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묘제를 통해 본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 변화

        김나경(Kim, Na-gy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본고는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을 오묘에 봉안된 태조대왕 및 시조대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신라에서는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여러 명의 시조가 등장하는데, 특히 김씨의 경우에는 왕위를 독점한 이후에 성씨의 시원인 알지가 아닌 시조들이 나타난다. 이는 신라 왕실의 시조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시조 인식은 그에 대한 제사를 통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제사 대상이 세대마다 교체되는 오묘제에 주목하였다. 중대부터 신라에는 유교적 예제인 오묘가 실시되는데, 신라 오묘제의 최고 수위에는 태조대왕과 시조대왕이 모셔진 바 있다. 먼저 혜공왕대 오묘 개편으로 봉안된 미추의 경우에는 김씨 최초로 왕위에 오른 시봉지군의 자격과 오랫동안 나라를 지켜온 공덕이라는 명분 하에 왕실의 시조로 부상하였다.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서는 오로지 미추만을 시조로 표현하였으며, 기존의 태조와 구분하기 위하여 시조대왕이라는 신라만의 묘호로 미추를 모시게 된 것이다. 그리고 혜공왕대 이전 오묘에는 시조위에 태조대왕이 모셔졌는데, 문헌 기록에는 오묘의 태조대왕이 유일한 ‘태조’에 대한 흔적이다. 비록 태조는 「진흥왕 순수비」에 일찍부터 나타났지만 중대에 이르러서야 성한이라는 태조의 이름이 등장하게 된다. 한편, 태조 성한은 소호금천씨 및 김일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당시 신라와 당의 활발한 교류로 인한 결과로 추정된다. 특히 소호금천씨는 왕실 이외의 가야계 유신 등의 김씨와도 연결된 것으로 보이다가 결국 알지 전승과 함께 김씨의 기원으로 고려까지 전래된다. 결국 알지는 김성의 연원으로서 일종의 시조신으로 기능하였기 때문에 오묘가 아닌 별도의 제사에 모셔졌으며, 김씨 왕실의 조상신으로 태조대왕 및 시조대왕이 오묘와 관련된 기록에 남아있게 되었다. 처음 오묘제가 수용될 때에는 태종 무열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함과 동시에 기존의 태조 인식과 결합하여 태조대왕이 모셔졌다가 혜공왕대에 이르러 시봉지군인 미추가 새롭게 부상하였다. 그러다가 하대에 무열왕계가 아닌 나물왕계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다른 변동 없이 김씨 왕실의 시조격인 미추가 오묘에 계속 안치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progenitor of the S illa Kim’s royal family, focusing on King Taejo the great(太祖大王) and King Sijo the Great(始祖大王) enshrined in the Omyo(五廟). The Confucian example of Omyo was implemented in Silla from the Middle Ages. King Michu became the founder of the Kim royal family by King Hyegong because he was the first Kim king and protected Silla for a long time. The Samguksaki(三國史記) and The Samgukyusa(三國遺事) stated that only King Michu was the founder(始祖). King Michu was named King Sijo the great, who only used Silla to distinguish from King Taejo. Before King Hyegong, there was King Taejo the great in Omyo, which was recorded only in the Samguksaki(三國史記). King Taejo first appeared in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眞興王巡狩碑」), at which time it was unknown who King Taejo was. It was not until the 7th century that the name Taejo Seonghan appeared intact in Silla. Taejo Seonghan appeared as King Taejo the great of Omyo, who was recorded as descendants of the Soho Geumcheon(少昊金天氏) and Kim Ilje. This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active exchanges between Silla and Tang(唐) at that time. In the end, Kim Al-ji was a kind of Progenitor God, so he was enshrined at a memorial service other than the Omyo. On the other hand, records of King Taejo the great and King Sijo the great remained as Ancestor God of the Kim’s royal family of Silla.

