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화 짜장면>과 상상력의 스토리텔링 -동화 『짜장면』과의 비교 및 만화의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김기국 ( Gi Gook Kim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29 No.-

        The poet Do-hyun Ahn wrote the novel Jjajangmyeon in 2000 for adults. This work was recreated as Comic Jjajangmyeon in 2003 by two comic artists, Gyu-suk Choi and Gi-hyun Byun. On the transformation of his original work into a comic book, Ahn commented that "the illustrations work unexpectedly to stimulate poetic imagination" and give the "illusion of witnessing a refreshing watercolor painting". He also added that the comic "Jajangmyeon" should be read slowly to be appreciated. Ahn`s evalua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his work into a comic book introduces a very useful perspective on interpretation for appreciating not the original text but the new text as cultural content. That is, Ahn`s observation gives clues to how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comic book differ as well as indicate what the reader should be focusing on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ic materialize in the process by which the word-centered text becomes transformed into the comic, a multifarious sign of words, pictures, and colors. Further, it considers the ways in which the storytelling intended by the comic artist comes to have value as cultural content.

      • KCI등재

        프랑스 문학 : 랭보의 「 놀란 아이들 」 과 「 골짜기에 잠든 이 」 에 나타나는 내적 구조의 상동성

        김기국(Gi Gook Kim) 한국프랑스학회 2000 한국프랑스학논집 Vol.31 No.-

        Life au concept de texte, la posie est une production particulire du langage qui pourrait se dfinir par son autonomie. Le pocme nous exige ainsi une lecture productive. Si 1$quot;on veux lire le sens propre d`un pome. il faut trouver des codes particuliers pour accder ce pome en trouvant des valeurs homognes parmi des lments variants et heterognes. Notre analyse est divise en deux partie. Dans la premiere partie. consacre 1$quot;analyse isotopique, la perception de la lecture est fondle sur 1$quot;ensemble des signes utilisess dans les deux pocmes, $quot;Les Effars$quot; et $quot;Le Dormeur du val$quot;. L$quot;approche isotopique commence par 1$quot;analyse d`un pome selon 1`ordre linaire en lisant le texte du debut la fin et en suivant une segmentation cohrrente. Decomposer un pome, c$quot;est mobiliser un ensemble de competence deversifiees pour lire suivant la mthode adopte chaque po8me en cherchant des smes et des smmes. Nous procderons cette recherche au moyen de 1$quot;analyse smique. La derni8re partie, Bans laquelle nous procderons ix une analyse fondese sur une lecture sesmiotique, est divise en deux. Le premier consiste tudier comment les isotopies de deux pomes peuvent etre lus diffremment. Dans le second, nous exposerons de quelle manire la lecture semiotique revile 1$quot;identity le dans les deux pocmes. Notre analyse reconnait d`avance 1$quot;impossibility d$quot;une saisie globale de la ralite potique chez Rimbaud. Pourtant. ce travail ne sera pas un travail de rLcriture reprenant les analyse dj faites, mais un travail de production daps la mesure ou une lecture productive permet de lire et de comprendre les pomes en vers chez Rimbaud en donnant le r81e principal au lecteur, non pas 1$quot;auteu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만화의 공간과 상상력의 스토리텔링

        김기국(Kim Gi-Gook),오세정(Oh Se-Jung)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멀티미디어 시대인 오늘날 만화는 영화와 텔레비전 이후 새롭게 부각된 대중문화콘텐츠이자 표현기법과 서사 측면에서 작가는 물론 독자의 상상력을 능동적으로 자극하는 텍스트이기도 하다. 태생부터 독립적이지 못한 채 타 예술 장르의 부속물로서 출발한 만화는 저속하다고 평가받았던 하급예술인 팝아트나 그라피티와 유사하게 대중들이 선호하는 보편적인 매체이자 새로운 예술의 장르로 등장하였다. 그렇다면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지배하는 오늘날 영화나 TV 등의 동영상 매체가 주는 현재 진행형의 서사를 만화는 독자들에게 무슨 방법으로 실감케 하였을까. 또한 영상문화시대에 정지 이미지의 연속물인 만화가 어떻게 동영상, 음성, 음향 등으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텍스트와 당당히 경쟁할 수가 있었을까. 우리는 이 글에서 하나의 텍스트이자 예술 작품으로서의 만화의 어떤 표현기법과 특성이 문학적 서사와 예술적 상상력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게 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안도현의 소설 『짜장면』을 원작으로 한 『만화 짜장면』과 온라인 게임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진 만화 『리니지』를 분석 텍스트로 삼아 이미지의 공간, 이야기의 공간, 상상력의 공간으로 구성된 만화의 표현기법을 통해 드러나는 상상력의 스토리텔링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독자는 만화라는 작품에 그려진 이미지와 서사를 단순히 보고 읽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림과 문자, 이미지와 글 또는 소리의 결합체인 만화라는 텍스트의 재미와 의미를 즐겁게 감상하고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독자는 만화가가 옮겨주는 다양한 상상력의 스토리텔링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찾아내야 하기 때문이다. In this multimedia age, comic books have become dynamic, stimulating texts demanding an imaginative response from both the creator and the reader, especially in its medium, narrative, and content as part of the newly emerging popular culture after the advent of film and television. In its early beginnings, comics was not considered an independent artistic genre but like pop art or graffiti which were seen as vulgar art forms, it has become not only a form that appeals to the general public but a new genre of art. Then, how did comics manage to provide the kind of progressive narrative as the movie or television show in an age of digital technology? And how, in an age of visual culture, did comics as a series of images compete with multimedia texts composed of film, sound, and voice? This paper examines comics as text and work of art and suggests how its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have allowed it to reach the two achievements of literary narrative and artistic imagination. Focusing on the comic book Jajangmyeon which is based on the novel Jajangmyeon by Do -hyeon Ahn and the popular online comics “Lineage,” the study analyzes the comics’ technique of using the spaces of image, story, and imagination in order to reveal its quality of imaginative storytelling. The reader must not stop at simply looking at the images sketched in the comic book or reading its narrative. In order to fully appreciate and understand the fun and significance of comics as text, with all its constitutive pictures, letters, images, words, and sounds, it is important to discover the ways in which the comic artist conveys the imaginative storytelling.

