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배수 및 염배수의 근역혼합특성 분석을 통한 방류시스템의 최적설계

        남기대(Ki-Dae Nam),이중우(Joong-Woo Lee),강민(Kang-Min Kim),김기담(Ki-Dam Kim),필성(Pill-Su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8

        해양방류시스템을 계획할 때 우선목표는 방류수의 초기희석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류수와 주변수의 혼합현상, 특히 초기혼합영역인 근역에 대한 특성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최적의 방류시스템(outfall system) 구현을 위하여 근역(NFR)에서의 온배수 방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온 배수(heat discharge)와 염배수(brine discharge)를 동시에 방류 할 경우를 고려한 성과물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수와 영수를 동시에 고려한 방류시스템의 최적석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류수의 거동양상 특히, 근역에서의 혼합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은 표면방류, 단일확산관 방류, 다공확산관 방류를 해당해역의 법적 수질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면방류와 단일확산관 방류는 방류형식이 부적절하였고, 다공확산관의 경우 기하학적인 형상에 따라 결과가 조금 상이하였다. When planning outfall system, the first target of design is to maximize initial dilution of discharge effluent. To achieve the target eff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mixing phenomenon between ambient and discharged water should be analyzed. Especially the analysis at the Near-Field-Region(VFR) as initial dilution zone should be preceded Usually, the initial behavior of effluent through outfall system is rising toward the surface due to mixing with ambient water lor heat discharge and sinking toward the bottom due to the difference of density for brine discharge. After mixed with eddies accompanied by the ambient water, the plumes are showing the same density and internal current pattern by advection and diffusion. Until recently. lots of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optimum design of outfall system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studies of heat and brine discharg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is hoped to provide some basic data for optimum design of outfall system.

      • Detection of Rapid Atrial Arrhythmias in SQUID Magnetocardiography

        기웅,권혁찬,김기담,이용호,진목,인선,임현균,박용기,두상,임승평,Kim Kiwoong,Kwon Hyukchan,Kim Ki-Dam,Lee Yong-Ho,Kim Jin-Mok,Kim In-Seon,Lim Hyun-Kyoon,Park Yong-Ki,Kim Doo-Sang,Lim Seung-Pyung The Korean Superconductivity Society 2005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Vol.7 No.1

        We propose a method to measure atrial arrhythmias (AA) such as atrial fibrillation (Afb) and atrial flutter (Afl) with a SQUID magnetocardiograph (MCG) system. To detect AA is one of challenging topics in MCG. As the AA generally have irregular rhythm and atrio-ventricular conduction, the MCG signal cannot be improved by QRS averaging; therefore a SQUID MCG system having a high SNR is required to measure informative atrial excitation with a single scan. In the case of Afb, diminished f waves are much smaller than normal P waves because the sources are usually located on the posterior wall of the heart. In this study, we utilize an MCG system measuring tangential field components, which is known to be more sensitive to a deeper current source. The average noise spectral density of the whole system in a magnetic shielded room was $10\;fT/{\surd}Hz(a)\;1\;Hz\;and\;5\;fT/{\surd}Hz\;(a)\;100\;Hz$. We measured the MCG signals of patients with chronic Afb and Afl. Before the AA measurement,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s in supine and prone positions for P waves has been conducted and the experiment gave a result that the supine position is more suitable to measure the atrial excitation. Therefore, the AA was measured in subject's supine position. Clinical potential of AA measurement in MCG is to find an aspect of a reentry circuit and to localize the abnormal stimulation noninvasively. To giv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abnormal excitation, we have developed a method, separative synthetic aperture magnetometry (sSAM). The basic idea of sSAM is to visualize current source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atrial excitation,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ventricular excitation and the Gaussian sensor noises. By using sSAM, we localized the source of an Afl successfully.

      • KCI등재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유식 섹터케이슨

        이중우,이승철,이정수,곽승규,김기담,Lee, Joong-Woo,Lee, Seung-Chul,Lee, Jung-Su,Kwak, Seung-Kyu,Kim, Ki-D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5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 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 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 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y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체식 섹터케이슨 개발

        이중우(Joong-Woo Lee),김기담(Ki-Dam Kim),이승철(Seung-Chul Lee),형철(Hyoung-Chul Kim),이정수(Jung-Su Lee),곽승규(Seung-Kyu Kwak)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춘계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 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 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y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 실린더형 슬릿 방파제의 개발을 위한 수리모형실험

