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교과서 제도 변천에 대한 성찰적 내러티브 접근

        김국현(Kuk-Hyeon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19 Brain, Digital, & Learning Vol.9 No.2

        This paper analyze the interaction and effects of institutional and situational factors by applying historical reflection and narrative approach to changes of textbook system in Korea. Reflective narrative approach extracts the actors intentions, reasons, expectation, and reflection contents from the policy narrative of textbook system. And it grasp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system from the stories of actors directly related to the textbook system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ime such as past,present, and future. Through this approach,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textbook system, the moral story of the actors, the interaction between structure and actors, and the change of the textbook system as a whole.

      • KCI등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종적 연계성 분석 및 미국 차세대 과학 기준(NGSS)과의 비교 연구: 지구과학 기권과 수권을 중심으로

        김국현 ( Kuk Hyeon Kim ),이효녕 ( Hyo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각론에 제시된 성취기준과 지구과학의 기권과 수권에 해당되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연계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분석된 내용을 미국 차세대 과학기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현황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각론에 제시된 성취기준 및 교과서의 용어를 추출하여 연계성 결여 요소(중복, 격차)를 1차 분석하고 미국의 NGSS와 2차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분석한 종적 연계성 결여 요소는 중복 12건, 격차 2건이 있었다. 또한, 교과서의 연계성 결여 요소는 중복 43건, 격차 4건이 나타났다. NGSS에서도 중복 6건, 격차 1건의 연계성 결여 요소가 있었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NGSS에 비해 성취 기준을 세부적으로 안내하고 있는 반면, 연계성에서 부족함을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연계성을 강조한 교과서 개발과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articulation i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units ‘hydrosphere and atmosphere’ and to compare the findings of articulation with NGSS. The articulation, such as repetition and disparity, was analyzed by using terms extracted from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ck of articulation includes 12 repetitions, 2 disparities. In addition, the lack of articulation about textbook includes 43 repetitions, 4 disparities. The NGSS had 6 repetitions and 1 disparity. Finally,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refers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more specifically than NGSS, but still shows the problem of lacking of articulation. In conclusion,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needs to strengthen the strong point and accept NGSS’s articulation system for making next curriculum.

      • KCI등재

        2022 도덕과 교육과정(시안)의 성격과 목표 비판적 분석과 개선 방향

        김국현 ( Kim Kuk Hyeon )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7 No.1

        본 논문은 2022년 4월에 교육부가 교육과정 심의회에 의견수렴을 위해 제공한 그리고 교육과정 연구진이 개최한 토론회에 제시된 2022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개선할 사항을 제안한다. 개정 시안은 선행연구들에서 기존 교육과정의 개선점으로 제기된 중요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어설픈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시안의 성격과 목표 진술문은 도덕과 지식의 구조를 밝히지 않는다. 특히 도덕성 및 도덕성 발달에 대한 관점을 명료히 드러내지 않는 추상적 진술로서 이론적 정당화와 경험적 검증이 빠진 생소한 개념들이 가득하다. 도덕성 개념을 규정하는 패러다임이 학교 급별로 다르고 시민성과 도덕성의 관계, 핵심 아이디어를 대신해야 하는 핵심 가치라는 표현이 없다. 내용 체계 구성을 정당화하는 타당한 근거도 불분명하다. 본 논문은 시안에 나타난 교과 교육학 관점의 본질적 문제점을 분석해 연구진이 개발 과정에서 앞으로 반영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2022 Moral Education Curriculum draft presented in the discussion held by the curriculum researchers and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opinions to the curriculum council in April, and suggests things for improvement. It can be said that the draft is a clumsy research result without solving the important problems raised in previous studies on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contained in the draft do not reveal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an abstract statement that does not clearly reveal the point of view on morality and moral development, and is full of unfamiliar concepts that lack theoretical justification and empirical verification. The paradigm for defining the concept of morality is different for each school level, and there is no expre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and morality, or a core values that should replace the Big idea. The justification for constructing the content system is also unclear. This paper analyzes the essential problems other than those shown in the draft, and suggests things that researchers in the future should reflect in the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김국현 ( Kuk Hyeo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윤리교육연구 Vol.0 No.27

