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지에 발생한 Kimura씨 병 - 2예 보고 -

        김갑중,김하용,김승권,최원식,김성호,Kim, Kap-Jung,Kim, Ha-Yong,Kim, Seung-Kwon,Choy, Won-Sik,Kim, Seong-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Kimura씨 병은 정확한 병인이 알려지지 않은 매우 드문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알려져 왔다. 주로 단독 또는 다발성으로 피하층에 결절 형태로 발생하며 대부분 양성인 경과를 취한다. 주로 경부에 주변 림파선 증식을 동반하여 발생한다. 조직학적으로 림프양 조직이 증식되어 있고, 호산구가 많은 염증 세포의 침윤과 모세 세정맥이 풍부한 병리 소견을 보인다. 치료방법으로는 스테로이드 치료, 방사선 치료 및 수술적 치료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지에 발생한 2예의 Kimura씨 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imura's disease is uncommon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unknown etiology. It manifests as solitary or multiple subcutaneous nodule, primarily located on the cervical area with local adenopathies and salivary gland hypertrophy. Its clinical course is benign nature. Histologic findings are hyperplastic lymphoid tissue, inflammatory infiltrates rich in eosinophils and proliferations of capillary venules. Treatment options are steroid therapy, radiation therapy and surgical excision. We report two cases of Kimura's disease on medial aspect of upper arm.

      • 전이성 병적 골절 또는 병적 임박 골절의 수술적 치료

        김갑중,이상기,최원식,서동욱,Kim, Kap-Jung,Lee, Sang-Ki,Choy, Won-Sik,Seo, Dong-Woo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9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5 No.1

        목적: 전이성 병적 골절 또는 병적 임박 골절로 진단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이성 병적 골절 또는 병적 임박 골절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8환자,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예 여자가 12예였으며 평균 나이는 65.1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2개월이였다. 초기 진단으로 병적 골절이 14예, 병적 임박 골절이 5예였다. 기능적 평가는 추시 중에 MSTS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인 방사선 촬영을 통해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 유 무를 분석하였다. 결과: 원발암은 다발성 골수종 6예, 신 세포암 4예, 담관암 2예, 대장암 2예, 유방암 2예 및 평활근 육종이 2예였다. 전이 병소는 대퇴골이 10예, 쇄골 4예, 상완골 2예, 경골 2예, 요골 1예였다. 수술 방법으로 소파술, 시멘트 충전술, 내고정술 및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MSTS 점수는 15.9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감염이 1예, 국소 재발이 1예, 고정물의 이완이 1예 있었다. 최종 추시 시 유병 상태 10명, 사망 8명이었다. 결론: 전이성 병적 골절 및 병적 임박 골절의 수술적 치료는 하지의 경우 조기 보행을 가능하게 하고 상지의 기능 숙달도에 만족할 만할 결과를 보이며, 이환 부의의 통증 조절과 환자의 정서적 만족도에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환자의 남은 여생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술식이라 사료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for metastatic pathologic or impending patholog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7, 18 patients 19 cases were included. Male were 6 and female were 12. The mean age was 65.1. Mean follow up period was 15.2 months. Pathologic fractures were 14 and impending pathologic fractures were 5. MSTS score, periodic radiologic follow up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The primary malignancies were 6 cases of multiple myeloma, 4 cases of renal cell carcinoma, 2 cases of cholangiocarcinoma, 2 cases of colon cancer, 2 cases of breast cancer and 2 cases of leiomyosarcoma. Metastatic lesions were 10 cases of femur, 4 cases of clavicle, 2 cases of humerus, 2 cases of tibia and 1 case of radius. Surgical options were curettage, cementation, internal fixation and arthroplasty. Mean MSTS score was 15.9.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infection, 1 case of local recurrence and 1 case of implant loosening. Ten patients were alive with disease, 8 patients died of disease. Conclusion: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skeletal lesions allowed early ambulation and improving dexterity. It improved pain and emotional acceptance. Surgery is necessary for improving qualities of remaining lives.

      • KCI등재

        수부에 발생한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Nora 병변)의 염색체 변이

        김갑중(Kap-Jung Kim),김하용(Ha Yong Kim),양대석(Dae Suk Yang),최원식(Won-Sik Choy),임춘화(Chun Wha Ih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2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중족골, 중수골, 근위지와 중위지에 호발하는 골연골종과 유사한 질환이다. 주로 골종괴로 인한 증상을 나타내며 재발이 흔하나 양성인 경과를 취한다. 최근에는 병변의 염색체 검사를 통해 1번 염색체와 17번 염색체간에 전이를 보고한 저자들도 있다. 저자들은 수부 중위골에 발생한 1예의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을 치료하고 염색체 분석에서 전위와 중복을 확인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is a disease similar to an osteochondroma that usually involves the metatarsal, metacarpal, proximal and middle phalanx. The symptoms are normally caused by the bone mass, the condition has a benign clinical course but recurrence is common.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there is a translocation between chromosome 1 and 17. We report a case of BPOP in the middle phalanx of hand with translocations and duplication in cytogenetic karyotyping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사지의 주요 말초 신경에서 발생한 신경초종의 수술적 치료 결과