      • KCI등재

        의료 개념의 다층적 이해와 법

        김나경,Kim, Na-Kyoung 대한의료법학회 2010 의료법학 Vol.11 No.2

        This article analyses the concept of medicine in the legal context.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concept of medicine because medical practice has various dimension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actice is performed has a broad variety. The duty of medical law is to build the boundary of protection in that the nature of medicine would not be distorted by the factors of social systems like industry or governmental authorities. Without understanding the various dimensions - especially the dimension of Humanities and Sociology - of the medicine it is not possible to draw the limit on the performance of medicine appropriately. Concerning the medical practic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regulation of medical licence), the enacted law (Medical Act) defines the concept just for form's sake and it finally depend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egal enforcement authorities. Moreover, between the judgments of the courts there exists no coherent principles for the regul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dical Act depends often on the riskiness, the abstract concept, which finally leads the interpretation to depend on the subject of the practice. On the contrary, the development and scientific movement of the technology tends to tighten the range of the medical professionals of medical practice and the perspectives of the medicine. Medical act is actually oriented at the patient's understanding of him- or herself. The above-mentioned tendency of the interpretation and the legal policy could lead the medicine away from its nature.

      • KCI등재

        한국 의료법에서 후견주의 이념의 수용, 변형 그리고 거부 - 치료중단에 대한 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김나경,Kim, Na-Kyoung,Harmon, Shawn H.E. 한국발생생물학회 2010 발생과 생식 Vol.14 No.2

        This article analyzes two leading Korean cases which led to opposite conclusions: the Boramae Hospital Case (Korean Supreme Court 2002 Do 995) and the Shinchon Severance Hospital Case (Korean Supreme Court 2009 Da 17471). In doing so,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cceptance, modification, and rejection of paternalism, specifically 'physician paternalism' and 'familial paternalism', both of which have long and strongly influenced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In Boramae Hospital, the Court emphasized the obligation of the physician in terms of the life of the patient (eg: protecting and preserving the life and welfare of the patient). Its position seemed to be based on the traditional physician paternalism which presupposes the ability of physicians to identify right and wrong choices according to natural laws. However, the Court saw itself as the final arbiter of who identifies and determines the real world content and consequences of that natural law. In short, the Court elevated itself to the supreme guardian of the patient, and held that its decision cannot be overruled by that of the patient's family. So without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and the role of familial decisions, both long-observed traditions in medical decision-making in Korea, the Court shifted away from familial paternalism. In Shinchon Severance Hospital, the Court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patient's powers of self-rulemore concretely, explaining its scope and substance in greater detail. The Court held that one can exercise the right of self-rule, even over issues such as death, in the form of 'previous medical directions'. However, this case does not represent a wholesale acceptance of medical autonomy (ie: it does not accept self-rule unconditionally). Rather, the Court accepted the importance of the opinions and decision of physicians and of the Hospital Ethics Commission, and the Court still retained to itself the authority to review and make alterations to 'material' decision. The Court di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decision of the patient's family, but it also did not relinquish its status as supreme guardian, emphasizing the 'objective' nature of a decision from the court.

