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소 유예 후기 비행청소년을 위한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길은영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4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group art therapy conducted under the cooperation with a local community, the judicial agency in Seoul, and a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regarding the depression and negative self-image of the juvenile delinquents, art therapy consisting of 12 sessions was conducted for 150 minutes per a week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17. Participants who were males and females between the ages of 16 and 20 were ordered to take art therapy sessions as a part of their restorative education program. Draw-A-Story (DAS), Person-In-Rain (PITR), and Sentence Completion Test (SCT) were used in order to explore participants' depression, self-image and coping competence by comparing changes from pre and post testing. Qualitative analysis such as observation, art works, and interactions with participants in each sessio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decreased participants' depression and helped them to have a positive self-image.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nder informal control, supervision, and care provided by the cooperative institutional supervision system was conducted in the restorative justice system. This program effectively prevented juvenile delinquents from committing crimes again. That is, it helped juvenile delinquents to adapt to the community through the positive interaction. Even thoug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as a single case study, it implies that juvenile delinquents should need care and supervision within a mutually supportive and ecological system of friends, teachers, schools, and supervisory agencies including parents. 본 연구는 회복적 사법제도인 조건부 기소유예 청소년에게 지역사회와 기관, 대학과 협력하여 실시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이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기소유예 후기 청소년의 우울, 부정적 자기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7년 9월 29일부터 2017년 12월 15월까지 매주 1회, 150분간 총 12회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안교육 수강명령을 받은 16세에서20세의 후기 비행청소년이며, 연구도구는 DAS, PITR, SCT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변화를 우울과자아상, 대처능력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각 회기별 관찰기록과 작품, 상호작용을 토대로 질적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기소유예 후기 비행청소년의 우울을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자기상을 가지게 하였다. 둘째, 회복적 사법제도안에서 실시된 협력기관의감독 체계안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후기 비행청소년에게 돌봄과 함께 비공식적 통제와감독의 역할을 하였고, 긍정적인 상호 작용으로 집단에 적응하게 하여 재범 방지에 기여하였다. 본 사례 연구는 단일 사례로 제한점을 가지나, 비행청소년에게 부모외에 친구, 교사와 학교, 그리고 감독기관의 상호 지지적이며 생태적인 체계안에서 돌봄과 감독의 필요함을 제기하고 접근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한 여성의 이혼 과정과 그 경험의 의미

        길은영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2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divorce for a woman and reflects through the hermeneutic circulation writing about the meaning of the life event of divorce for a woman. The research data are based on in-depth interview of the participants, Faust, movies, works of art, and research journals and Bricollage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During the practical inquiry process, the divorced woman ‘played a role not being in a relationship’ of love and marriage, struggled ‘to resist violence and survive,’ and ‘worked hard not go crazy or die’. Later, in the process of divorce, she tried to ‘communicate and survive.’ As an existential quest, Gretchen, the woman in Faust,, was not free from the other’s attentionand remained passive being victimized by herself and her children in a world dominated by the male point of view while “Helene” meant the soul to express emotions and overcome chaos as a woman with her own voice. Therefore, ‘Gretchen’ is a passive woman who does not exist in a relationship and exists only as a role, and “Helene” can be likened to a woman who identifies and announces her existence through divorce. The study showed the divorce process can be a process for women to exist as subjects, and express her willingness to make a new life change based on their own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and write a positive narrative. 본 연구는 여성의 이혼 과정과 그 경험을 탐색하고 여성에게 이혼이라는 생애 사건이 여성의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해석학적 순환의 글쓰기를 통해 성찰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담 자료, 파우스트, 영화, 예술작품, 연구일지이며, 연구 방법은 브리꼴라주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천적 탐구과정에서 이혼 여성은 사랑과 결혼의 ‘관계에서 비존재 하면서 역할을 수행하였고’, ‘폭력에 저항하고 살아남고자’ 했으며, ‘미치거나 죽고 싶지 않아’ 이혼을 선택하였다. 이후, 이혼 과정에서 ‘소통하며 생존하고자’ 하였다. 실존적 탐구로서 파우스트 속 여성 ‘그레트헨’은 타자의 시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남성의 세계관에 자신과 자녀가 희생되는 수동적인 존재로, ‘헬레네’는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혼돈을 극복하고자 하는 심혼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그레트헨’은 관계 속에서 비존재하고 역할로 존재하는 수동적인 여성으로, ‘헬레네’는 이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식과 공표하는 여성에 비유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의 이혼 과정은 여성이 주체로 존재하기의 과정이 될 수 있고, 자신의 관점과 인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삶의 전환을 이루려는 의지를 표명하면서 긍정적 내러티브(narrative)를 써 내려갈 수 있는 과정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융의 개성화 관점에서 본 우울성향의 중년여성의 미술치료중재과정

