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b initio Study on Structures, Energies and Vibrations of Methylammonium-(water)$_n$ (n=1-3) Complexes

        김광연,조융인,부두완,Kim, Gwang Yeon,Jo, Yung In,Bu, Du Wan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2 No.6

        The reaction of [(2-N,N-dimethylaminomethyl) pheny] methylvinychlorosiane with t-BuLi in hexane solvent gave dimers, five isomeric 1,3-disilacyslobutanes which were weparated and charaterized. In trapping experiments with various trapping agents, no corresponding silene-trapping aduct was observed. We suggest that more important species for the formation of five isomeric dimers might be the zwitterionic species generated by virtue of intramolecular donor atom rather than the silene.

      • KCI등재후보

        자유주의 우생학과 생명정치:

        김광연(Kim, Gwang Yeon)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류는 우월한 인종으로 선택받고자 했던 프로메테우스의 욕망을 포기할 수없어 일부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우생학 프로그램을 수행했다. 과거의 우생학은 인간 존엄성을 훼손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이 결과로 우생학의 명분은 점점 사 라져 갔다. 그러나 생명공학의 눈부신 활약으로 점점 새로운 우생학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는데, 21세기 생명공학 기술과 손잡고 태어난 것이 바로‘자유주의 우생학’이다. 자유주의 우생학은 인간 유전자 개량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우생학은 인간의 신체를 개량하여 보다 우수한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과거의 우생학이 가진 인간 존엄성 훼손과는 다른 윤리적 문제를 낳고 있다. 특히 인간 유 전자를 개량하면서 나타나는 문제는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을 길들일 수 있다는것 곧 생명정치와 깊이 관여된다. 게다가 유전자 개량은 인간 배아를 실험 도구로 보고 인간 신체개량이라는 점에서 이 실험을 통해 인간 신분이‘이미 정해진’상태 로 태어나는 생명정치 문제와도 연결된다. 우수한 유전자를 지니고 태어난 인간은 그렇지 못한 인간을 지배하기 때문에 태어나기 이전부터 인간 계급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뿐만 아니라 인간 유전자의 개량은 배아를 대상으로 실험이 전제되 기 때문에 배아의 존엄성과 인간 복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자유주의 우생학의 윤리적 문제점을 시작으로 그것과 생명정치와의 관련성 및 배아복제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생명정치를 통한 계급 발 생에 대한 문제점과 유전자 결정론 및 배아와 인간 존엄성을 살펴보고 익명성으로서의 배아 존재에 대한 이해와 인간학적 보편성을 제시할 것이다. Humankind begins to embody eugenics program benefited from some scientists seeking Prometheus’ desire that wanted to be selected as superior race. For a decade, eugenics gradually degraded into a denigrating tool to destroy human dignity and its justification grew vague accordingly. With the emerging of biotechnology, eugenics began to revive in the name of “liberal eugenics” to cope with the 21st biotechnology. The liberal eugenics is deeply connected with improvement of human gene. Such a eugenics is now causing another ethical issue in terms of securing a superior gene by improved body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former eugenics described above. The newly raised issue is also closely referred to bio-politics that claims human race can take its genes by means of bio-technology even before coming into the world. Bio-politics is also related to a ethical issue, so as to speak “predetermined clique.” It causes a serious social hierarchy in that a human with superior gene can rule over the inferior human. Since it requires a intentional experiment of embryo, manipulating of human gene might influence on dignity of embryo and human cloning. Bringing up such a problem, this study tried to examine some issues like ethical perspective on eugenics and its relation with bio-politics or embryo cloning.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raised some questions asking how we can preserve human dignity against gene determinism and predetermined social status, on which we can suggest a universal value of humankind and advisable understanding of anonymous embryo.

      • KCI등재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와 도덕적 존중의 의미 - 피터 싱어와 마이클 샌델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Kim, Gwang-Ye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7 No.1

        전통적인 철학적 가치관에서 동물은 인간보다 못한 존재로 간주되었다. 이들은 인류 공동체에 속하지 못하고 자신만의 공동체에서 삶을 이어가는 존재였다. 인간이 동물보다 지위가 위에 있다는 과거의 가치관에 함몰된 채, 인간은 동물 지배를 정당화 했다. 근대 이후,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윤리적 논의들이 제기되고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관해 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피터 싱어는 󰡔동물해방󰡕에서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언급했다. 그는 인간이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그는 일부 동물들은 인간처럼 고통을 느끼고 자의식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그는 고통을 느끼는 동물의 지위를 인간과 동등하게 간주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그가 주장한 종차별주의의 비판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종차별주의 비판의 한계를 살펴보고, 도덕적 존중의 의미를 논의할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윤리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생명의 본래적 가치의 중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In traditional philosophical values, animals were considered to be less than human being. They did not belong to the human community, but they were regarded as the ones who continued life in their community. Humans have justified animal domination by the past values that human beings are above the animals. After Modern Age, Ethical discussions on the moral status of animals have been raised, and scholars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moral status of animals. In particular, P. Singer raised the moral status of animals in his book, 󰡔Animal Liberation󰡕. He criticized humans for dominating and discriminating against animals. He insisted that some animals feel pain and has self-consciousness just like humans. So he asked to regard the status of the animal suffering as equal to ma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criticism of that he advocat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limitations of criticism of species iscrimination and examine the meaning of moral respect. Finally, this paper will 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original value of human beings and life as ethical beings.