        본 논문에서는 도덕적 성찰의 의미를 명료성을 높이고 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초점은 우선 도덕적 성찰의 특성과 도덕적 성찰의 대상이 무엇인지에 두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도덕적 성찰 포트폴리오, 성찰 멘토링을 활용한 도덕적 성찰, 문학작품을 활용한 도덕적 성찰 방법을 제시하고 그 활용 방법을 제안하였다. 교과로서 도덕과는 학생들이 삶에서 필요한 도덕규범과 예절을 익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도덕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도덕적 습관 형성, 도덕적 사고와 판단능력을 발달시켜 다양한 도덕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도록 돕는다. 특히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부터 윤리학적 접근을 강조하면서 그것을 구현하는 두 가지도덕 공부 방법으로 도덕적 성찰과 도덕적 탐구를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는 아직까지 명료하게 정의되지 않고 있다. 도덕적 성찰은 도덕과의 지식의 구조 중 하나이므로 개념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이 교과교육학적으로 중요하며 도덕적 성찰을 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안을 정립하는 기초이다. This paper focus a detailed account of concept of moral reflection and its application to moral education in school,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characterization of moral reflection, the objects of moral reflection, in other words what individual should reflect on and how an individual should go about identifying this objects, This is followed with a sugges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oral reflection such as moral reflection portfolio, moral reflection mentoring, moral reflection based on novel.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helps students become equipped with moral norms and etiquette in their lives. For these purposes,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not only on the formation of moral habits for observing norms and maintaining good manners, but also on the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and judgement abilities, helping students to solve various moral problems rationally. Especially, since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tresses ethical approach to social problems as a inquiry principle and moral reflection and moral inquiry as a method of moral thinking and reasoning. But concept of moral reflection has not been defined clearly till now. In Moral Education, moral reflection is one of subject structures. Therefore, an effort to define clearly the notion of moral reflection is important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moral reflection to moral education in school.

      • 대학 생활관교육을 통한 예비교사 인성교육 방안

        김국현(Kim Kuk Hyeo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8 교육발전 Vol.38 No.2

        경험을 통한 학습과 경험을 성찰하는 학습이 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점차 중시되고 현실을 고려할 때 대학 인성교육은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의 과정, 특히 일상생활 공간에서 다양한 배경의 학생들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인성과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교육환경을 형성해야 한다. 특히 예비교사는 개인의 행복과 공동체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을 발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교원양성대학의 인성교육은 전공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교양교육을 통한 인성교육과 함께 생활관교육과 같은 공동체 생활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과 역할채택 능력을 함양하는 체계적 학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수와의 심층 대화와 상담, 지역사회 봉사학습을 강화한 생활관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와 필요하다. This paper discusse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of Teacher College. Considering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emphasizes learning to reflect on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experience itself, it is important to design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f Teachers college based on community life of dormitory where pre-service teachers live and learn through life with others. It can be said that cor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who effectively develop the character of their students is morality. Morality is composed of moral sensitivity, judgment, motivation, performance or character. It was found that dormitory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oral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future, more scientific empirical studies need to be activated.

      • KCI등재

        도덕과 교육의 시민성 학습생태계 - 학교민주시민교육법(안)에 대한 도덕과공동체의 비판적 의견을 기초로 -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8

        인성 및 시민교육이 강화되고 있지만 인성 및 시민 역량의 구인 및 교육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 변환 기준, 인성과 시민성을 생산적으로 통합하는 윤리적 시민성 연구·개발은 정체 상태이다. 도덕과 교육을 통해 학교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일상의 삶의 방식으로 삼도록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서는 인성 및 시민성 학습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며 교과서 집필기준 철폐, 정책 효과만 중시하는 정치인들의 법안 발의에 맞춘 정책보다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권, 논쟁적 쟁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민교육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Although character and citizenship education are being strengthene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thical citizenship productively integrating character and citizenship, as well as constructs of character and citizenship competencies,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remains stagnant.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democracy as a way of life for school citizens through mo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earning ecosystem for character and citizenship by eliminating the standards for writing textbooks, establishing politically neutral minimum educational standard to ensure the safety and welfare of teachers from the dangers that may arise when teaching on controversial issues.

