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책형·디지털 교과서 캐릭터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초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가이 ( Kim Ga E ),문철 ( Moon Chul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현대 첨단 영상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서책형 교과서에서 확장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교육방식이 대두되면서 국내외에서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초등학교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의 캐릭터에 대한 조형적 양상과 특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현 시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국내외 초등학교 교과서 8종의 캐릭터를 대상으로,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 10가지 개념 중에서 형태(Form), 형(Shape), 색(Color)을 중심으로 캐릭터의 조형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형태(Form)는 캐릭터의 소재, 캐릭터의 스타일, 캐릭터의 질감을, 형(Shape)은 캐릭터의 실루엣에 따라 도형성과 신체 비율을 분석하였다. 색(color)은 캐릭터의 색상, 톤, 색채 이미지로 분류하여 한국표준색 색채분석 프로그램(KSCA)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국내 초등학교 교과서 중에서 인쇄 매체와 디지털 매체가 동시에 개발된 교과목이 한정적이라는 점이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진행된 사례분석의 결과가 향후 개발되어질 국내 교과서의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지표가 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high-tech sciences, educational methods utilizing digital educational media as the extension of the printed textbook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ever. Consequently, digital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t home and abroad. This paper aims to discuss about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features of characters currently used in eight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mative elements of characters in the textbooks from different countries using three categories, Form, Shape and Color, from ten concepts of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This study has a limit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only a small number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hich are digitalized. I hope this study draws up guidelines on the characters of the future textbooks in Korea.

      • KCI등재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적 서사에 대한 연구 -한국과 일본 초등 도덕교과서를 중심으로

        김가이 ( Kim Ga 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등 도덕교과서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점을 찾기 위하여 2018년부터 도입된 한국과 일본의 초등 도덕교과서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적 서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사회기호학의 관점에서 이미지를 구성하는 시각 요소들의 관계성에 대하여 분석한 Kress와 van Leeween의 시각 문법을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3·4학년 초등 도덕교과서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의 분석 결과, 한국의 도덕교과서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은 일본과 비교하여 시각적 서사의 구조가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표지 일러스트레이션의 시각적 서사 구조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oday's Korean society, mor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an environment where serious social problems arise in youth.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in 2015, the moral textbook was newly edited, and the role of textbook design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The textbook cover has a medium like the face of the subject, but it also influences students unconsciously as a visual culture that students come into contact with on a daily basis. Although the textbook cover illustration is an important area where the learner's sympathy is performed,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in comparison with its functional role and importance. Based on the social semiotic viewpoint, this study compares the visual narrative of the cover paintings of Japanese elementary moral textbooks published in the social background similar to the illustration of the Korean elementary moral textbooks revised in 2015. Through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the cover illustration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in Korea and to find improvement points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육 콘텐츠로서 국내 웹툰 캐릭터의 조형성 연구 - 초등 과학 학습만화를 중심으로 -

        김가이 ( Kim Ga 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첨단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미디어 믹스의 매체적 성격을 가진 웹툰 콘텐츠는 하나의 브랜드로서 다각화된 문화산업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근래에는 성공적인 국내 웹툰이 초등학생 대상의 학습만화로 출간되는 흐름 속에서 앞으로 교육 콘텐츠로써 웹툰 캐릭터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웹툰 캐릭터가 활용된 초등 과학 학습서의 주요 캐릭터 총 10종을 대상으로 웹툰 캐릭터의 시각적 양상을 도출하여 향후 초등학생 대상의 교육 콘텐츠로 적용할 수 있는 웹툰 캐릭터의 기준을 시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 중 3가지 조형적 요소인 형태(Form), 형(Shape), 색(color)을 바탕으로 오욱준(2007)의 분석틀을 적용하여 국내 웹툰 캐릭터의 조형성의 분석표를 재구성하였다. 총 10종의 웹툰 캐릭터를 분석한 결과, 표현 소재는 인물이나 인물로 의인화를 하였고 모든 캐릭터는 정원형의 얼굴형과 신체 체형으로 구성되어 전반적으로 둥근 형태적 특성을 가진다. 공통적으로 큰 눈과 작은 입으로 표현되고 2등신의 신체적 비례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 콘텐츠로 확장되는 웹툰 캐릭터를 기대할 수 있다. The webtoon content as media mix is expanding into the domain of diversified cultural industry as a brand. In recent years, as successful domestic webtoons are published with science study books for the primary students, we can expect the expansion of webtoon characters as educational content in the future. From this ressearch, it will draw the formative aspects of a total of 10 main characters in primary science study book, which are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three formative elements of Arnheim'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form, shape, and color, the formativeness of Korean webtoon characters was applied by Oh Uk-jun's (2007) analysis frame. As a result of analyzing a total of 10 types of webtoon characters, the expression material was personified as a person or a person, and all characters have a round face shape and body shape, and have an overall round shape. It is commonly expressed with large eyes and a small mouth, and is composed of two-headed body proportions. While the hand gestures were figuratively expressed so that they could be recognized, the feet were simply expressed as outlines. Character colors were limited to 3 or 4 colors. In the future, in terms of webtoon characters as media mix, we can expect webtoon characters that will be expanded into educational contents.

