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상 관계 이론 관점에서 본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미술치료 사례 연구

        길은영 ( Gil¸ Eun-young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1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미술치료 사례를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 내담자는 시설에 거주하며 출산을 앞둔 20세 여성으로 주 1회, 80분씩, 11회기 중 면담 회기를 제외한 총 9회기 단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 BDI, 투사 검사로 KFD, DAS를 사용하였고, 연구자료는 이야기, 일지, 축어록, 작품, 기관담당자의 보고, 대상관계이론 관련 문헌을 활용하였다. 미술치료 과정에서 발현된 내담자의 작품과 이야기를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엄마가 없는 우울한 날들’을 살면서 ‘울타리가 필요했던 나’를 인식하였고, ‘내가 좋아하는 것과 아기오리가 있는 풍경’, ‘가장 슬프고 행복한 이야기, ‘내가 곁에 있을게.’라는 기억과 애도의 시간을 가졌다. 이후, ‘공부도 하고 여행도 가고, 아프지 마, 평생 사랑해’, ‘나도 부모가 있어요.’라는 회복과 일상과 연결되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친족간 성폭력 피해자의 부정적인 대상 관계가 변하여 자기 능력이 향상되고 현실 관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대상 관계 미술치료가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신의 외상을 진술하고 증언하게 하였으며, 미래를 기대하고 현재를 살아가게 하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 관계 접근의 단기 미술치료가 친족 성폭력 피해자를 위해 치료관계와 목표, 치료사의 자세와 태도를 제시하고 미술치료 현장에 적용 가능성을 제안했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rt therapy cases of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 20-year-old woman who lived in a facility and was about to give birth to a child, and was conducted art therapy for nine sessions, excluding interview sessions, once a week, 80 minutes a week. As a research tools, BDI, KFD, and DAS were used as a projective test, and the research data used for analysis were a story, diary, verbatim record, works, and object relations theory literatu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orks and stories of the interviewees expressed in the art therapy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theory, she recognized ‘me who needed a fence’ while living, ‘depressing days without a mother.’ and she had a time of memories and mourning, such as ‘my favorite and the scenery of a baby duck’, ‘the saddest and happiest story’ and ‘I'll be there’. Since then, the theme of recovery has been drawn up and linked to the daily routine of ‘study, travel’, ‘don't get sick, and love you forever’, ‘I have parents, too.’ First, these results changed the negative object relationship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improving her self-ability and leading to changes in real relationships. Second, the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reduced the depression of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made her narrate, testify her trauma and have the power to live in the present while wating for the futu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rt therapy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pproaches to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presented therapeutic relationships, goals, and attitudes, and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linical art therapy.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난치성 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길은영(Gil Eun-Young)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2

        만성 난치성 질환자는 신체는 물론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관계, 환경을 포함하는 삶의 질의 영역에서 그 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난치성 질환자의 삶의 질과 자아상과 정서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0명의 20 대에서 40대 남녀 성인들로 총 10회기, 회기당 120분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한국판 삶의 질(WHOOQOL-CS)척도와 DAS를 사용하여, 삶의 질과 정서 및 자 아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전체 진행 과정의 기록, 녹취, 작품을 토대로 회기별, 단계별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성인 난치성 질환자 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둘째, DAS를 통해 본 결과, 집단미술치료 는 질환으로 인해 일상과 삶이 무기력하고 우울하며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졌던 난치성 질 환자들이 미술 매체로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능동적으로 변하고 정서가 안정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더하여 자아상과 정서에 변화를 보인 난치성 질환자는 집단 안에서 돌봄을 주고 받으면서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삶의 질의 사회적 관계영역에서 유의미 한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가 단일집단으로 제한점이 있으나, 만성 난치성 질환자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심리적 중재로서 집단미술치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Patients that suffer from incurable disease are more likely to be deteriorated in various areas of their lives, such as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ocial relations,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and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image of patients with incurable diseases. We employed the use of WHOOQOL–CS (Quality of life) and DAS as research tools to compare the emotions, quality of life, and self-im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n adults with 10 sessions and 120 minutes for each session. Based on data, activities and works that recorded the whole process, we analyzed the quality of each session, group stage and individ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s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quality of lives of adults living with incurable diseases. Second, as a result of DAS, group art therapy brought positive changes in expressing various emotions to the patients with refractory adult patients who led daily lives while helpless, depressed and having negative self-image due to illness. Moreover, patients with refractory illness who showed changes in self - image and emotions had a meaningful change in the social relation area of quality of life by receiving care in groups, recognizing oneself positively through art medium and emotional ventila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a single group. However, it is important to suggest the need for group art therapy and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lives as a social concer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hronically incurable patients.