        길은영,장인희 인지발달중재학회 20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성향이 있는 중년여성의 미술치료과정을 융의 개성화관점으로 살펴보 고 중년기의 심리적 위기가 자기실현을 향한 개성화의 한 과정이며, 미술치료과정과 연관성 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38세의 우울 증상을 가진 중년여성으로 2013년 4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35회기 동안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사전?사후 에 BDI와 MMPI-2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우울증상의 하위요소가 감소하였다. 각 회기 별 작업과 꿈, 회기 내용을 가지고 분석심리학적 문헌과 자료를 통해 질적 분석한 결과는, 중 년여성의 우울증상은 생애 전반기에 페르소나와 지나친 동일화로 자신의 내면세계와 차단되 어 진정한 자기의 측면이 소외된 결과였으며, 미술치료과정은 중년여성에게 내면을 표현하면 서 진정한 자신을 돌아보게 하였고 개인의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개성화’과정으로 인도하는 중재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우울증상은 정신적인 균형을 되찾는 개성화의 과정으 로 볼 수 있으며 미술치료 또한 내면의 상을 의식과 연결하여 진정한 자기를 찾는 개성화과 정의 중재과정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손녀를 돌보는 어느 조모의 생애사를 통한 모성연구

        길은영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the meaning of mothering and motherhood through the life story of a grandmother who is also nurturing a granddaughter. It is expected that exploring her lifecycle and temporality from her life history research would give a fresh perspective on the meaning of motherhood and nurturing. An individual’s life history recorded in this research is not only a reflection of social norms and the memories in the past history, but also of her own assessments and resistance to traditionally defined norms. The research participant, a grandmother, Kim is an eighty-year-old woman and has been providing her stories of nurturing family care and life history. Mrs. Kim’s motherhood is ‘sharing and feeding together,’ ‘gladly taking the role of nurturing if it is given,’ ‘diligently taking care of,’ ‘watching over a child’s growth,’ and ‘finding joy in nurturing.’ Thus, Mrs. Kim decided to ‘survive to nurture.’ The motherhood from this research illustrates that motherhood, no matter how harsh social or economic conditions women might face, is in its nature ‘to diligently survive and live to nurture’ and this motherhood becomes a critical element for a child’s becoming a healthy member of human community, while strongly suggesting that a child teacher play a role of ‘staying and living diligently’ for a child’s growth. 본 연구는 손녀를 양육하는 어느 조모의 생애사를 통해 양육경험과 모성의 의미를 알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에서 모성은 단순히 임신과 출산, 수유 등으로 한정되는 생물학적 속성 외에도 여성의 경험적 특질인 긍정성과 더불어 큰 사회적 함의를 지닌다. 사회와 가족의 변화와 함께 모성의 의미는 시대별로 다양한 의미와 담론을 형성해 왔고 모성은 어머니와 자녀를 둘러싼 다양한 삶의 상황이 함께 어우러진 복잡한 구성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정환경 중에서도 한 부모가정의 손녀를 돌보는 조모의 모성이 생애와 양육경험에 어떻게 발현되고 실천되어 왔는지에 집중하였다. 김 할머니는 82세 여성 노인으로 해방 전후에 출생하여 한국전쟁을 제주도에서 겪었고, 부산, 경기도와 서울에 거주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동생들과 친척, 결혼 후에는 두 자녀와 손녀를 기른 어머니이다. 김 할머니의 생애사를 통해 발현된 모성은 아들과 딸, 그리고 남의 아이, 내 아이 구분 없이 ‘똑같이 나누어 먹는 것’이며, 기꺼이 양육을 ‘떠안고’, ‘부지런히’ 돌보는 것이었다. 김 할머니는 자신과 손녀의 성장을 ‘뿌듯이, 뿌듯하게’ 여겼으며, 생애 후반에 직면한 죽음에 앞서, ‘돌보기 위해 살아남아’ 자신의 존재와 삶의 의미를 모성에서 찾는 것으로 귀결하였다. 본 연구가 손녀를 기르는 한 조모의 생애사에서 발견한 모성의 의미이나, 삶의 맥락에 따른 모성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함은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와 할머니들, 아이를 기르는 이들에게 주체적으로 모성을 구성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난치성 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길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5 No.2