        김갑중(Kap Jung Kim),이상기(Sang Ki Lee),황재연(Jae Yeon Hwang),천영섭(Young Sub Chun),김용호(Yong 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3

        목적: 상·하지의 말초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의 수술 결과 및 그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하지 말초 신경 신경초종 환자 중 수술 후 12개월 이상 추시 가능한 5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51세였으며, 남자 23예, 여자 28예였다. 신경초종은 상지 27예, 하지 24예였다. 이환 신경을 해부학적으로 분류하였으며 제거된 종양의 최대 직경을 측정하였다. 임상 증상과 신경 증상을 수술 전·후 및 최종 추시 시 분석하였다. 신경학적 합병증의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20개월, 종양의 평균 최대 직경은 2.9 cm였다. 상지는 척골 신경, 하지는 경골 신경이 각각 10예로 제일 많았다. 수술 전 임상 증상은 티넬 징후가 38예로 제일 많았다. 임상 증상은 수술 후 90% 이상 호전되었다. 수술 전 감각 신경 이상은 13예, 수술 후 9예에서 호전, 4예의 환자는 수술 후 지속되었다. 최종 추시 시 2예의 환자는 호전, 2예의 환자는 지속되었다. 운동 신경 이상은 2예였다. 수술 후 1예의 환자는 호전, 1예의 환자는 최종 추시까지 지속되었다. 신경초종의 최대 직경과 최종 추시 시 감각 신경 및 운동 신경 이상의 합병증과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p<0.05). 결론: 상·하지 말초 신경 신경초종 제거는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수술 시 이환 신경의 손상을 주지 않도록 세심한 박리가 필요하다. Purpose: We analyzed the surgical result of schwannoma occurring in the major peripheral nerves of the extremity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surg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 year,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51 years. There were 23 male cases and 28 female cases. There were 27 cases of schwannoma in the upper extremity and 24 cases in the lower extremity. The involved nerves were classified. The maximal diameter of excised tumors was measured. Clinical and neurological symptoms were analyzed at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inal follow-up. Risk factors of neurological complications were also analyzed.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 months. The average maximal diameter of tumors was 2.9 cm. The most affected nerve in the upper extremity was the ulnar nerve in 10 cases, and tibial nerve in the lower extremity in 10 cases. The most prevalent preoperative symptom was Tinel in 38 cases.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in more than 90% of patients following the surgery. There were 13 cases with preoperative sensory deficits. Symptom improvement after surgery was observed in 9 cases; and symptoms persisted in 4 cases following surgery. At the final follow-up, sensory deficits disappeared in 2 cases and persisted in 2 cases. There were 2 cases of preoperative motor deficits. There was improvement in 1 case following the surgery and persisted in 1 case until the final follow-up.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aximal diameter of schwannoma and postoperative neurological deficits (p<0.05). Conclusion: Schwannoma at the major peripheral nerves of the extremity can be excised with acceptable risk for neurological deficits. Meticulous dissection is required to avoid injuries of the involved nerves.

      • KCI등재

        제1 중족골에 발생한 재발성 거대 세포종의 수술적 치료

        김갑중(Kap Jung Kim),이광원(Kwang-Won Lee),이종신(Jong Shi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거대 세포종은 양성 종양으로 분류되지만 국소 재발이 매우 흔하며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는 종양으로 주로 슬관절 주위에서 발생한다. 거대 세포종이 족부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1 중족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성인의 제1 중족골에 발생하는 거대 세포종의 특징 및 치료 방법도 아직 확실하게 정립된 것이 없다. 이에 저자들은 제1 중족골에 발생한 재발성 거대 세포종에 절제술 시행 후 비혈관성 자가 비골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Giant cell tumor is a benign but locally aggressive tumor with common recurrence. Most cases occur around the knee joint. Giant cell tumor of the foot is rare and very few cases involving the first metatarsal have been reported. It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in adult patients remain unclear.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recurrent giant cell tumor at the first metatarsal that was excised surgically and subsequently reconstructed with non-vascularized fibula graft.