      • KCI등재
      • KCI등재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의 미국적 이데올로기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김기국 ( Gi Gook Kim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1 No.-

        There can be no objection to the view that animation is both a genre of art and a cultural content. As a product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imation is valued not only as a work of art but also for its expanded economic potential and for its high window effect, its connection to continuous value-added media. On the other side of the economic growth of the animation industry are issues such as prolonged planning and production, excess capitalization from production cost overruns, and the resulting concentration of animation markets in America. Apart from its artistic value or cultural contents, <Lion King>,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of Disney`s animations, uncritically reproduces the West-centered social structures of male superiority, law of the jungle, and focus on family. It also contains the America-centered ideology of transmuting the inconsistencies of reality through a fairy-tale world view. Then, how does the strategic ideology of the animation <Lion King>, as a product of Disney`s cultural contents industry, express itself in the text? How does the viewer discover and understand its ideology? This study traces the American and West-centered ideologies highlighted in Disney`s animation under the guise that childish innocence is the will of Heaven. To that end, an animation image analysis is conducted to reveal the concrete materialization of American ideologies existing in <Lion K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 -서사와 서사매체의 통시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기국 ( Gi Gook Kim ) 한국기호학회 2009 기호학연구 Vol.25 No.-

        The paradigm of today`s culture is not confined to an abstract or mental dimension; rather, it is expanding as culture contents and applying a concrete and material dimension to all reaches of our lives. In this new definition of culture, a term that is often mentioned, together with culture contents, is storytelling. Then, how has storytelling, rather than narrative, come to the fore in the enjoyment and creativity of today`s popular culture and art? The answer lies in the incredible changes brought about in value judgments on culture and art as well as in life styles produced by developments in science represented by computer and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orytelling (i.e., digital storytelling) that has emerged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culture. In the process, it analyzes the historical changes of digital storytelling as a means of relating culture contents and the new formulations of culture in the 21st century. The study further takes a look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orytelling as inherent in the various types of culture contents to point out the formal differences between storytelling in the analog era and digital era.

      • KCI등재

        시텍스트의 글읽기와 해석

        김기국 ( Gi Gook Kim ) 한국불어불문학회 1996 불어불문학연구 Vol.33 No.1

        시텍스트의 글읽기는 언어의 의미적 내용의 전달이나, 사용된 언어 기호의 조합에서 생겨나는 회화적 이미지, 또는 작시법의 운율, 운, 음절과 시행의 결합 등을 통해 우러나오는 음악성과 같은 요소들의 총합으로 그 문학성(1itte′rarite′)을 느껴 볼 수 있다. 이같은 여러 요소들은 시인의 시세계와 시의 특성, 그리고 이 시를 읽는 독자의 관점과 능력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 생성되는 잠재태로 숨어 있는 것이다. 시의 문학성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우리는 시텍스트가 갖는 미적 가치를 텍스트의 폐쇄성(clo^ture)과 자율성(autonomie)에서부터 찾아보았다. 텍스트의 폐쇄성은 하나의 시작품을 의미론적 영역속에서 다른 작품과 분리하여 정의하는 것을 말하며, 자율성은 이 시가 고유의 의미 구조를 지니기에 충분한 언어 기호로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2가지 특성은 시텍스트를 하나의 종결된 작품으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시텍스트가 독자의 능동적이고 다양한 개입에 의해 끊임없이 새롭게 재해석될 수 있는 개방성(ouverture)의 개념을 내포하게 된 다. 독자의 창조적인 글읽기에 의해 폐쇄된 하나의 시작품이 열려진 문학적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이 텍스트를 치밀하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텍스트 자체가 지니는 고유한 특성을 규명함과 동시에 시인의 전체적인 시세계를 이해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시텍스트에 담겨 있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것을 형성하는 언어 기호의 총체가 이 시의 시적 가치를 내포하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가 됨을 인식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랭보(Rimbaud)의 시 `Les Etrennes des orphelins`을 의소분석을 근거로 이 시가 갖는 언어 기호를 의미론적으로 분석, 분류하여 일람표(Tableau isotope et non-isotope)를 구성함으로써 시의 내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처럼 시텍스트가 지니는 시적 가치를 사용된 언어 기호의 총체를 통해 접근함으로써 우리가 글읽기의 축이 작가의 의도를 밝혀내는 관점에서 독자의 능동적인 비평 활동으로 어떻게 전환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