      • KCI등재

        ‘행복’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위한 ‘통합사회’의 교육내용 구성 방안 연구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2

        본 논문은 2015년 고시된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목으로서 적용되는 ‘통합사회’ 과목의 학습 주제들 중의 하나인 행복을 위한 교육내용을 통합적인 방식으로 선정 및 조직하는 교육내용 구성 원리와 방법을 논의하고 제안한다. 통합사회는 도덕과와 사회과를 통합한 과목으로서 학생들이 윤리, 사회, 시간, 공간의 관점에서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행복을 위한 교육내용은 윤리, 일반사회, 역사, 지리네 분과 지식을 통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행복이라는 학습 주제의 성취기준은 분과별 접근을 넘어서는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통합을 위한 이상적 모형을 통합사회 과목교육과정 개발자들이 공유하지 않았던 설계상의 결함으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분과 지식들에 공통된 내용을 매개하는 가치나 개념을 중심으로 통합적 내용을 구성하는 상향적 접근 방식을 취해야한다. 행복을 위한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과정이나 모델은 윤리, 역사, 일반사회, 지리 네 분과의 행복에 대한 핵심 지식 목록을 작성하고 공통 내용 요소를 파악하는 단계, 분과들의 행복에 대한 핵심 지식들을 이어주는 매개 개념을 선정하는 단계, 행복에 대한 표준적인 지식 체계를 선정하고 조직하는 단계, 그리고 행복을 위한 교수학습을 계획하는 단계 4단계로 구성된다. 통합사회의 행복이라는 학습 주제에 적용하는 경우, 신뢰 개념이 윤리, 시간, 공간, 역사 네 가지 관점의 핵심이 되는 지식들을 매개하는 개념으로서 채택될 수 있다. 신뢰 개념은 네분과의 핵심 지식들에서 중복되거나 공통적이다. 즉, 인간 삶의 목적으로서의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민주주의와 행복의 관계, 도덕적 실천과 행복의 관계,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과 행복의 관계, 경제적 안정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분과 지식들에 공통된 내용이 신뢰 개념에 의해 연결된다. 행복 학습 주제를 위한 교육내용은 윤리, 시간, 공간, 사회 네 가지 관점의 배경이 되는 분과 지식들을 매개하는 신뢰 개념의 네 가지 구성요소, 즉 공정성 또는 도덕적 신뢰, 사회유대로서의 신뢰, 사회참여로서의 신뢰, 사회유대로서의 신뢰를 중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을 통해 사회과와 도덕과의 통합이라는 통합사회 과목의 성격과 목표의 구현, 효과적인 실행이 가능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inciples and methods for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hat will be implemented in the highschool as complementary course according to 2015 curriculum revision. Especi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 of integrated approach and its methods for s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happiness as a learning them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Integrated Social Studies’ is focused on designing units that core ideas, concepts of ethics, social studies, geography and history as four domains which are based on different disciplines are integrated together. It’s Goal is for students to inquiry and reflect social phenomenons from a point of view that morality, time, space, social relation and institution are integr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educational content for happiness on a basis of integration between four domains because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unit is focused on integration between domains. To overcome a design defect that an ideal model for curriculum integration is not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bottom-up method that enables integrated approach to happiness which is focused on common to four domains and form the bridge between domains should be applied to content construction. Process or model of 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for happiness is composed of four steps as such listing core knowledge of four domains and finding common elements, the adoption a mediating concept that form the bridge domains, selection and organizing a standard knowledge system, designing teaching-learning course. In the case of happiness, trust is a mediating concept that link common or overlapped components of four domains. Trust is common to relationship of democracy and happiness, relationship of ethical behavior and happiness, relationship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relationship of economic stability and happiness. In this study, educational content for happiness is proposed based on constructs of trust such as social capital, social participation, fairness, social solidarity. Applying this methods to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for happiness will leads to realizing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 KCI등재