      • KCI등재
      • KCI등재

        밀의 공리주의에 나타난 경험자의 판단과 가치

        김광연 ( Gwang Yeo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論叢 Vol.53 No.-

        공리주의란 효용과 최대 행복의 원리를 도덕적 기초로 삼고 있는 이론을 말한다. 공리주의자들이 추구하는 행복은 개인의 좋음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이들은 공동체에서 추구되는 좋음의 가치를 최고의 행복이라고 생각했다. 공리주의는 행위자의 동기보다 결과를 중시 여긴다. 그렇다보니 공리주의는 자칫 지나친 결과중심주의로 빠져드는 것처럼 비춰지기도 했다. 밀(J. S. Mill)은 행위자의 결과에만 초점을 두지 않았다. 그는 개개인의 행위를 주의 깊게 다루었다. 밀은 공리주의가 결과에 치우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그는 경험자들의 판단과 그 가치에 집중했다. 밀은 개인은 교육을 받은 개인과 그 경험을 경청해야 한다고 했다. 이 논문은 공리주의가 행위자의 행동이 미치는 결과에만 초점을 두는 한계를 지적한다. 그리고 이 글은 밀의 공리주의에 나타나는 경험의 가치와 그것이 지닌 함의들을 찾는 데 집중할 것이다. Utilitarianism is a theory that uses the principles of utility and maximum happiness as a moral basis. The happiness pursued by utilitarians is not about personal good. They thought that the value of goodness pursued by the community was the best happiness. Utilitarianism values results rather than actors' motives. Thus, utilitarianism seemed to fall into excessive result-orientedism. J. S. Mill did not focus solely on the outcome of the actors. He carefully treated individual behavior. Mill knew that utilitarianism was biased to the outcome. Thus, he focused on the judgment and value of experienced people. Mill said that individuals should listen to educated individuals and their experiences. This paper points to the limitation that utilitarianism focuses only on the consequences of actors' actions. And this article will focus on finding the value of experience and its implications in Mill's utilitarianism.

      • KCI등재

        공동체에서의 도덕적 자아와 타자의 얼굴

        김광연(Kim, Gwang-yeon)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4 No.-

        공동체에 속한 개인은 다양한 가치관을 가진다. 이들은 서로의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경험하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서로의 차이점으로 싸움이 벌어지기도 하고 화해하기도 한다. 공동체는 저마다 추구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한 개인에게만 맞출 수 없다. 개인은 이미 구성된 공동체에 삶을 위하기 때문에 거미줄처럼 연결된다. 이들은 타자와 구성적 공동체에 연관되기 때문에 ‘연고적 자아’라고 불린다. 연고적 자아는 사회 구성원 전체에 향을 받고 경험의 총체로 형성된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사람들은 연고적 자아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을 가진다. 이들은 특히 인터넷 매체와 스마트폰 발달로 더욱 무연고적 자아를 추구하고 있다. 이런 사회를 고려하여 이 글은 개인은 ‘도덕적 자아’로서의 개인이 되어야 하고, 공동체 전체의 정의를 위한 도덕 윤리의 필요성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이 글은 공동체 안에서 타자의 얼굴에 나타난 책임을 살펴볼 것이다. 우리는 타자의 얼굴을 항상 마주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를 외면한다. 우리는 단순히 나와 구별되는 타자의 얼굴이 아니라 늘 우리와 마주하는 타자의 얼굴을 통해 그들의 아픔을 살피게 될 것이다. Individuals belonging to the community have various values. They experience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and solve problems through dialogue. In this process, differences arise and conflicts occur. Communities can not be confined to one individual because they differ in their pursuit. Individuals are connected like webs because they live in a community tha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These are referred to as ‘encumbered self’ because they are related to others and constitutive communities. The encumbered self is influenced by the whole society and formed as the whole of experience. But in our society, People have a tendency to get rid of encumbered self. Especially, they are pursuing more selflessn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et media and smart phones. This article examines the need for individuals to be individuals as ‘moral self’ and the moral ethics for the definition of the whole community. Finally, this paper looks at the responsibilities that appear in ‘face of the Others’ in the community.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와 공동체 윤리 -타자의 윤리와 배려의 윤리를 중심으로