      • KCI등재

        잠김 압박 금속판 (LCP-DF, Synthes(R))을 이용한 AO 분류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김갑중 ( Kap Jung Kim ),이상기 ( Sang Ki Lee ),최원식 ( Won Sik Choy ),권원조 ( Won Cho Kwon ),이도현 ( Do Hyun Lee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AO 분류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AO 분류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을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4환자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상 기전, 동반 손상, 방사선학 결과, 임상적 결과 및 수술 후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59.6세(30∼77)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5개월(12∼40)이었다. AO 분류 C1 3예, C2 5예, C3 7예였다. 수상 기전으로 교통사고 9예, 실족 5예, 낙상 1예였다. 타 부위 손상은 4예였다. 방사선학적 평균 유합 기간은 15주(13∼20)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Neer 기능적 점수는 74.2(58∼97)로, 우수 3예, 만족 5예, 불만족 7예었다. 합병증으로 감염 2예, 불유합 1예가 있었다. 금속판의 기계적 파손이나 고정 실패는 1예도 없었다. 결론: 잠김 압박 금속판은 AO 분류 C형의 원위 대퇴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우수한 고정력을 보였다. 최종 추시 시 임상적 결과는 다양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관절면의 해부학적 정복 및 적극적인 재활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surgical results of AO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s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6 to June 2008, 14 patients 15 cases were included. Injury mechanisms, combined injuries,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age was 59.6 (30∼77) year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5 (12∼40) months. AO types were 3 of C1, 5 of C2 and 7 of C3. Injury mechanisms were 9 of traffic accident, 5 of slip down and 1 of fall from a height. Four cases were combined with other extremity injuries or fractures. The mean radiologic union was obtained at postoperative 15 (13∼20) weeks. The mean Neer`s functional score was 74.2 (58∼97); 3 of excellent, 5 of satisfactory and 7 of unsatisfactor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2 of infection and 1 of nonunion. There were no mechanical failures or fixation loss with locking compression plate at the final follow up. Conclusion: Internal fixation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for AO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s provided excellent fixations. At the final follow up, the clinical results were variabl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final results seemed to be joint congruencies after anatomical reduction and ac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골반골의 수직 불안정성 골절과 동반된 고관절의 전방 탈구 - 보고-

        김갑중 ( Kap Jung Kim ),김하용 ( Ha Yong Kim ),양대석 ( Dae Suk Yang ),최원식 ( Won Sik Choy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Pelvic fractures result from high energy trauma and often associated with concomitant injuries. But, vertically unstable pelvic fractures combined with anterior dislocation of the hip is far less common. The traumatic dislocation of the hip is a true orthopedic emergency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 femoral head can be exposed to deteriorized vascularity. We report a case of vertically unstable pelvic fractures combined with traumatic anterior dislocation of the hip joint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좌골 신경 마비를 동반한 고관절 골절-탈구와 동측 대퇴골 간부의 개방성 골절 -1예 보고-

        김갑중 ( Kap Jung Kim ),김하용 ( Ha Yong Kim ),강성일 ( Sung Il Kang ),최원식 ( Won Sik Choy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1

        외상성 고관절 탈구의 85∼90%는 후방 탈구가 차지하며, 교통사고 등의 고에너지 손상에의해 발생한다. 고관절 탈구와 골절- 탈구는 정형외과적으로 응급에 해당되며, 대퇴골 두의 혈류 공급이 적고 좌골 신경이 근접한 위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저자들은 교통사고로 인하여 좌골 신경 마비를 동반한 고관절 골절- 탈구와 동측의 대퇴골 간부의 개방성 골절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osterior dislocation of the hip accounts for about 85.90% of traumatic hip dislocations and high energy mechanisms such as traffic accidents may cause them. The traumatic dislocation and fracture-dislocation of the hip are true orthopedic emergencies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 femoral head has poor vascularity and the sciatic nerve is closely located to it. We report on one patient who went through the surgical treatment of the concomitant ipsilateral open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and hip fracture-dislocation accompanying sciatic nerve injury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 재건술의 합병증

        김갑중(Kap Jung Kim),이상기(Sang Ki Lee),전충엽(Chung Youb Jeon),마창현(Chang Hyun Ma),김수민(Su 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44세였으며 남자 4예, 여자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8개월이었다. 기능적 평가는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 방사선 촬영을 통해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최종 추시 시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환 부위는 대퇴골 5예, 상완골 1예, 경골 1예였다. 최종 진단은 악성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2예, 법랑종 1예였다. 이식된 동종골의 평균 길이는 165 mm였다. 동종골 내고정은 금속정과 금속판 고정 4예,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2예, 나사못 고정 1예였다. 평균 유합 기간은 14.5주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MSTS 점수는 20점(67%)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불유합 3예, 내고정물 파손 1예, 감염 1예였다. 최종 추시 시 지속적 무병 상태 5예, 유병 상태의 생존 2예였다. 3예의 불유합 중 2예의 환자에서 자가골 이식술과 반 피질 동종골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장관골에서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은 매우 유용한 수술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동종골 이식 부위와 숙주골 경계 부위의 불유합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s of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wide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long bone,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44 years old. Male was 4 cases, and female was 3 cases. Mean follow-up period was 38 months. The m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score at final follow-up was evaluat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via periodic radiologic follow-up. Oncologic results were analyzed at final follow-up. Results: The primary malignancies occurred at femur in 5 cases, humerus in 1 case and tibia in 1 case. Pathologic diagnoses were osteosarcoma in 4 cases, multiple myeloma in 2 cases and adamantinoma in 1 case. Mean length of allograft was 165 mm. Fixations of allograft were intramedullary nailing with additional plate in 4 cases, intramedullary nailing in 2 cases, and screw fixation in 1 case. Mean time to union was 14.5 weeks. Mean MSTS score at final follow-up was 20 (6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nunion in 3 cases, implant failure in 1 case, and infection in 1 case. Oncologic outcomes were continuous disease free in 5 cases and alive with disease in 2 cases at final follow-up. Autologous bone graft and hemi-cortical onlay graft were performed in 2 cases of nonunion. Conclusion: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wide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long bone was effective surgical option. However, the possibility of nonunion between host bone and allograft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