다. 도료의 작업성 평가에서 수동 작업에 의해 제작된 표면은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으나 Spray 작업에 의해 제작된 표면은 표면이 균일하지 않으며 Spray시 발생된 Dust가 표면에 고착된 형태로 관찰되었다. In this study, a new paint which is able to resist the cavitation erosion is tried to be developed by using urethane added with nano particles such as multi-wall and single-wall carbon nano tube and spherical and fiber type graphite. The new paint synthesized was characterized with physical properties and resistivity to cavitation erosion($t_{50}$). Among nano particles, fiber type graphite($t_{50}$ 292min) showed high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compared with spherical type($t_{50}$ 182min). For carbon nano tube, single-wall type($t_{50}$ 286min) was higher than multi-wall type in wear resistance. Fiber-type graphite was the best nano-particle for paint with resistivity to cavitation erosion. In the application test of paint, the manually painted sample showed surface with smooth but the surface of sample prepared with spray was not smooth. During spray, dust was fixed on the surface.

      • KCI등재

        현장에서의 바이오가스 포집방법이 실록산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다은 ( Da-eun Kim ),박성범 ( Sungbeom Park ),박대원 ( Daewon Pak ),김낙주 ( Nackjoo Kim ) 한국환경분석학회 2016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19 No.3

        Siloxanes are volatile silicon compounds found in biogas that need to be removed in the process of utilizing biogas as an energy source. Therefore, optimal detection of siloxanes in biogas is essential. In this study, two different configurations of a direct sampling method using methanol for solvent absorption are compared. The two configurations are on-site and off-site direct sampling. The on-site direct sampling involves trapping gas directly from the biogas source in impingers filled with methanol, and the off-site method involves absorbing gas in impingers from gas bags filled with biogas previously sampled and homogenized under controlled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The absorption methodology used is originally from Air Toxics Ltd. and ESS Laboratories. A change in flow rate was considered in order to keep the same composition of biogas throughout multiple sampling events. Also, GC/MS and ESTD methods were applied. To minimize instrumental errors, different GC capillary columns were tested to find the optimal GC/MS conditions. Polysiloxane coated columns (HP-1MS, HP-5MS) showed better peak separation and quantification when compared to a polyethylene glycol-coated column (HP-INNOwax). Finally, the two sampling configurations were statistically compar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ection results between them.

      • 바이오가스 고질화와 초저온액화공정을 통한 액화바이오메탄 생산

        심동민(Shim, Dongmin),성현제(Sung, Hyunje),박성범(Park, Seongbum),김낙주(Kim, Nackjoo),장호명(Chang, Homyung),이재영(Lee, Jaeyoung),이영민(Lee, Youngmin),이우철(Lee, Woocheul),오화수(Oh, Hwaso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본 연구는 바이오가스의 에너지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로서 바이오가스 정제공정과 초저온액화공정을 통하여 액화바이오메탄을 생산하는 바이오가스 고질화기술개발 연구이다. 바이오가스 정제공정은 탈황, 제습, 흡착, 압축, CO₂/CH₄ 분리공정으로 구성하고, 초저온액화공정은 열교환기, CO₂ 제거설비, 질소냉매 공급공정으로 구성하여 혐기성소화조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CH₄ 농도: 60~65%, H₂S: 1,500~2,500ppm)를 200Nm³/hr의 유량으로 인입시켜 액화바이오메탄을 생산하였다. 연구결과, 탈황공정에서는 가성소다 세정법을 이용하여 1,500~2,500ppm으로 인입되는 H₂S를 100ppm 이하로 제거한 후, 흡착법을 이용하여 H₂S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바이오가스에 포화된 수분은 냉각제습과 흡착제습공정을 통해 Dew point -70{sim}-90?C까지 제거하여 안정적으로 CO₂/CH₄ 분리공정에 인입시켰다. CO₂/CH₄ 분리공정은 흡착방식을 적용하여 CH₄ 순도가 95% 이상인 바이오메탄을 생산하였으며, 이때 메탄 회수율은 약 87%이였다. CO₂가 분리된 바이오메탄은 초저온액화공정을 이용하여 액화바이오메탄으로 전환시켰다. 이때 초저온액화공정은 Reverse Brayton cycle로 구성하였으며, 냉매로는 질소를 사용하였다. 액화바이오메탄의 생산은 바이오메탄을 등엔트로피과정인 단열팽창을 통하여 -155{sim}-159?C의 초저온으로 냉각되는 질소냉매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켜 이루어졌으며 그 생산량은 3.46m³/day(1bar, -161?C)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