        Patients that sufer from incurable disease are more likely to be deteriorated in various areas of their lives, such as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and e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ion and self-image of patients with incurable diseases. We employed the use of WHOOQOL–CS (Quality of life) and DAS as research tols to compare the emotions, quality of life, and self-im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n adults with 10 sesions and 120 minutes for each sesion. Based on data, activities and works that recorded the whole proces, we analyzed the quality of each sesion, group stage and individ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s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quality of lives of adults living with incurable diseases. Second, as a result of DAS, group art therapy brought positive changes in expresing various emotions to the patients with refractory adult patients who led daily lives while helples, depresed and having negative self-image due to ilnes. Moreover, patients with refractory ilnes who showed changes in self - image and emotions had a meaningful change in the social relation area of quality of life by receiving care in groups, recognizing oneself positively through art medium and emotional ventila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a single group. However, it is important to suggest the ned for group art therapy and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lives as a social concer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aly incurable patients. 만성 난치성 질환자는 신체는 물론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관계, 환경을 포함하는 삶의질의 영역에서 그 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난치성 질환자의삶의 질과 자아상과 정서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0명의 20 대에서 40대 남녀 성인들로 총 10회기, 회기당 120분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판 삶의 질(WHOOQOL-CS)척도와 DAS를 사용하여, 삶의 질과 정서 및 자아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전체 진행 과정의 기록, 녹취, 작품을 토대로회기별, 단계별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난치성 질환자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둘째, DAS를 통해 본 결과, 집단미술치료는 질환으로 인해 일상과 삶이 무기력하고 우울하며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졌던 난치성 질환자들이 미술 매체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능동적으로 변하고 정서가 안정되는 변화를가져왔다. 더하여 자아상과 정서에 변화를 보인 난치성 질환자는 집단 안에서 돌봄을 주고받으면서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삶의 질의 사회적 관계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가 단일집단으로 제한점이 있으나, 만성 난치성 질환자를 위한사회적 관심과 심리적 중재로서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들의 삶에 긍정적인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길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소재한 두 곳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 중 자기표현이 서투르고 사회성이 부족한 1∼3학년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에 각 8 명씩 배치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회당 80분씩, 총 10회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에 2018년 1월 4 일부터 2월 13일까지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표현 척도와 사회성 척 도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n-Whitney 검정과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참여하지 않은 아동보다 자기표현과 사회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의 과정에서 나타난 참여 아동들의 보고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에 기초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 기표현과 사회성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질적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 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 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Art Therapy programs on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16 children in the first, second or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e children were from low-income families that were using services at two local children's centers in P City, and were characterized as having poor self-expression and a lack of sociality. These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 group of eight and a control group of eight. A program was devised, consisting of a total of ten 80-minute sessions with two sessions per week.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from January 4 to February 13, 2018.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inventories were used for measurement purpose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ested in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the SPSS 22.0 program. The findings show that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Food Art Therapy program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compared with the children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program's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were put to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reports made by the participating children in the program and the investigator's observations. The program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at Food Art Therapy program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인 미술치료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내러티브 탐구

