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동엽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김경복(Kim, Gyeong-Bok)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4 No.-

        신동엽의 문학은 한국 60년대 문학사와 맞물려 해석할 때 온당한 의미를 획득한다. 참여시로 규정되는 그의 문학은 분단민족의 현실에 대한 우려와 함께 민족자주국가 형성을 주제로 삼는다. 신동엽의 이러한 의식은 자연스럽게 당대의 이상적 사회상, 즉 유토피아에 대한 의식을 그의 시적 내용으로 가지게 되는데, 이 내용이 얼마나 정합성을 띠고 당대의 현실에 대응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현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유토피아란 인류의 가장 깊은 갈망과 고귀한 꿈, 그리고 높은 포부가 성취되는 상상의 사회다. 그것은 당위의 세계이며 현실에 대한 제도적 비판과 개혁을 위한 제안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규범적 세계로 이해된다. 이런 유토피아적 사고로 신동엽 시를 살펴보았을 때 그의 시는 당대의 현실 비판과 함께 시대적 모순을 뛰어넘는 이상적 사회상을 제시하고 있다. 당대 현실 비판은 분단의 고착화에 따른 조국의 모순된 현실을 그리는 데서 볼 수 있다. 그의 시에서 우리나라는 우선 ‘타국의 기지’, 즉 주체적 자유와 자발성이 사라진 현실로 나타나고 이로 인해 약탈, 착취, 부정 등이 넘치는 현실에 놓이게 된다. 때문에 그의 시는 외세에 대해 저항하는 의식을 보여주고, 더 나아가 외세에 빌붙어 기생하는 매판 자본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외세에 대한 반감은 자연스럽게 외세가 가지고 들어온 문명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본다. 문명화된 사회가 당대 우리 민족의 생명적 위기 상황을 조장하는 것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신동엽이 추구하는 이상적 사회상은 두 가지다. 하나는 원시적 자연주의로,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하리라 보았던 현대문명이 오히려 인간에게 허울과 허식만 가져오게 함으로써 인간의 진정성을 상실케 했다고 보고 원시적 자연의 상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당대의 현실과 관련하여 자유와 평등이 보장된 사회상, 즉 자주적 공동체로서 무계급사회다. 신동엽은 이러한 이상적 사회상의 사상적 기반을 세 측면에서 얻고 있다. 우선 아나키즘 사상이다. 그의 시에서 ‘무정부 마을’로 표상되는 아나키즘 사상은 일체의 권위와 억압으로부터 인간의 자유로운 해방을 쟁취하고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분배’하는 이상적 삶의 모습을 담아내는 이데올로기로 표현되고 있다. 다른 하나는 동학사상으로 인내천(人乃天) 사상에 따라 민중평등과 자주적 삶을 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노장사상(老莊思想)으로 원시적 자연주의 및 소국과민(小國寡民)의 이상향을 추구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상과 사회상으로 구축되고 있는 신동엽의 유토피아 의식은 60년대 현실에 정합성이 있는 현실 대응이자 높은 심미적 이상을 심어주는 문학적 성취가 되고 있다. The literature of Dong-yeop Shin obtains a reasonable meaning when being interpreted with literature history of Korea in 1960's. His literature takes the forming of national independence state together with a concern to the reality of divided people as his themes. Such consciousness of Dong-yeop Shin naturally regards the consciousness to the ideal society of that time, i.e. the consciousness to the utopia as his poetic cont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find that such contents how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that time with consistency even in the present. The utopia is a society of imagination which the most deepest longing, noble dream, and the higher ambition of humankind are achieved. It is a world of needs and is understood as normative world in which it shows a suggestive characteristics for systematical criticism and reform to the reality. When appreciating the poetry of Dong-yeop Shin with such utopian thought, his poems are indicated as the ideal society beyond periodical contradiction together with the criticism to the reality of that time. Criticism to the reality of that tims can be shown from that it describes the contradicted reality of Korea according to fixation of division. In his poems, first Korea is indicated as 'a base of other countries', i.e. the reality which independent freedom and spontaneity are disappeared and due to this, it becomes a reality which plunder, exploit, and illegality are spread. Therefore, his poems show a consciousness to resist to foreign power and further they are lead to the criticism to comprador capital being parasite to foreign power. Antagonism to foreign power naturally sees the civilization which foreign power has brought with negative view. It regards as that civilized society aggravates the life crisis of Korean people. The ideal society which Dong-yeop Shin pursues has two kinds. One is a primitive naturalism, and it sees that modern civilization which was regarded to make the human life to be convenient made the loss of human truth by bring the empty looks and formalities to the humankind and intends to return to the primitive nature. The other one is a society ensuring freedom and equality, i.e. no class society as an independent community in relation with the reality of that time. He obtains a philosophical base of ideal society from three aspects. First is an anarchism. The anarchism expressed as ‘no government town’ in his poems is expressed as an ideology containing the feature of ideal life which gains a free liberation of humankind from all authorities and suppressions, ‘work depending on one's capability, and distribute according to its needs’. Second is an ideology to pursue equality of people and independent life based on ‘mankind is god’ of Donghak Thought. Finally, the Lao-Chuang's Thought expressing ‘letting nature be’ becomes a base to pursue a primitive naturalism. This thought and the utopian consciousness of Dong-yeop Shin established by its society become a literal achievement to be a corresponding to the reality with consistency in 1960's and to plant a high esthetic ideal.