      • KCI등재

        新羅 五廟制 受容의 意味

        김나경(Kim, Na-Gyung)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7

        『三國史記』에는 新羅의 宗廟制를 크게 始祖廟祭祀, 神宮祭祀, 五廟制의 세 가지 종류로 전한다. 신라는 건국 초기 세 집단이 왕위를 교대로 차지하였고, 이 시기의 三姓 集團은 각자 始祖를 위해 제사를 지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시에 赫居世는 國祖로서 인식되어 성씨에 상관없이 新王은 즉위 후에 시조묘에서 제사지냈음이 확인된다. 그러다가 마립간시기에 이르러 신라 왕위를 金氏 집단이 독점하게 되면서 炤知麻立干代에 신궁제사라는 새로운 제사가 등장하게 되었다. 신궁은 김씨 시조를 主神으로 모셔 설치한 것이며, 신궁제사는 시조묘제사를 대신하여 新王의 卽位儀禮的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시조묘제사나 신궁제사가 유지되는 한편, 중대에 이르러 왕실의 가계가 聖骨에서 武烈王系의 眞骨로 변하게 되면서 무열왕계 왕실은 기존 왕실과의 차별성을 위해 儒敎的 禮制인 오묘제에 주목하였다. 결국 문무왕대에 이르러 신라에 오묘제가 수용되었고, 오묘제의 수용은 이제 유교적 관념이 본격적으로 신라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신라 중대의 왕들은 초기 오묘 구성은 太祖大王과 直系 4대조로 구성함으로써 유교적 예제인 오묘제를 통하여 왕실을 김씨 집단과 차별·분리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다가 惠恭王代에 이르러 중대 왕실의 중시조격인 太宗大王이 毁撤될 상황이 되자, 태종대왕과 文武大王의 공덕을 인정하여 ‘世世不毁之宗’으로 삼았다. 동시에 태조대왕 대신 최초의 김씨 왕이자 庾信의 혼령을 위로한 공덕 등이 있는 미추를 始祖大王으로서 오묘에 봉안하였다. 결국 신라의 오묘제 수용은 기존의 시조묘와 신궁제사를 통하여 하늘로부터 내려온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함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오묘제를 통해 직계 조상에게 제사함으로써 왕위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보다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Thrones in the Silla were shared among a few families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dom.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 Families(三姓) performed their respective ancestral rites during this period. HyeokGeoSae(赫居世), the progenitor of the Family Park(朴氏 集團), was recognized as the founder of the nation, and thus every king of the Silla performed the rites for him at the Sijomyo. Since the time of Ma-lip-gan(麻立干), the thrones of the Silla had been monopolized by the Family Kim(金氏 集團), and new rites termed Singung Ancestral rites had emerged during the time of King Soji(炤知王). Singung had been built for the progenitor of Kim, and Singung Ancestral rites had played a role of the new enthronement ceremony. Then, the King Muyeol(武烈)’s family line paid attention to the more Confucian rite system, Omyoje. Eventually, in the time of King Munmu(文武王), the Silla adopted Omyoje, and its adoption meant that the Confucian idea at last affected the Silla in earnest. In particular, kings in the middle period of the Silla made effort to differentiate and separate the royal family from the Kim family through Omyoje, a Confucian ritual system. Then, in the time of King Heygong(惠恭王), as King Taejong the great(太宗大王), the founder of the middle period of the kingdom, was about to be moved out of the Omyo, the achievements of King Taejong the great and King Munmu the great(文武大王) were recognized and thus accepted as ‘Sesebulhwijijong(世世不毁之宗)’. At the same time, King Michu(味鄒王) who had been the first king from the family Kim was enshrined as one of the founder kings in the Omyo. Eventual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doption of Omyoje meant that the royal family emphasized the legitimacy and justification of the throne by performing the rites for direct ancestors through the new rites, Omyoje while emphasizing the sacredness of the royal authority descended from God through the Sijomyo and Singung Ancestral rites.

      • KCI등재

        무인항공기 영상과 딥러닝 기반의 의미론적 분할 기법을 활용한 야적퇴비 탐지 연구

        김나경 ( Na-kyeong Kim ),박미소 ( Mi-so Park ),정민지 ( Min-ji Jeong ),황도현 ( Do-hyun Hwang ),윤홍주 ( Hong-joo Yoon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3

        야적퇴비는 대표적인 축산계 비점오염원으로 강우로 인해 수계로 유입될 경우 야적퇴비에 포함된 인과 질소 등의 영양염류가 하천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 영상과 딥러닝 기반의 의미론적 분할 기법을 활용한 야적퇴비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연구지역에서 취득한 39개의 정사영상을 토대로 Data Augmentation을 통해 약 30,000개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취득한 데이터를 U-net을 기반으로 개발된 의미론적 분할 알고리즘에 적용시킨 후 OpenCV의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화소정확도는 99.97, 정밀도는 83.80%, 재현율은 60.95%, F1- Score는 70.57%의 정확도를 보였다. 정밀도에 비해 재현율이 떨어지는 것은 정성적으로 보았을 때 전체 이미지에서 가장자리에 작은 비율로 야적퇴비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과소추정되었기 때문이다. 향후 추가적인 데이터셋과 RGB 밴드 이외의 추가 밴드를 조합한다면 모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eld compost is a representative non-point pollution source for livestock. If the field compost flows into the water system due to rainfall, nutrients such as phosphorus and nitrogen contained in the field compost can adversely affect the water quality of the riv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ng field compost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and deep learning-based semantic segmentation. Based on 39 ortho images acquired in the study area, about 30,000 data were obtained through data augmentation. Then, the accuracy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semantic segmentation algorithm developed based on U-net and the filtering technique of Open CV. As a result of the accuracy evaluation, the pixel accuracy was 99.97%, the precision was 83.80%, the recall rate was 60.95%, and the F1-Score was 70.57%. The low recall compared to precision is due to the underestimation of compost pixels when there is a small proportion of compost pixels at the edges of the image. After, It seems that accuracy can be improved by combining additional data sets with additional bands other than the RGB b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