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무보의 내구성 증대를 위한 방탄/방검 고무시트 개발

        김필식 ( Philshik Kim ),이재혁 ( Jaehyouk Lee ),최범준 ( Bumjun Choi ),박현준 ( Hyunjun Park ),권형중 ( Hyungjoong Kw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A lot of small dams installed in stream are generally used to control water level and to manage water resources. The type of these dams is mostly fixed dam which has caused a gradual decline in the water quality and river environment, because the fixed dam would lead to sedimentation and flow retention. For this reason, demand for the movable dams which can regulate the stream flow continues to expand and many related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to reduce stream pollution and sedimentation. The rubber dam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movable dam is very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However, if the rubber sheet, which has long-term durability (over 30 years) without artificial detriments and natural disasters, would be damaged by any reason, it could cause the water pollution in all directions and also it should be too hard to fix the rubber sheet with high expense as well. In order to secure water resources and conserve river environment, an adequate provision against these damages will be necessary to protect the rubber sheet. In this study, we have fully comprehended the causes of maintenance based on a case study. An abrasion indicator layer was developed and folded between the rubber sheets for early warning signs of abrasion. A bullet- and sword- proof rubber sheet was developed to protect the rubber dam from artificial detriments and natural disasters. We have achieved an economic analysis of these developed techniques.

      • 안전한 하천관리를 위한 가동보 방류제어 및 경보시스템 개발

        김필식 ( Philshik Kim ),권형중 ( Hyungjoong Kwon ),이재혁 ( Jaehyouk Lee ),최범준 ( Bumju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들어 수자원 부족에 대한 심각한 인식과 함께 수자원 확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국가 물 부족 위기를 기술개발로 극복하기 위해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사업’이 다양하게 추진 중에 있다. 기존 하천에서는 이수와 치수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인 고정보가 설치되었으나 최근에는 토사퇴적 최소화 및 하천 통수단면적 확보를 위해 기립과 도복이 가능한 가동보가 주로 설치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동복댐 여수로를 시작으로 가동보를 설치하고 있으며 고무보, 유압식 전도게이트 및 수문 등이 그 대표적인 형식이다. 가동보는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같은 하천관련 사업에서 단순한 이·치수 목적 뿐만 아니라 소수력 발전, 친수공간 조성 등의 다목적 활용을 위해 설치사업이 다수 수행되었으며 현재 국내 하천에 약 1,200여개의 가동보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활용이 위하여 가동보의 수요가 급증하는 반면에, 설치 현장 상황에 적합한 가동보 운영지침이나 비상경보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하여 가동보 방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2012년 가동보 임시방류로 인해 유치원생들이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2008년에는 가동보 센서 오작동으로 약 6천여만원의 재산피해 및 주민들의 긴급 대피 상황이 발생 하였다. 호주에서는 2008년 경고 방송 없이 가동보를 도복하여 4살 여아가 급류에 사망하는 사고 등 국내·외 적으로 다수의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동보 방류에 의한 하류측 범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동보 도복속도를 제어하는 방류량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가동보 방류에 의한 비상경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방류량 제어시스템 적용 결과 기존기술대비 약 5분 이상 도복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하류측 범람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으며, 경보시스템 구축으로 비상시 15초 이내로 관리기관에게 통보 및 인근지역 경보발령으로 신속한 대처 및 인명 피해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기술을 기 설치된 가동보에 적용시 가동보 방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인명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으로 설치될 가동보에 적용한다면 가동보 운영 지침 및 비상경보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재이용이 가능한 저수지 증고 및 하천용 가물막이 개발

        김필식 ( Philshik Kim ),권형중 ( Hyungjoong Kwon ),이재혁 ( Jaehyouk Lee ),최범준 ( Bumjun Choi ),박현준 ( Hyunju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 연평균 수자원 총량은 1,297억톤이고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은 58%(753억톤)이며, 이 중 바다로 유실되는 32%(420톤)를 제외하고 연간 26%(333억톤)을 이용하고 있다. 용도별로 보면 생활용수 75억톤, 공업용수 21억톤, 농업용수 159억톤 및 유지용수 78억톤 등으로 사용되며 농업용수가 약 48%로 가장 많은 양이 차지하고 있다. 농업용수는 국내 수자원 소비량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기적인 가뭄에 따른 용수 부족이 매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저수지 준설, 둑 높이기, 다단계 양수장 건설 등을 통한 저수량 확보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준설 및 둑 높이기시 막대한 사업비와 양수장 조성 공간 부족 등으로 농업용수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자원 개발 및 친수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매년 1,000여건의 하천공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하천공사로 인해 가물막이의 설치 및 해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천공사시 가물막이 설치를 위해 중장비의 출입 반드시 필요하나 중장비 출입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공사기간 지연 및 경제성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차수막의 구조개선을 통해 ① 저수지 증고 및 하천 가물막이에 적합한 설계 및 설치 방법을 개발하고, ② 수압 및 부유물질에 안전하도록 강도를 개선하였으며, ③ 내구성, 경제성, 유지관리성이 개선된 재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차수막을 개발하였다. 휴대용 차수막 개발로 인해 저수지 증고 및 하천 가물막이 뿐만 아니라 방재 및 레크레이션 용도 등 다목적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자원 분야에 다수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침수피해 방지를 위한 이동식 다목적 차수막 (Pocket Dam) 개발