      • KCI등재

        이육사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김경복(Kim Gyeong Bok)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이육사의 시는 유토피아 의식의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그 이유는 세 가지인데 첫째, 그가 시를 행동의 표현이라 본다는 시론의 입장에서 그의 시는 변혁을 추구하는 유토피아 사상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이육사는 수필 「靑蘭夢」에서 이상적 삶의 모습을 꿈의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 점 역시 유토피아적 이미지의 출현으로 유토피아 사상과 관련된다. 셋째, 그의 전기적 생애를 두고 볼 때 그의 독립운동이 사회주의 사상에 입각하여 전개됨을 볼 수 있는데, 사회주의 사상이 ‘구체적 유토피아’(블로흐)라고 불려지고 있다는 점에서 유토피아 사상으로 그의 시를 해명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이상의 관점에서 이육사의 시를 살펴보면, 먼저, 그의 시는 고향상실의 현실과 낙원회복 의식을 내보인다. 「子夜曲」, 「잃어진 고향」 등의 작품을 통해 황폐해진 고향의 현실을 상징적이면서도 사실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왜 유토피아적 이미지가 필요한지를 알게 한다. 그 결과 「靑葡萄」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통해 풍요와 평화의 상징으로서 낙원, 즉 지금은 잃어버렸지만 기억 속의 행복했던 유년의 고향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식을 표출하게 된다. 또한 ‘푸른 하늘’로 대변된 전통적 이상향의 가치를 여러 시 속에 담아냄으로써 일제 하 정의와 생명력이 상실된 현실을 비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관념적 이상향을 제시한다. 그 다음 이육사는 당시 탄압받는 민중들의 삶과 고통스런 현실을 제시함으로써 민중에 대한 연대와 구원의 유토피아 의식을 드러낸다. 「황혼」을 비롯한 여러 작품에서 사랑과 평화가 보장된 세계를 제시하는 것은 인간의 노력을 통해 달성되는 유토피아 사상의 특징을 잘 드러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육사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또 한 개의별을 노래하자」 등의 작품을 통해 자유와 평등, 정의와 사랑이 실현된 사회주의 이상국을 그려내 보여줌으로써 구체적 유토피아 의식의 수준에 이르고 있다. 또 일제 치하라는 현실에서 이러한 유토피아 달성이 어렵다는 점을 인식하고, 먼 후일 이러한 이상사회가 실현되리라는 확신을 「광야」, 「꽃」 등의 시를 통해 시간적 유토피아 이미지로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점을 두고 볼 때 이육사의 시는 그의 독립운동가로서의 측면에서나 그의 문학적 활동가의 측면에서 당대의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이상적 사회의식, 즉 유토피아 의식이 전면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그의 시는 민족주의 관점에서든 사회주의 관점에서든 당대 일제 식민지 현실에 가장 치열하고 정당하게 대응한 시적 행위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Yi Yuksa’s poetry need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utopian consciousness for three reasons. First, Yi’s poetry shows utopian consciousness that pursues change in that his poetic theory sees poetry as the manifestation of actions. Second, in his essay 「The Dream of Green Orchid(靑蘭夢)」, Yi suggests dream as a form of ideal life, which is also the manifestation of a utopian image in relation with utopian consciousness. Third, Yi’s life stated in his biography demonstrates the fact that he engaged i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on the basis of socialist ideology, called “concrete utopia” (Bloch).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explain Yi Yuksa’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dea of utopia When understanding Yi Yuksa’s poetry from the above-mentioned points of view, first of all, it displays the consciousness of lost homeland and recovery of paradise. Yi’s poems such as 「The Midnight’s Song(子夜曲)」 and 「Lost Hometown」 reveal the reality of devastated homeland in a symbolic and realistic manner, thereby letting readers know why utopian images are necessary. Consequently, many of Yi’s poems including 「Green Grapes」 express the consciousness of wanting to recover the lost hometown, the place of happy childhood, which is also the symbol of affluence and peace. In the same context, the image of ‘blue sky’, which stands for the value of traditional ideal world, is used in many of Yi’s poems to criticize the reality of lost justice and life under the Japanese control and to suggest an ideal world for recovery from such agonizing reality. Then, a utopian image of unity and relief for the people is created by Yi Yuksa, through depiction of the oppressed lives and harsh reality of the peopl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Many of Yi’s poems including 「Twilight」 suggest a world that guarantees love and peace to indicate the nature of the utopian ideology which can be achieved only by human efforts. Yi’s poetry goes a step further to display concrete utopian consciousness by describing an ideal socialist country where freedom, equality, justice, and love are realized, for example as in 「Let’s Sing One More Star」. Furthermore, Yi’s realization of the fact that such utopia cannot be achieved under the Japanese control and his conviction that the ideal society will come true in a distant future are expressed in the images of utopia for later times, in his poems including 「The Wide Plain」 and 「The Flower」. In conclusion, Yi Yuksa’s poetry can be seen as the manifestation of his consciousness of an ideal society, utopian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which aims at overcoming the miserable reality of his times both 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a literary activist. Therefore, Yi Yuksa’s poetry is meaningful as actions in the form of poems for the most fierce and just resistance against the grim real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t rule,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nationalism and socialism.

