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우울위험 집단 어머니의 우울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 분석

        이완정(Wanjeong Lee),김균희(Gyunhee Kim) 한국아동학회 2015 아동학회지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loy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to identify predictors that might have an effect on change and the level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aternal depressive levels of a high risk group had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5 years. The predictors for thes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were as follows; birth order, maternal prenatal depressive levels,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the level of family crisis experienced by the high risk group.

      • KCI등재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성은모(Sung, Eunmo),김균희(Kim, Gyun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생산하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중학교 1~2학년 패널 1~2차(2010~2011)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생 2,143명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개인특성(자아존재감, 자아탄력성)과 환경특성(가정 경제적 소득, 부모, 또래, 학교, 지역사회환경) 중 개인특성만이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환경특성보다 개인특성이 청소년의 행복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환경특성은 개인특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설명력, 총효과=.65)로 나타남으로써, 청소년을 둘러싼 환경특성 요인 또한 중요한 요인임에는 틀림없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행복 제고를 위해서는 청소년이 긍정적 자아를 형성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가정, 또래, 학교, 지역사회환경이 조성되어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appiness, personal traits, and environments traits of 2,143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2011)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personal traits of adolescents had a direct impact on their happiness. Second, environments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but affected happiness through personal traits in a significant manner.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family, peer, school, and community environments for adolescents’ positive self formation and resilience improvement in order to enhance the happiness of adolescents.

      • KCI등재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이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Sung-Hee, Jin),김균희(Gyun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입학 초 대학생활적응력 검사결과가 그들의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H대학 신입생 중 대학생활적응력 진단검사에 참여한 1002명의 대학생들이다. 이 연구에서 는 신입생들의 대학적응력수준이 입학당해년도, 1년 후, 2년 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2년 후 중도탈락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및 이 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입학 첫 학기와 이후의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은 학문적 통합성, 학업시간 충분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통합성은 대학생의 첫 학기 학업성취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나, 1년 후, 2년 후 학업성취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대학교육 만족도는 입학 첫 학기, 1년 후 학업성취수준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2년 후 중도탈락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적응력진단도구의 일부 변인이 입학 당해 및 이후의 학업성취수준과 중도탈락여부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력 진단도구의 전체를 활용하기 보다는 일부 결과를 활용해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 results of freshmen’s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affect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Participants were 1002 freshmen from H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the adaptability test to university lif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shmen s college adaptability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year, one year, and two years after admission. The binary 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reshmen s college adaptability on drop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variables influencing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semester and beyond of college students were academic integration and learning time. Second, social integr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the first semester, but it does no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level after one year and two years. Thir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education affects nega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the first semester and one year after admission, and it is a factor to decide whether to drop out after two years. Fourth,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adaptation test at the beginning of admission showed a low degree of predic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dropout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some variables of the scales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dropout. The results of the adaptability test of university life were used to discuss ways to help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 KCI등재

        청소년 생애학습역량 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은모(Sung, Eunmo),진성희(Jin, Sung-Hee),김균희(Kim, Gyun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3

        지식과 정보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불확실성이 보다 증가되는 현대사회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게 하는 인간의 ‘학습역량’은 다른 무엇보다도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역량은 인간의 생애에 걸쳐 필요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성장 발달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청소년 시기에 생애에 걸친 학습역량 즉, 생애학습역량을 체계적으로 신장 및 발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의 생애학습역량에 대한 수준에 대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습역량을 생애 발달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청소년의 생애학습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 분석을 통해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을 구성하는 역량 및 하위역량에 부합하는 예비문항 46문항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통계적 검증과정을 통해 타당성을 타진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청소년 초․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표본 집단을 샘플링하여 총6.758명을 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6,637명의 자료가 본 연구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의 사고력 측정문항은 9문항(비판적 사고력 6문항, 감성적 사고력 3문항), 지적도구활용능력 21문항(언어능력 5문항, 수학능력 5문항, 과학능력 7문항, 정보통신활용능력 4문항), 학습적응성 7문항(변화수용력 2문항, 지적호기심 2문항, 학습주도성 3문항) 등 총 37개의 문항이 개발되었다. 이들 문항의 정규성, 신뢰도,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등에 따른 기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생애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의의와 활용 방법, 그리고 정책적 활용 방법에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number of measurement tools for Korean Youth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KYLLC). To address these goals, 46 items of measurement tools for KYLLC were developed by means of a systemic literature review and these items were in turn validated statistically. In order to validate the items, 6,637 youth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national wide survey and 6,637 data sets were used for validating the items. As a result, 37 item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KYLLC; 9 items related to thinking (Cronbach α=.75), 21 items related to the ability to use intellectual tools (Cronbach α=.91), 7 items related to learning adaptability (Cronbach α=.78). Additionally,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ools for KYLLC was found to exhibit a good model fit (χ<SUP>2</SUP>(df)=1791.075(24), p<.05; CFI=.914, NFI=.913, TLI=.915, RMSEA=.1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 number of strategies and policies geared specifically for youth, using these new measurement tools for KYLLC, we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Korean youth learning competencies.

      • KCI등재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화상교실 활용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학습효과 인식 분석

        임연기 ( Im Youn-kee ),김혜경 ( Kim Hyekyung ),김균희 ( Kim Gyunhee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농어촌 소규모학교에서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수자와 학습자가 학습효과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농어촌 소규모학교 19개교의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학습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습자 203명, 교수자 28명의 응답 데이터는 SPSS2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상교실 활용 공동교육과정 참여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학습자 집단이 낮은 학습자 집단보다 학습효과(동기유발, 학습이해, 역량 향상감)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203, t=-8.993, p<.001). 특히, 정규 교과보다 창의적 체험활동에 많이 참여한 학습자일수록 학습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004, p<.05). 둘째, 화상교실 활용 공동교육과정 운영활동 수행수준이 높은 교수자 집단이 낮은 교수자 집단보다 학습효과(동기유발, 학습이해, 역량 향상감)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3.628, p<.001). 셋째,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의 학습효과에 대하여, 교수자 집단이 학습자 집단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3.946, p<.001). 본 연구는 농어촌 소규모학교에서 화상교실을 활용하여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에 대하여 학습자와 교수자의 학습효과 인식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학습자와 교수자의 학습효과 인식 결과는 향후 농어촌 소규모학교에서 공동화상수업을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공동교육과정 운영 시 화상교실을 활용하는 방향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eachers and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co-curriculum using a video classroom system in 19 small schools in rural area schools perceived the learning effect thereof.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3 learners and 28 instructors on their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1.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co-curriculum using video classrooms had higher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ffects, specifically, motivation,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competency improvement than those with low levels. In particular, the mor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n regular courses, the more positively they perceived the learning effects. Furthermo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with a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the co-curriculum operation activity and those with low instru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 group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the learner group about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 curriculum using the video classroom (t=3.946, p<.001).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in the case of a co-curriculum using video classrooms in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The results of the recognition of the learning effect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exam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signing the direction of using video classrooms when implementing a co-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a co-video classes in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