        도덕과 교육의 논쟁적 쟁점 교육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7

        이 논문의 목적은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으로서 윤리적 시민을 길러내고자 하는 도덕과 교육에서 논쟁적인 사회정치적, 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민주적 학습이 필요한 이유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논쟁적 쟁점의 의미, 도덕과 교육에서 논쟁적 쟁점의 사례, 도덕과 교육과정의 논쟁적 쟁점에 대한 진술, 도덕과 교육에서 논쟁적 쟁점 수업의 원리와 실행 지침, 발달의 목표로 삼는 윤리적 역량과 기술을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는 이념 분열과 극단화가 심화하는 우리 사회에서 공통 근거발견을 통해 평화적 갈등해결능력 특히 침묵하는 사람들의 관점과 견해를 윤리적 상상하는 공감적 능력을 발달시킬 것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need for democratic learning of controversial socio-political and ethical issues in moral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ethical, moral and righteous citizens. To this end, this paper discusses the meaning of controversial issues, examples of controversial issues in moral education, statements abou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controversial issues in moral education, and ethical competencies and skills as developmental objectives. This discussion underscores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peacefully resolve conflicts by finding common ground among different perspectives and views in our society where ideological divisions and extremities deepen, especially empathic ability to ethically imagine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 silent.

      • KCI등재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도덕과 교육의 과제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 No.61

        본 논문은 인공지능 리터러시(AI Literacy)를 도덕과 교육의 설계와 실행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첫째,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정의, 교사 역량으로서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구성영역 및 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윤리적 역량 관점에서 도덕과 교육에 대한 함의를 설명한다. 둘째,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최근 문헌들에서 다루고 있는 인공지능 윤리의 개념, 접근 방법, 사례와 문제들을 살펴봄으로써 도덕과 교육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학습할 주제들의 경계를 고려한다. 그리고 도덕과 교육의 교육과정에 학습 주제 설정,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한 교육방법, 교사교육에서 인공지능 윤리 역량강화 방안이라는 과제를 제시한다. This paper discusses how AI literacy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ral Education. The main contents of the paper are firstly,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the prior research on the constituent areas and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s teacher competency, and th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from the point of ethical competencies. Secondly, by examining the concepts, approaches, cases and problems of AI ethics covered in recent literature on AI ethics, it consider the boundaries of learning themes that teachers teach and students learn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t propose tasks such as selecting and organizing learning themes in the Newly developing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learning meth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ways to strengthe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al competencies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5 No.1

        초·중등학교 교사교육은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발달과 이에 기초한 학교 시민교육 역량발달을 목표로 포함한다.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교원양성대학별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표준 모델을 구안하고 타당한 접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시민교육 역량발달은 전공 및 교양과정, 생활관교육과정, 현직교사의 협업교육 같은 학부-대학원 연계, 대학별 연수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예비교사의 학교 시민성, 지역 시민성, 국가 시민성, 세계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발달과 함께 학교 시민교육을 설계 및 실행하는 전문성을 함양하는 시민교육 역량강화 교육과정 신설 및 개선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자각과 공동체 삶에서의 변혁적 실천을 위해서는 민주적 자기 결정권과 책무성을 구체적인 삶의 체험으로 학습하도록 교수와 예비교사 수강생의 시민교육 교육과정 공동설계(citizenship curriculum co-design)와 같은 시민교육의 민주적 혁신이 중요하다.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aims to develop the citizen ident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o develop the civic education competencies based on it. The education for strengthening the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universities. However, the standard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a proper approach should be sought.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development can be linked with undergraduate-graduate linkage and university-based training programs such as majors and liberal arts courses, dormitory education courses, cooperative 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To strengthen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to design and implement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school citizenship, local citizenship, nation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digital citizenship. In particular, in order for the pre-service teachers to be aware of the citizenship identity, to implement the transformational practice in the community life, and to learn democratic decision and responsibility, there should be a system for co-designing citizenship education course by professors and pre-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