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geoData 획득시스템 개발

        권찬오(Kwon Chan O),김정태(Kim Jeong Tae),이영진(Lee Young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u-국토 및 u-City 등에서 도시시설물의 관리를 위하여 CCTV나 웹카메라 등을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 및 모니터링 기술이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이다. 민간분야와 더불어 공공분야에서도 행정업무의 효율성 증대 및 효과적인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으로 수정갱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으로 이동체 기반의 공간정보 구축을 통하여 도시 시설물 모니터링을 위한 geoData 획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권찬오(Kwon, Chan-O),송준호(Song, Jun-Ho),조현구(Cho, Hyeon-Koo),이영진(Lee, Young-Jin) 한국지적학회 2008 한국지적학회지 Vol.24 No.2

        국가기준점의 역할은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다양성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으며, 과학기술 및 측량 분야에서는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의 실시간 제공뿐만 아니라 시각에 따라 변하는 다양한 정보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재 국가기준점 관리체계로서는 앞으로 도래하는 유비쿼터스 사회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국가기준점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을 검토하고 외국의 차세대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을 분석하여 새로운 국가기준점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아키텍처와 표준업무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The roles of the national control points are now changed to satisfy the various and diverse request of the information era. Many scientific and engineering fields need mor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in near real time, but the national control network in Korea cannot satisfies the needs. Therefore it should be upgraded that the control networks meets the request of ubiquitous society. In this research, existing national management systems in Korea are reviewed and new foreign systems are analyzed. And architectures and work process for establishment of newl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are proposed.

      • 재난피해지역 관리를 위한 드론관제시스템 운영방안 연구

        권찬오(Kwon Chan Oh),이준혁(Jun Hyuk Lee),김진우(Jin Woo Kim)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전 지구적 이상기후와 각종 사회문제로 인하여 자연⋅사회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의 재산 및 인명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급증하고 있는 재난현장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제 상황을 파악하고 전달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응 체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재난지역의 효과적인 관리와 복구를 위해 신속하고 정확한 피해조사가 필요하며 또한, 재난지역의 실시간 상황 전달이 필요함에 따라 드론 기술의 도입 및 활용을 추진하여 왔으나 재난관리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드론관제시스템의 제도적⋅기술적 기반 등은 미흡한 수준으로 일부 재난현장 피해조사 실증 연구에서만 활용 중인 실정이다. 재난관리 분야의 효율적인 피해조사를 위한 드론 활용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드론관제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며, 드론관제시스템의 시범 도입을 통해 재난지역 피해조사에 드론기술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재난피해지역에 대한 드론관제시스템의 운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드론관제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산사태 피해지역에서 공동연구진이 제작하여 시범 운영 중인 행안부 드론관제시스템과 DJI Matrice 300 RTK 기체를 활용하여 실시간 영상 연결상태, 영상 지연, 드론 센서별 영상전송 상태 등 드론관제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사항을 검토하였으며, 수해 피해지역 4곳을 지정하여 DJI Matrice 300 RTK, Mavic 시리즈 등 다양한 종류의 드론을 활용하여 동시 관제를 통해 실제 관제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검토하였다. 드론관제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하여 드론관제시스템에 접속하는 드론의 비행 로그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드론관제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데이터 음영지역(산림지역, 도심지 외각지역 등)에 대해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한 이동형 데이터 센터 운영이나 드론에 LTE 통신을 할 수 있는 등의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드론영상데이터 뿐만 아니라 드론라이다, 열화상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의 데이터를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 분석에 관한 연구

        권찬오(Kwon Chan-O),송준호(Song Jun-Ho),조현구(Cho Hyeon-Koo),이영진(Lee Young-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0

        국가기준점은 국가의 주요 인프라시설로서 시설 및 데이터를 일관된 체계를 갖고 유지, 관리되어야 하며 각종 표석기준점 데이터 및 GPS상시관측망 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연계, 통합하고 유지ㆍ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시관리 서비스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가기준점 관리 시스템을 분석하고 새로운 국가기준점 관리시스템 구축의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 관리를 위한 OSID 구조 및 시스템 체계 연구

        조준래,신상철,권찬오,진희채,Jo, Jun-Rae,Shin, Sang-Cheol,Kwon, Chan-O,Jin, Heui-Cha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3

        수치지도의 관리 및 운영에 필요한 유일식별자에 대한 연구는 기존의 국토지리정보원을 통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그 내용과 과정이 복잡하여 현실적으로 잘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고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의 원활한 관리를 위하여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 유일 식별자인 OSID의 도입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 관리체계에 OSID를 적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객체기반연속수치지도에 적용할 OSID의 기본구조를 기초로 하여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 관리 OSID 시스템 체계를 설계하고, 수치지도의 관리 및 운영상 필요한 유일식별자를 부여하는 방법을 객체기반 연속수치지도에 적용하고자 한다. A study about UFID for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digital map has achieved much progress through the Kore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But it is ture that the content and process is too complicated to be applied. For overcoming this and to make harmonious management of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we need to develop the method which has the unique feature identifier on the digital map fo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So, we introduce OSID(Object-based Seamless digital map IDentifier) on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and apply OSID in the system to manage the digital map. This study is based on the OSID basic structure which is applied in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and design the structure of OSID system to maintain and manage each feature of the object based seamless digital map.