        김광연 ( Kim¸ Gwang-yeo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49 No.-

        포스트 코로나(past corona)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공동체의 의무를 중요시 하게 되었다. 코로나로 인한 집단감염으로 인해, 우리 사회는 개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노력해야 했다. 다행히 우리 사회는 시민들의 협조와 공동체 의식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대응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다수의 국민들이 방역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기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이기주의로 인해 집단 감염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우리는 의무감이나 당위에 따른 행위 보다는 타자에 대한 배려의 윤리가 필요하다. 타자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을 배려하는 마음은 코로나19 시대에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우리는 바이러스의 공포로부터 이겨내기 위해 공공선을 위한 자세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그릇된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공동체 질서를 위한 미덕을 실천해야 한다. 남들의 시선이나 법적책임을 피하기 위해 행동하기 보다는 자발적으로 공동선을 위한 타자에 대한 배려와 보살핌과 솔선수범이 필요하다. 이에 이 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그릇된 이기적 행동에 대한 비판과 성찰 그리고 공동체의 덕윤리와 타자의 윤리에 대해 말하고 있다. Living in the post-corona age, We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to the duty of the community. Due to the collective infection caused by the corona19, our society had to try to prevent individual breakaway. Fortunately, our society is doing its best to respond to the Corona19 virus due to citizens’ cooperation and a sense of community. Despite the fact that most of the people are striving for quarantine, group infections are continuing one after another due to egoism that considers only their own interests. Therefore, in the post-corona era, we need an ethic of caring for others rather than a sense of duty or act according to the cause. Understanding the lives of others and caring for them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he Corona 19 age. Also, we need an attitude for the common good to overcome the fear of the virus.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avoid false egoism and practice the virtue for community order. In the post-corona era, rather than acting to avoid other people’s gaze or legal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voluntarily consider others for the common good, take care of others, and take initiative. Accordingly, this article talks about criticism and reflection on false egoism behavior in the post-corona age, and the virtue ethics of the community and the ethics of others.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

        김광연 ( Gwang Yeo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성품은 이미 타고난다고 말한다. 그는 타고난 성품 만으로 온전한 성품에 도달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온전한 성품은 어떻게 갖출 수 있는 것인가? 탁월성은 일시적이거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는다. 성품의 탁월성에 이르는 길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습관이나 실천적 지혜를 통해 절제된 삶을 살아갈 때 터득할 수 있다. 그는 한 마리의 제비가 여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성품의 탁월성은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질 때 가능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은 타고난 성품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만약 우리가 여기에서 멈춘다면 도덕적 성품을 갖추지 못한 유아기적 단계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는 우리가 본성의 덕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자연적 탁월성에서 성격적 탁월성으로 이행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우리가 도달해야 할 궁극적인 목표는 지적 탁월성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지적 탁월성에 이르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혜를 통해서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공동체에서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적 탁월성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공동체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동시에 바른 행위를 하기 위해서 우리는 개인의 본성을 잘 작용하게 하는 ‘실천적 지혜’를 필요로 한다. 사회 구성원이 성격적 탁월성을 갖추고 이에 더 나아가 실천적 지혜를 갖추게 되면 눈에 띄는 도덕적 성품을 지니게 될 것이다. 끝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현대인들에게 도덕적 성품에 대해 말한다. 그는 우리가 타고난 성품에 머물러 있지 않고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도덕적 성품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한다. 지적 탁월성을 소유한 사회 구성원들은 모인 사회는 도덕적으로도 더욱 성숙하게 될 것이다. Aristotle says that human character is already innate. He said that innate character alone cannot reach full character. If so, how can one be equipped with a perfect character? The excellence of character is not created by temporary or instantaneous change. The road to the excellence of character does not happen in an instant, but can be learned by living a restrained life through continuous habits or practical wisdom. He says that one swallow doesn't make summer. The excellence of character is possible when continuous effort is followed. Aristotle says that human should not remain at his innate character, and if we stop here, we will be at the stage of infancy where he do not have a moral character. He says that we must not remain by virtue of nature, but must move from natural excellence to character excellence. And he says that the ultimate goal we have to reach is intellectual excellence. To reach intellectual excellence, he says, we can reach it through practical wisdom. Aristotle also says that we need intellectual excellence in order to live together in community. In order for us to make the right decisions in th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do the right things, we need “Phronesis(practical wisdom)” to make the individual nature work well. When a member of society is equipped with personal excellence and Phronesis, they will have outstanding moral character. Finally, Aristotle tells modern people about moral character. He says that we should not stay in our innate character but develop a moral character through continuous training. A society where members of a society with intellectual excellence are gathered will become more morally m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