        길은영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narrative inquiry of the art therapists who performed the art therapy sessions with the visually impaired, living in a care facility. Four art therapists participated (out of six art therapists who originally performed art therapy sessions) who agreed to join this research. Four art therapists performed the total of 26 group art therapy sessions from March 2013 to November 2017.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materials used for this research were therapists’ own art exhibition works, published materials for the exhibition of the therapists and the visually impaired, art therapy diaries, indepth interviews, photographs, diaries, videos, and journals of the researchers. This research adopted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o closely look into the deeper and direct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and to understand how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looking into the life of the researcher and the meaning of reconstructing this particular experience with the visually impaired. Art therapists who performed art therapy sessions with the visually impaired initially started the sessions with ‘fear and excitement’ and experienced ‘breakdown of prejudice and emergence of genuine encounter.’ As time passed, ‘more intense sense of us: unity’ was formed while supporting and reflecting each other. With the experience, they came to have a new understanding as art therapists who are leading the session but also coming along, going beyond the typical relations as the active giver (art therapists) and the passive receive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y came to realize new image as ‘an art therapist walking along’ the participants. Therapists came to have a new sense and ‘appercep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ducting art therapy that was alive and meaningful.’ Art therapists came to appreciate the diversity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with art mediums alone, and came to understand both of complexity and flexibility of a human being in a deeper sens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session of art therapy was the time and place where we were alive. 본 연구는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성인 시각장애인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한 미술치료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로 그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를 진행한 6명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4명의 미술치료사들로 2013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매월 1회에서 격월 1회씩 총 26회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참여자인 미술치료사들의 심층면담자료, 미술치료사들의 전시회 작품과 글, 시각장애인들의 미술치료전시회 자료, 미술치료 일지와 활동사진, 영상물기록물, 연구자의 일기가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삶을 함께 이야기 하고 그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미술치료사들은, ‘두려움과 설레임’으로 시각장애인 미술치료를 시작하였고, 미술치료과정동안 ‘편견이 깨어지고 진정한 접촉’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서로의 일부가 되었고’, ‘주도하면서 따라가는’ 관계가 형성되면서 미술치료사들은 눈을 뜨고 있으나 눈먼 장님과 같은 존재였음을 고백하였다. 이로써 미술치료사들은 전문가가 되어가면서도 동반자로서 마음을 다지고, 더욱 마음 ‘안’을 바라보는 성찰을 하게 되었으며, ‘온 몸으로’ 내담자를 만나야 함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이로써 미술치료사들은 미술매체를 통해 보이지 않는 관계속에서 복합적이고 유연한 인간으로 존재하였으며 미술치료사들에게 시각장애인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은 ‘우리’가 살아있는 시간과 장소였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난치성 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길은영(Gil Eun-Young)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2

        만성 난치성 질환자는 신체는 물론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관계, 환경을 포함하는 삶의 질의 영역에서 그 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난치성 질환자의 삶의 질과 자아상과 정서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0명의 20 대에서 40대 남녀 성인들로 총 10회기, 회기당 120분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한국판 삶의 질(WHOOQOL-CS)척도와 DAS를 사용하여, 삶의 질과 정서 및 자 아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전체 진행 과정의 기록, 녹취, 작품을 토대로 회기별, 단계별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난치성 질환자 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둘째, DAS를 통해 본 결과, 집단미술치료 는 질환으로 인해 일상과 삶이 무기력하고 우울하며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졌던 난치성 질 환자들이 미술 매체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능동적으로 변하고 정서가 안정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더하여 자아상과 정서에 변화를 보인 난치성 질환자는 집단 안에서 돌봄을 주고 받으면서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삶의 질의 사회적 관계영역에서 유의미 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가 단일집단으로 제한점이 있으나, 만성 난치성 질환자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심리적 중재로서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Patients that suffer from incurable disease are more likely to be deteriorated in various areas of their lives, such as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and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image of patients with incurable diseases. We employed the use of WHOOQOL–CS (Quality of life) and DAS as research tools to compare the emotions, quality of life, and self-im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n adults with 10 sessions and 120 minutes for each session. Based on data, activities and works that recorded the whole process, we analyzed the quality of each session, group stage and individ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s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quality of lives of adults living with incurable diseases. Second, as a result of DAS, group art therapy brought positive changes in expressing various emotions to the patients with refractory adult patients who led daily lives while helpless, depressed and having negative self-image due to illness. Moreover, patients with refractory illness who showed changes in self - image and emotions had a meaningful change in the social relation area of quality of life by receiving care in groups, recognizing oneself positively through art medium and emotional ventila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a single group. However, it is important to suggest the need for group art therapy and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lives as a social concer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ally incurable patients.