      • LiDAR 반사강도와 DSM을 이용한 지상기준점 활용방안

        임새봄,김종문,신상철,권찬오,Lim, Sae-Bom,Kim, Jong-Mun,Shin, Sang-Cheol,Kwon, Chan-O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5

        항공삼각측량(AT: Aerial Triangulation)은 정사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현장측량을 통해 얻어진 지상기준점 성과와 GPS/INS를 통해 얻어진 외부표정요소를 기준좌표로 이용하여 사진상의 모든 좌표를 지상좌표화 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요구되는 지상기준점은 GPS 및 토탈스테이션 등을 이용한 직접측량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간접측량 등의 방법으로 좌표를 취득한다. GPS 및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직접측량은 현장에서 소요되는 인원, 시간, 비용 등의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소비되므로 효과적이지 않은 반면, 수치지형도로부터 지상기준점을 추출하는 경우는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직접 선점해야하는 수동적인 작업방식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되며, 정확도 확보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항공삼각측량을 위해 LiDAR의 반사강도와 LiDAR DSM을 활용하여 식별이 가능한 도로경계선, 방지턱, 건물 등으로 지상기준점을 선점 후, 직접 측량을 통해 얻어진 지상기준점과 비교 분석하고, 수치지형도의 허용오차를 기준으로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서 얻어진 지상기준점을 이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실시하고 오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AT(Aerial Triangulation) is the essential procedure for creating orthophoto and transforming coordinates on the photographs into the real world coordinates utilizing GCPs (Ground Control Point) which is obtained by field survey and the external orientation factors from GPS/INS as a reference coordinates. In this procedure, all of the GCPs can be collected from field survey using GPS and Total Station, or obtained from digital maps. Collecting GCPs by field survey is accurate than GCPs from digital maps; however, lots of manpower should be put into the collecting procedure, and time and cost as well.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btaining GCPs from digital maps,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the required accuracy because almost things at each stage in the collecting procedure should rely on the subjective judgement of the performer.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three methods have been compared for the accuracy assessment in order to know if the results of each case is within the allowance error: for the perceivable objects such as road boarder, speed bumps, constructions etc., 1) GCPs selection utilizing the unique LiDAR intensity value reflected from such objects, 2) using LiDAR DSM and 3) GCPs from field survey. And also, AT and error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w ith GCPs obtained by each case.

      • 분산 국토정보 통합 및 변환 기술에 관한 연구

        조현구(Cho Hyun-Goo),권찬오(Kwon Chan-O),전성구(Jeon Sung-Goo),김경옥(Kim Kyung-Ok)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국토정보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차세대 웹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국토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기관 및 시스템별로 구축, 관리되고 있는 국토정보를 사용자 요구에 맞추어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국토정보 서비스를 위해 현재 각 기관별, 단위 시스템별로 구축, 관리 되고 있는 다양한 국토정보를 분산 환경하에서 연계 통합하고, 이를 표준 모델에 의거 변환하여 사용자 요구에 맞는 맞춤형 국토정보 서비스를 위한 국토 정보 제공 기술의 연구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공간정보기반 재난 모니터링을 위한 공공데이터 개선방안 연구

        원상연(Won, Sang Yeon),권찬오(Kwon, Chan Oh),정현우(Jeong, Hyun Woo),최진무(Choi, Jin Mu) 한국지적학회 2021 한국지적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재난 정보의 단순 수집자료 활용에서 벗어나 국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적의 재난 모니터링 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수행내용으로 국가에서 제공하는 기본공간정보 중 재난 관련 64종의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고,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재난 관련 64종의 데이터 중 국가에서 제공하는 ‘국가공간정보포털’과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 활용 방법론을 수립한 후 데이터 활용 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재난 관련 64종 데이터 중 38종 데이터 활용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국가에서 제공하는 재난 데이터 유형과 공간정보 활용이 가능한 필수 제공 항목에 대한 방안 수립을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researched a process that can generate basic disaster monitoring data provided by the state, moving away from using simple collection data of disaster information. The 66 types of disaster-related data among national spatial framework was checked,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was reviewed.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 Open Government Data Portal and disaster monitoring dat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ata utilization methodology. As a result, possible to establish 38 types of data out of 66 types of disaster-related data.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plans for the types of disaster data and essential construction items that can utilize spatial information in the future.

      • 시각동기화를 위한 GPS 데이터 보정기법에 관한 연구

        전성구(Jeon Sung Gu),권찬오(Kwon Chan O),정래정(Jung Rea Jung),이영진(Lee Young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최근 위치정보기술이 활성화됨에 따라 최신 지리정보에 대한 국민적 요구 및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로중심의 지리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이동체기반의 공간정보 획득기술의 발달로 영상과 공간정보가 결합된 웹 서비스를 쉽게 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체기반의 공간정보 획득시스템으로 획득된 영상정보에 정확한 위치정보를 시각동기화하여 매핑하기 위해 획득된 프레임별로 위치데이터를 선형보간법을 이용하여 보간함으로써, 획득된 영상에 대한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