      • KCI등재

        박봉우 시의 실존 공간 연구

        김경복 ( Gyeong Bok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공간과 장소는 인간이 가진 생물학적 요건과 경험적 실존 사건들을 융합하면서 그 가치를 획득한다. 시에 나타나는 공간의미는 시인의 감각적 신체와 사회 현실의 경험 그리고 공간의 상호주관성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논문은 박봉우의 시에 나오는 실존 공간들을 공간 이론을 적용하여 논의해 본 것이다. 박봉우 시에서 실존 공간의 양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박봉우 시에서 원초적 공간은 역사적 현실 속에서 상실된 개인과 민족의 정체성 문제가 구체화된 것이다. 이것은 집 이나 고향 같은 실존적 근원성을 표상하는 공간으로 의미화되는데, 집의 해체와 불구적 현실 그리고 고향 상실과 전후의 정신적 외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공간의미는 보호가치로서의 근원지인 민족과 나라의 부재가 그 원인이다. 건강한 민족의 실존성을 찾고자 하지만 근원성에서조차 실존의 자리는 부재로 공간화된다. 둘째, 박봉우 시에서 경계적 공간은 참혹한 현실을 탈피하고자 하는 욕구가 의미화 된 것이다. 이것은 창문 에서 현실을 전복하려는 공간 역전 심리로 의미화되고 있으며, 꽃밭 에서는 현실과 이상 사이의 괴리가 적의로 변주된 변증적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것이 어떠한 양상이든 외부로의 세계 지향은 민족의 원심적 욕망에 근거해 있다. 하지만 모두 좌절의 양상으로 공간화된다. 셋째, 박봉우 시에서 폐쇄적 공간은 6 25와 4 19 그리고 7,80년대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경험한 이념적 좌절이 의미화된 것이다. 이것은 벽 에서 혁명적 저항성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병실 에서는 역사적 현실이 주는 이데올로기 폭력성으로 구체화 된다. 이것은 개인과 민족의 정신을 병들게 하는 요소가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모두 억압의 양상으로 공간화된다. 박봉우 시의 실존공간은 생물 사회학적인 존재의 위치를 보여준 것으로, 인간의 본능적 감각과 현실 경험, 시인으로서의 박봉우의 도덕적 판단에 의해서 해석된 실존적 의미의 상징이다. 이는 50년대 개인과 민족이 주체가 되는 삶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이데올로기가 만들어내는 허상적 주체에 휘둘리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Space and place obtain its value as biological conditions human has and experimental existence events fuse each other. Meaning of a space shown on poetry reflects things made in the midst of sensual experiences of a poet, experiences of social reality, and mutual subjectivity of space. This thesis investigated existence space shown on poetry of Park Bong woo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iginal space shown on the poetry includes meanings based on problem of a lost individual in the historical reality and racial identity. This is a space representing fundamental existence such as house or hometown. The space appears as dismantlement of house, deformed reality, loss of home town, and mental trauma after war. Such meaning of a space is caused by absence of race and a nation which is a source as value to be protected`. Second, Marginal space shown on the poetry is signification of desire to escape horrible reality. This has a form of psychology to reverse space to overthrow reality as shown in window. In a poem flower garden,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was embodied to hostility. Regardless of aspects appeared from such gap, pointing to external world is based on racial desire but all appear as aspects of frustration. Third, Closed space shown on the poetry is signification of ideological frustration experienced during Korean war, 4 19 revolu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 for 1980s. This appears as revolutionary resistance in wall. In sickroom, ideological violence resulted from historical reality is embodied. This shows that element to make spirit of individual and race become ill is ideological violence. Such violence is all expressed in space aspects of suppression. Consciousness on space of Park Bong woo reflects absence of identity, frustration in reality, and suppressing political violence. All this has negative form. Conflict of ideology and politics of violence after 8.15 Liberation Day are causes for this. Thus, existence space on Park Bong woo`s poetry shows aspects reflecting mental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nd social reality through history of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