      • KCI등재

        미대생의 미술치료수업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길은영 ( Eun Young Gil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대생이 미술치료수업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담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대학입시를 치루고 미대에 들어온 미대생이 미술치료수업을 통해 경험한 시간성을 이야기로부터 얻었다. 미대생은 미술치료수업을 통해 ‘나의 삶의 시간을 오고 갔고’, ‘자신의 두려움을 마주하게’되었으며, 점차 ‘부담 없이 자연스러운 미술작업을 하는 체험’을 하였다. 더불어 수업 중에 ‘동기간에 마음을 열고 나누게 되었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안아주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미래에 대한 기대와 조망’을 하게 되었다. 이 경험을 통해 미대생은 ‘건너가는 존재’이자 ‘미술과미술치료사이의 존재’였으며, 미술의 가치는 입시를 통해 학습된 미술이 아닌 진정한 자기표현의 매개로 변환되었다. 그리고 미술은 정체성을 탐색하는 매개일 뿐 아니라, 미술 그 자체가 내러티브 정체성을가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n how a college art major student discovers the meanings of life through art therapy class. This study discusses Time of an art student who began her journey as an art major student after rigorous college exam process. In the art therapy class, this student revealed her own way of ‘passing through her time,’ ‘faced her own fear’, and eventually came ‘to enjoy freedom of doing arts without any psychological burden.’ The student was able ‘to open her heart and mind with colleagues’ in class, to ‘embrace herself as she is’, and to explore her identity with anticipation and openness. This particular experience of the student revealed the student as a ‘being who passes through’ and a ‘being who exists in between art and art therapy’, proved that her art works could become true medium to express herself, not as an ‘artificial art’ designed for college exam purpose, and finally art works, not as a medium, but as independent objects free and separated from the student, plays as the bearers of new narratives.

      • 상실을 경험한 우울 청소년의 발달적 애도를 위한 미술심리치료 사례연구

        길은영 ( Gil Eun-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상실의 아픔과 고통을 외면하고 현실에 부적응한 우울 청소년이 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발달적 애도과정을 거쳐 우울함이 감소한 미술심리치료사례연구이다. 내담자는 우울을 호소하고 가족 간 갈등을 가진 16세 청소년으로 총 40회의 미술심리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BDI, KHTP, DAS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변화를 비교 검증하였다. 미술심리치료결과, 내담자는 형제상실과 왕따라는 관계상실에 대한 감정과 상처를 자발적인 미술작업으로 풀어내면서 발달초기로 퇴행하여 상실에 대한 고통을 마주하고 애도의 시간을 다시 살아내었다. 미술심리치료 과정에서 내담자는 상실한 대상과 경험을 시각화하고 자신을 인식하고 수용하면서 분리와 독립을 향하는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현실에 적응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내담자의 우울이 감소하였으며,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단일 사례로 상실외상을 경험한 이들에게 적용하는 것에 제한이 있으나 미술작업과 우울, 그리고 애도과정의 관련성을 밝히고 미술심리치료가 상실을 받아들이고 고통을 경험하며, 슬픔을 표현하는 애도의 능력을 발달시키고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여 건강한 정체성을 형성하게 함에 의의를 가진다. This is a case study of art psychotherapy in through which depressive adolescents who reppressing the pain of loss and adapted to reality worked through a developmental mourning process. The client was a 16-year-old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had family conflicts, and a total of 40 sessions were conducted. Research tools used BDI, KHTP, and DAS to compare and verify pre-post changes. Art psychotherapy expressed feelings and wounds about the loss of brother and bullying through voluntary art work, regressed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faced the pain of loss, and lived a time of mourning again. Art psychotherapy visualized lost objects and experiences, made her recognize and accept herself. And She adapted to reality by discovering a new self toward separation and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client's depression decreased, a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s a single case and has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loss trauma.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rt work, depression, and mourning process, art psychotherapy accepts loss, experiences pain, and repair damaged relationships while expressing sadness to form a healthy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