        김필식 ( Philshik Kim ),박현준 ( Hyunjun Park ),권형중 ( Hyungjoong Kwon ),이재혁 ( Jaehyouk Lee ),최범준 ( Bumju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홍수와 가뭄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모든 시대에 걸쳐 끊임없이 발생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발생하는 홍수 및 가뭄의 재해 규모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형화되고 홍수발생빈도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하림 등, 2013). 소방방재청에 의하면 시간당 30㎜이상의 폭우발생빈도가 최근 30년 평균 3.8회, 5년 평균 5.2회로 나타났으며, 일 80㎜이상의 집중호우 일수는 1.5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우리나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6-7년 주기로 가뭄 강도가 점차 증가하고 하천수 과잉 취수 등으로 하천 건천화가 발생하고 있다(맹승진 등, 2013).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에서는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 계획,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등을 수립하고 하천정비사업 시행과 다목적 댐을 세우는 등 치수방재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급변하는 기상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홍수 및 가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비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나 집중 호우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고 가뭄시 하천이나 용ㆍ배수로를 임시로 막아 농업용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다방면에 적용성이 뛰어난 이동식 다목적 차수막을 개발 하였다. 이동식 다목적 차수막 개발을 위해 ⅰ) 이동성이 용이한 초경량 소재를 선정 하고, ⅱ) 구조해석 프로그램(MIDAS)을 적용한 최적 규격 선정, ⅲ) 현장 적용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 하였다. 제품의 경량화뿐만 아니라 차수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수압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되고 불규칙한 바닥면에 우수한 접지력을 지니고 있는 Sol Tarpaulin(PVC 코팅 폴리에스테르)소재를 선정하였다. 또한, 3차원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를 이용하여 수압에 의한 차수막의 파손 및 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개발된 차수막을 서울시 관악구 내 도림천과 서울시 광진구 내 지하주차장에 적용한 결과, 수압에 의한 파손 및 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았고 지속적인 기립형상을 유지하며 차수되어 구조 및 소재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다목적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홍수 및 가뭄 대비를 위한 시설물들은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취약하고 가뭄에 대한 대책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동식 다목적 차수막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이ㆍ치수 및 방재 설비 등으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가동보와 소수력발전 연계시스템의 규모 결정을 위한 최적화 모형 연구

        이재혁 ( Jaehyouk Lee ),김선주 ( Sunjoo Kim ),김필식 ( Philshik Kim ),권형중 ( Hyungjoong Kwon ),최범준 ( Bumju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에서 가동보를 이용한 저낙차 소수력 발전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하천 폭이 크고 수량이 확보된 경우 소수력 발전에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에 비해 소수력 발전 이용률이 현저하게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가동보와 소수력발전 연계시스템의 규모 결정을 위한 최적화 모형(Weir-HydroGEN System)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며, 개발된 모형을 국내 대상 지구에 적용함으로서 모형을 검증하고, 검증된 모형을 국내외에 10개 지역에 적용하여 가동보와 소수력발전 연계시스템 구축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고무보를 이용하여 소수력 발전을 운영하고 있는 은동보(대전), 서리보(강원도), 원통보(강원도)에 지구에 적용하였다. 가동보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은 발전사용수량 인자에 의해 그 규모가 결정되고 총 투자비용의 회수기간이 달라지므로 발전사용수량의 산정을 세 가지 시나리오 즉, 평수량 (S1), 갈수량의 3배 (S2), 유황곡선의 26% (S3)로 산정하여 모형을 적용하였다.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모형을 적용한 결과, 은동보는 35년 동안의 모의 운영에도 불구하고 발생 이윤이 총 투자비용을 초과하지 못하여 경제적인 타당성을 확인하지 못하였고, 원통보의 경우 S3 시나리오에서 B/C 지표가 1을 상위하고, 서리보의 경우 S1 시나리오 및 S3 시나리오에서 B/C 지표가 양호하게 산정되었다. 검증된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ㆍ외 10개 지구 (국내 5개 지구 : 선교보, 무태보, 하양보, 영천제1가동보, 안림천보, 국외 5개 지구 : West Buxton, East Toba, Stave River, Bear Creek, Kapuskasing)에 적용하여 발전시설의 규모 결정 및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형의 국내 적용 결과, 무태보를 제외한 모든 보에서 B/C의 값이 1이하로 나타나 소수력발전의 입지조건에 적합하지 않으며, 무태보에서 B/C값이 1.06, 투자비 회수기간은 24년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소수력 발전 설비의 입지 가능성은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형의 국외 적용 결과, West Buxton보와 Bear Creek보는 각각 B/C값이 1.96, 1.74, 투자비 회수기간은 6년, 7년으로 분석되었고, Stave River보와 East Toba보는 각각 B/C값이 3.25, 3.14, 투자비 회수기간은 3년, 4년으로 매우 높은 경제성을 확보하였고, Kapuskasing보는 B/C값이 1을 넘지 못하여 충분한 경제성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적용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국내 하천은 최근 시기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에너지 부족 현상을 대처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 부존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경제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외의 경우에도 가동보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 활용성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하천수량이 풍부하고 전력 단가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동남아시아와 같은 개도국에 적용할 경우 그 효과가 제고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