      • KCI등재

        자동차 광고의 광고텍스트 모델독자에 관한 융합연구

        김윤배(Kim, Yoon Bae),김가이(Kim, Ga 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현대 광고텍스트의 중심요소가 상품제시에서 브랜드 측면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것은 사회적 담론을 지향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필연적 특성인 반면 메시지의 불투명성으로 인한 상품 콘셉트의 모호성이 오히려 소비자의 다의적 해석을 허락한다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불투명성의 광고야 말로 송신자의 의도를 그대로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일방적 경로에서 수용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해석 이른바 “모델독자독서”에 의해 의미가 완성되는 광고텍스트 수용전략을 기호학적 시각에서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에서는 첫째, 텍스트의 불투명성을 가능 세계이론으로 재정립하는 것 둘째, 소비자의 적극적 협력방식을 ‘모델독자’로 치환하는 텍스트화용론을 도입하였고 셋째, 사례연구로는 자동차라는 제품을 등장 시키지 않고 배경과 브랜드만으로 제품 콘셉트를 전달하는 글로벌 마케팅 자동차광고를 선정하여 텍스트 화용론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된 광고텍스트들은 최소화된 상황적 요소와 브랜드를 강조하여 자동차 제품을 광고하는 것인지 알지 못하였으나 실물같은 대상물이 없는 지시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현실의 대안인 가능세계의 논의로 꿈과 희망을 소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각언어 텍스트에는 술어가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제품인지와 구매의 실행에 필요한 주체 즉, 자동차회사와 소비자 간 협력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데서 모델독자의 독서행위를 통해 단순히 텍스트 수용자가 아닌 참여자로서 공동저자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에서는 향후 모호성 광고를 해독하는 모델독자는 광고주가 텍스트에 남긴 공백 속에 들어가 의미를 무한하게 재생산해 내며 화용적 상황에 따라 텍스트를 탈코드화와 재코드화를 거쳐 기업-소비자간 협력적 담론을 현실에서 볼 수 없는 더 전형적이고 보편적인 구조로 인식시켜 주게 될 것이다. Modern advertising, while emphasizing the social contribution of companies, central element of ad text is replaced by the brand side in commodity presentation. This is to show the inevitable procedure of communication medium directed to social discourse, consumer of ambiguous interpretation by the opacity of one of the messages, to obscure the product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ads that take on these ambiguities what the meaning of is complete so-called active and proactive interpretation of inmates in one of the paths to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accommodate the intention of the sender "reading of the model reader" It is it is the ad text housing strategy has to be investigated in a symbolic vision. First, in the methodology of analysis of this study, that a second to re-establish the possible worlds theory of the opacity of the text, introduced the text pragmatics to replace the active cooperation scheme of consumers in the "model reader" In the case study, and then select a global marketing vehicles ads convey the only product concept background and brand without appeared car, it was carried out theoretical analysis for the text language. Analysis ad text, is minimized, did not know whether to advertise the car emphasizes the situational factors and brand, if the Ad analyzed, opaque no object, such as a real instruction By gender, the reality of the other side a dream of a real alternative possible world of discussion hope "now", it is that "here" can be hope. In addition, the principal required to purchase and run items recognized in relation to text circle predicate of visual language does not exist, that is, sinc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operation between automobile companies and consumers, reading act of model readers through, not just the text contained, it is the point of being able to make the role of co-author as a participant. Model reader to interpret the ambiguous ads that do not have a description format of the text dimension as a conclusion, advertise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out in of volume the meaning is contained in the space left by the text by playing infinitely text through a de-coding and re-coding, corporate - can not be seen in reality a cooperative discourse among consumers is that it makes us recognized as being more typical universal structure.