        필성(Pill-Sung Kim),이중우(Joong-Woo Lee),석문(Sug Moon Kim),김기담(Ki-Dam Kim),남기대(Ki-Dae N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추계

        현재 항만 및 어항에 사용되는 방파제 구축을 위한 케이슨 및 단위블록이 개발되고 시공되고 있다. 이는 경제성 시공성 면에서는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으나, 기존 방파제의 문제점인 항내 해수오염 및 수산생물 감소 등의 환경적인 문제점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항내로 내습되는 파 에너지의 대부분을 반사시킴으로써 방파제 전면 해역의 파고가 증대되어 구조물의 피해가 발생하거나 선박의 안전한 계류에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친환경 방파제 구축을 위한 실린더형 슬릿 단위블럭을 조합한 방파제를 개발하여 해수교환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방파제 배후 해역의 정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위의 단위블럭의 안정성 및 파랑제어 득성검증을 위해 방파제가 실제로 설치될 해역의 해양환경을 적용하여 수리모형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파랑 스펙트럼 및 방파제 체제모형 형상을 달리하여 실험을 수차례 반복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순환형 구축용 단위블럭에 기초하여 보다 계량된 형태의 단위블럭 개발을 유도하고자 한다.

      • 양포항 복합해양관광단지 조성을 위한 연안유동환경 분석

        필성(Pill-Sung Kim),이중우(Joong-Woo Lee),김기담(Ki-Dam Kim),강석진(Suk-Jin Kang),이학승(Hak-Seung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공동학술

        최근 경제의 발전과 근무형태의 변화로 인한 여가활동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해안지역에 관광인프라 건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동해안 지역의 국제적 성장 가능성과 지역의 자원 개발 잠재력을 토대로 한 광역관광권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제안된 울산과 포항사이의 양포항에 복합해양관광휴양단지 가능성과 지역의 자원 개발 잠재력을 토대로 한 광역관광권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제안된 울산과 포항사이의 양포항에 복합해양관광휴양단지 구상안에 대한 주변수역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신뢰성 있는 수치모형 구현을 위해 3차원 수치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관광휴양단지 조성시 발생하는 파동 및 유동장의 변화, 표사 및 해저지형 등의 해양환경변화를 예측하여 구상단계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해안개발환경하에서 바람.파랑.흐름의 중첩에 의한 연안표사

        이승철(Seung-Chul Lee),이중우(Joong-Woo Lee),김기담(Ki-Dam Kim),이학승,Seok-Jin K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추계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평균 해수면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폭풍의 규모도 더불어 증가 하고 있다. 해수면의 상승은 다양한 범위에 걸쳐서 환경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고조위 그리고 조류속의 증가를 유발시키고, 기본 파랑을 증가시킨다. 그래서 해안 주변지역에서 받는 에너지는 증가된다. 이러한 영향은 구조물, 침식 그리고 퇴적에 영향을 주며, 연안 환경에 불균형을 가져 온다. 연안과정의 문제도 유사하며, 폭풍기간동안 소규모 어항에서 정박지의 외곽시설물에 피해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내 선석의 정온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외곽시설을 재배치시킨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의 항만들은 수로 및 개방해역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구조물을 재배치시키면 유속, 유향 그리고 파고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해저면의 변형이 생긴다. 따라서, 우리는 이해역의 부두와 방파제의 배치를 반영하여 모델을 구성하고 시험 하였다. 흐름이 강한 내수역과 흐름이 미약한 개방해안역에 대하여 분석을 기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rate of mean sea level rise is increasing rapidly from the phenomena of global warming, together with the increasing trend of the storm scale. The issue of sea level rise is multifaceted and produces a range of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high tides and the tidal current become higher, and wave base increases, so the energy received at the coastal boundary may increase. This brings that many costal environments go into disequilibrium. such as damages to the structure, erosion, and deposition Similarly it was known that the problems of nearshore processes and damage of berth and counter facilities during storm period had appeared at the small fishery port. Here we t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rearrangement of counter facilities and berth layout adopted for tranquility of its ’inner harbor. Because the harbor is being connected to channel and open sea, the rearrangement of the structures might affect to the current speed and directíon and wave height, so do to the sea bottom undulation. Therefore, we made model test for the several layout of the berth and breakwater in this area.

      • KCI등재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유식 섹터케이슨

        이중우(Joong-Woo Lee),이승철(Seung-Chul Lee),이정수(Jung-Su Lee),곽승규(Seung-Kyu Kwak),김기담(Ki-Dam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05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γ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