      • KCI등재

        미대생의 미술치료수업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길은영 ( Eun Young Gil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대생이 미술치료수업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담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대학입시를 치루고 미대에 들어온 미대생이 미술치료수업을 통해 경험한 시간성을 이야기로부터 얻었다. 미대생은 미술치료수업을 통해 ‘나의 삶의 시간을 오고 갔고’, ‘자신의 두려움을 마주하게’되었으며, 점차 ‘부담 없이 자연스러운 미술작업을 하는 체험’을 하였다. 더불어 수업 중에 ‘동기간에 마음을 열고 나누게 되었고’, ‘자신을 있는 그대로 안아주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미래에 대한 기대와 조망’을 하게 되었다. 이 경험을 통해 미대생은 ‘건너가는 존재’이자 ‘미술과미술치료사이의 존재’였으며, 미술의 가치는 입시를 통해 학습된 미술이 아닌 진정한 자기표현의 매개로 변환되었다. 그리고 미술은 정체성을 탐색하는 매개일 뿐 아니라, 미술 그 자체가 내러티브 정체성을가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on how a college art major student discovers the meanings of life through art therapy class. This study discusses Time of an art student who began her journey as an art major student after rigorous college exam process. In the art therapy class, this student revealed her own way of ‘passing through her time,’ ‘faced her own fear’, and eventually came ‘to enjoy freedom of doing arts without any psychological burden.’ The student was able ‘to open her heart and mind with colleagues’ in class, to ‘embrace herself as she is’, and to explore her identity with anticipation and openness. This particular experience of the student revealed the student as a ‘being who passes through’ and a ‘being who exists in between art and art therapy’, proved that her art works could become true medium to express herself, not as an ‘artificial art’ designed for college exam purpose, and finally art works, not as a medium, but as independent objects free and separated from the student, plays as the bearers of new narratives.

      • 상실을 경험한 우울 청소년의 발달적 애도를 위한 미술심리치료 사례연구

        길은영 ( Gil Eun-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상실의 아픔과 고통을 외면하고 현실에 부적응한 우울 청소년이 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발달적 애도과정을 거쳐 우울함이 감소한 미술심리치료사례연구이다. 내담자는 우울을 호소하고 가족 간 갈등을 가진 16세 청소년으로 총 40회의 미술심리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BDI, KHTP, DAS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변화를 비교 검증하였다. 미술심리치료결과, 내담자는 형제상실과 왕따라는 관계상실에 대한 감정과 상처를 자발적인 미술작업으로 풀어내면서 발달초기로 퇴행하여 상실에 대한 고통을 마주하고 애도의 시간을 다시 살아내었다. 미술심리치료 과정에서 내담자는 상실한 대상과 경험을 시각화하고 자신을 인식하고 수용하면서 분리와 독립을 향하는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현실에 적응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내담자의 우울이 감소하였으며,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단일 사례로 상실외상을 경험한 이들에게 적용하는 것에 제한이 있으나 미술작업과 우울, 그리고 애도과정의 관련성을 밝히고 미술심리치료가 상실을 받아들이고 고통을 경험하며, 슬픔을 표현하는 애도의 능력을 발달시키고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여 건강한 정체성을 형성하게 함에 의의를 가진다. This is a case study of art psychotherapy in through which depressive adolescents who reppressing the pain of loss and adapted to reality worked through a developmental mourning process. The client was a 16-year-old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had family conflicts, and a total of 40 sessions were conducted. Research tools used BDI, KHTP, and DAS to compare and verify pre-post changes. Art psychotherapy expressed feelings and wounds about the loss of brother and bullying through voluntary art work, regressed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faced the pain of loss, and lived a time of mourning again. Art psychotherapy visualized lost objects and experiences, made her recognize and accept herself. And She adapted to reality by discovering a new self toward separation and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client's depression decreased, a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s a single case and has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loss trauma.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rt work, depression, and mourning process, art psychotherapy accepts loss, experiences pain, and repair damaged relationships while expressing sadness to form a healthy identity.