      • KCI등재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의 기호학적 가능세계에 관한 연구

        김윤배(Kim, Yoon Bae),김가이(Kim, Ga 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올림픽은 단순히 세계인의 화합을 위한 스포츠 대회만은 아니다. 개최국의 과학과 기술 그리고 문화예술의 총체적 역량을 보여주는 세계인의 축제의 장이다. 올림픽 엠블럼은 개최국의 총체적인 역량의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인 표층적 매개체의 역할과 함축된 문화적 의미를 담은 텍스트로도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을 표층적 기표를 통해, 내면적 기의를 분석하는 텍스트기호학적 관점에서 개최국의 이미지가 세계인들에게 잘 알려질 수 있는 매개체임을 입증하는 데 있다. 엠블럼은 추상적으로 인지되는 형태적 그림이면서도, 한편으로 수용자의 의식 안에서 무엇인가를 추리해내는 사고적 행위로 작동한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엠블럼 표현의 기호를 해석하고 읽어내는 수준을 넘어 행위 중에 발화하는 언표, 즉 하나의 표현이 수행되는 화용적 상황(Pragmatic Situation)에 주목하여 가능세계로 접근하는 방법론이 제기되었다. 특히 구상적인 성격을 가진 엠블럼과 달리 표현체(formant)로 나타난 대상들이 추상적 대상일 경우 이들이 실현하는 유의미적 자질을 분석해 내려면 좀 더 풍부한 메타언어를 확보해야만 하였다. 추상적 표현체를 구상적 표현체로 간주하는 문제는 기호학적 가능 세계론으로 접근하여 연구하였다. 표면적으로 엠블럼의 시각적 요소인 ‘ㅍ’은 우리 한글을 모티브로 하여 개최지 ‘평창’의 ‘평’의 초성 ‘ㅍ’과 하늘, 땅 그리고 사람들의 어울림을 우리의 전통사상인 천지인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ㅊ"은 ’평창‘의 ’창‘의 초성 ‘ㅊ"과 눈과 얼음의 결정체이미지, 동계스포츠 선수를 형상화하였다. 동계스포츠와 별 이미지를 통해 평창올림픽에서 화려하게 탄생할 스포츠 스타를 상징화하여 개최 도시 및 국가 이미지 그리고 동계올림픽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엠블럼도 모든 국가가 지구촌이라는 하나의 무대에서 현대와 과거가 어우러진 시공간적 이야기를 풀어내어 청중(독자)에게 다차원적 가치로 해석되고 경험되는 가능세계가 ‘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The Olympic Games are not only a sports festival that unite the world, but also a global festival enabling the host to showcase its achie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art and culture. The Olympic Games emblem works as a medium identifying visually the comprehensive competence of the host, as well as a sign imbued with cultural meaning. Regarding thi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Olympic Games emblem could work as an effective medium delivering the identity of the host to the world in terms of semiotics, specifically through a case study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emblem. An emblem is an image which has a specific form, and the audience deduce meanings from the image. In this study, I suggest a methodology approaching ‘possible worlds’ by focusing on a locutionary act, that is a ‘Pragmatic Situation’ in which an expression is actualized, rather than merely reading and interpreting the signs or image of the emblem. In particular, abstract ‘formant’s, which unlike emblems with a concrete ‘structure’, we have to be able to use rather inventive meta-language to understand. Therefore, I consider abstract ‘formant’s as concrete in terms of a ‘semiotic possible world’. For example, ‘ㅍ’, a visual el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emblem and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yllable ‘평’ from the name of the city ‘평창’, expresses symbolically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ideas of the harmony of the universe, the earth, and people. As the initial consonant of ‘창’, ‘ㅊ’ symbolizes snow and ice crystals and the Olympic athletes. Through the images of winter sports and competitors, the emblem symbolizes sports stars rising up from the Olympic Games. Therefore, the emblem implies the meanings of the Olympic Games as well as representing the images of the hosting city and national identity. In conclusion, the Olympic Games emblem works as a medium leading audiences to experience a possible world, which can be interpreted and experienced in a many ways, as ‘truth’ by reflecting the harmony of time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space (as a global village).

      • KCI등재

        창발적 사고를 위한 확장된 드로잉 교육 모형 연구

        문철 ( Moon Chul ),김가이 ( Kim Ga 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인간에게 요구되는 능력 중 하나는 창의적인 사고이다. 시대의 변화를 거쳐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미래사회의 출현과 더불어 다각적인 관점과 확장된 사고력을 갖춘 인재의 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가 당면한 패러다임의 변화로 받아들인다면, 교육은 새로운 가치와 방향성으로 재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적인 패러다임의 흐름으로 인해 국내 디자인(미술 대학의 교육 방향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발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미술 대학의 기초 조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창발성은 새로운 현상이 자발적으로 출연하였을 때 사고의 확장과 더불어 기존 의식 구조가 새롭게 재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며 창의성과는 다른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창발적 사고는 좌뇌의 연장선상에서 우뇌를 사용하는 전뇌적 활동으로, 주입식 교육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는 방식이 아니다. 특히 디자인을 전공하는 대학교 저학년에게 필요한 기초 과정은 이러한 열린 사고를 기반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수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드로잉 교육모형의 실행을 통해서 학생들의 창발적 사고를 증진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육 모형은 창발성에 관한 문헌 조사와 교육 모형의 선행 사례 연구를 통해 발상법을 분석하여 총 6단계의 확장된 드로잉 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입시미술 위주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H 대학교 시각디자인 전공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모형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한계점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The creative thinking is one of the skills required in humans. Human resources with diverse perspectives and the expanded thinking are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ducation will need to be refurbished with new values and directions as the society accepts the changes of this new paradigm.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for art and design in Korea is changing according to this new paradigm of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 model of expanded drawing for the emergent thinking in basic art and design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emergent thinking is different from the creative thinking in that it appears spontaneously as a new phenomenon occurs; thinking will be expanded and consciousness structure will be reorganized. Emergent thinking which is a forebrain activity using the right brain as an extension of the left brain is not a way of acqui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the cramming education.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design students in lower grades in the university level to learn how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based on an open mind in their basic courses.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helps improve the emergent thinking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model of expanded drawing. This study examines the idea thinking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a case study of design thinking and suggests an education model composed of six stages. This education model of expanded drawing was applied to the sophomore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without any fine arts prep-school educational experience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t H university and produced positive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emergent thinking and its limi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