      • KCI등재

        시설거주 시각장애 노인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길은영(Gil, Eun Young),장인희(Jang, In hee),염성희(Yeom, Sung Hee),이지연(Lee, Ji Y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설거주 시각장애 노인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그들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 변화를 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50∼70대 시각장애 노인 남‧여 9명에게 집단미술치료를 15회 실시하여 그 변화를 차이 검증하고 개인별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설거주 시각장애 노인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기표현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시설거주 시각장애 노인은 자유롭게 예술 매체를 탐구하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 욕구를 표현하는 시간을 가졌고 시각을 대신하는 치료사의 언어적 반영과 돌봄으로 안정감과 자신감을 얻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게 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방법론과 선행연구와의 비교,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elderly’s self-expressions and communications by performing group art therapy for visual impairment at the care facility. Method: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5 times for nine elderly men and women in their 50s and 70s to verify differences and analyze their individual changes qualitatively. Results: The elderly visual impairment at the care facility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self-expression through group art therapy and positive changes in communication. The elderly visual impairment at the care facility freely explored art media, and had time to express their thoughts, feelings and desires, and gained a sense of stability and confidence through the verbal reflection and care of the therapist who replaced their vision, which led to positive inter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methodology for the blind and comparison with prior study, the limitations of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 부모 사별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애도과정에 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중심으로 -

        임선희 ( Lim Sun-hee ),길은영 ( Gil Eun-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4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부모와 사별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애도과정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알아보고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으로 00기관에서 부모와 사별로 인한 상실로 의뢰되어 12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축어록, 내담자의 작품, 일지, 연구자의 반응작업, 기관담당자의 보고와 애도이론과 관련 문헌을 활용하였다. 미술치료과정에서 발현된 내담자의 작품과 이야기를 질적 분석한 결과, 첫째, 멍한 상태와 감정표현이 억제된 내담자에게 고인의 기억과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고 사별로 인한 상실을 다루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내담자는 상실, 이별, 그리움, 이중성, 자신감, 받아들임, 예술의 의미를 발견하게 하였다. 셋째, 내담자의 애도과정에서 미술치료사는 반응작업을 통해 전이 과정을 다루면서 민감한 돌봄을 위해 상실의 감정을 견디고 담아내는 능력을 시각화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헤쳐 나가도록 도울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술치료는 사별로 인한 상실을 겪은 청소년에게 정서적 재인식과 현실을 수용하게 하였고, 힘든 과정을 함께 하는 치료사에게 미술작업은 애도 상담에서 치료적 관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rt therapy proceeds in the mourning proces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with their parents, and to examine the response work of art therapists. The client is a second-year high school male student attending a high school in Seoul and was referred to 00 institutions for loss due to consecutive bereavement of parents, and 12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performed. The research data used the oral record, the client’s work, the journal, the researcher’s response work, the report of the institution manager, the mourning theory and 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first, it provided time to safely express the memory and emotions of the deceased and deal with the loss caused by bereavement to the client who was in a state of blank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Second, through art therapy work, the client discovered the meaning of “Loss”, “Separation”, “Longing”, “Ambivalence”, “Confidence”, “Acceptance” and “Art”. Third, during the client's mourning process, the art therapist was able to help the client navigate his life by visualizing the ability to endure and capture the feelings of loss for sensitive care while dealing with the transfer process through reaction wor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rt therapy allowed adolescents who suffered loss due to bereavement to re-recognize and accept reality emotionally, and that art work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in mourning counseling for therapists who shared a difficul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