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에코소피와 생태문화 -가타리의 생태사회론에 대한 비판과 변형-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4

        이 글에서는 『세 가지 생태학』과 『카오스모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가타리의 생태사회론을 비판적으로 연구하여, 생태문화 창출을 위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그의 미학적 패러다임의 한계가 극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극복을 위해 프리고진, 특히 맑스가 시사하는 생성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과학적 패러다임에 의해 미학적 패러다임이 보완되어야 함을 보인다. In diesem Artikel geht es um die Erschaffung einer neuen Perspektive fur okologische Kultur, auf der Grundlage der kritischen Auseinandersetzung mit der okologischen Vergesellschaftungstheorie von Guattari und der Transformation dieser Theorie. Um die Grenze seiner Theorie zu uberwinden, hebt dieser Artikel hervor, dass sein asthetische Paradigma durchs wissenschaftliche Paradigma furs Denken uber Werden, wie z. B. von Marx, erganzt werden muss.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양상

        권정아(Kwon, Jeong-a),박재정(Park, Jae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교과서에 나타난 미디어 기반 학습활동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으로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필요한 8개의 하위 내용 요소인 비판적 분석과 평가, 의미이해와 의사소통, 사회문화적 이해, 책임 있는 미디어 이용, 창작과 제작, 전달과 공유, 정보검색과 선택, 감상과 향유를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디어 기반 학습활동은 전반 적으로 시대와 발달에 맞는 수준으로 소통을 강조하는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미디어 기반 학습활동 수가 늘었고, 고차적이면서 다원적인 사고와 기술을 요구하는 활동이 양적, 질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미디어 기반 학습활동은 하위 내용 요소와 출판사에 따라 영역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학생들의 디지털 격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커서 대책 마련이 필요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p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contents for media-based learning activities show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eight sub-content elements necessary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are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meaning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socio-cultural understanding, responsible media use, creation and production, transmission and sharing, information search and selection, appreciation and enjoyment. Analysis was made as a refer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dia-based learning activities were composed of content that emphasized communication at a level appropriate to the times and developments. As the grade went up, media-based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There was an increase in quality. In addition, media-based learning activities differed in each area depending on the sub-content elements and publishers, which could lead to digital gaps among students, so measures were needed.

      • KCI등재

        논문 : 공유사회와 기본소득 - 미드의 아가토토피아 기획에 대한 비판과 변형 -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2

        이 글에서는 기본소득제와 통합된 미드(J. E. Meade)의 ‘살기 좋은곳’, 곧 아가토토피아 기획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진행된다. 이를 통해 한편에서는 그의 아가토토피아 기획이 자유롭고, 평등하고, 효율적이며 또한 생태친화적인 사회에 대한 기획임을 보인다. 다른 한편 그가 제시하는 사회적 부의 새로운 형태를 모두가 1/n의 향유권과 처분권을 갖는 공유부로 재구성함과 아울러 생태적 재생산에 대한 불충분한 고려 등을 비롯한 그의 기획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그의 아가토토피아 기획을 공유부 및 이에 기초하는 기본소득제를 매개로 개인적 부와 사회성원전체의 부가 선순환하며, 이와 함께 개인적 좋음과 공동선이 선순환하는 공유사회에 대한 기획으로 재구성한다. In this paper, I study critically on the project for Agathotopia of J. E. Meade that is integrated with the institution of Basic Income. Through this, I will show that his project aims at the building of ‘a good place’ that is free, equal, efficient and ecological. Particularly, I accentuate the new form of the social wealth in Agathotopia that implies a clue to sharing wealth, i.e., the wealth on that all individuals have equal right for pleasure and for disposition. On the basis of this new form of wealth, I reconstitute his project as a project for a sharing society in that there is a virtuous circu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ealth of an individual and the wealth for all members of the society on the basis of the institution of Basic Income and the sharing wealth. By the way, this model of sharing society has a few defects that come from the original project of Meade. Therefore, my critical reconstitution of Agathotopia accompany the overcoming of those defects.

      • KCI등재

        헤겔 사유를 기초로 한 문화적 통일의 방향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7 No.-

        본 연구는 통일과 교육에 관한 헤겔의 사유에서 논의의 실마리를 찾아 남북한 통일의 실현과 연관하여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며, 앞으로 해나가야 할 바가 무엇인지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헤겔이 베른 시기(1793-96)과 프랑크푸르트 시기(1797-1800)에 철학과 종교의 실정성을 비판하며 삶의 영역에서 이분되고 대립된 상태들을 통합하고 통일하는 원리로 논한 미와 사랑 개념을 통해 ‘통일’에 관한 헤겔의 사유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예나 『정신현상학』(1806)에서 발전시킨 ‘상호인정’의 의미를 파악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할 남북 ‘통일’의 의미와 필요성을 성찰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틀로서 헤겔이 규정한 ‘이론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문화적 통일’의 의미와 방향을 살펴본다. 헤겔이 의미하는 ‘이론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은 ‘보편적 관점(allgemeiner Standpunkt)’에서 사태를 보게 하여 자신의 한정된 인식의 지평을 넓히게 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이 추구하는 ‘형식적 보편성’은 내용을 규정하는 범주가 아니라 ‘사유의 형식’, ‘관점의 보편성’을 말한다. 이러한 “보편적인 것의 형식”을 헤겔은 주체이면서도 특수자인 개별자에게 보유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특수자가 보편자로 고양 혹은 발전하는 가능성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형식적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은 근대 필수적인 ‘형식적 교육’이 추구하는 바로서, 한정적 개인이 가지는 편협한 의식과 사고방식을 확장하고 하나의 공동체 속에서 타자와 함께 삶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 된다. 형식적 교육의 내용은 인간의 삶과 정신적 활동의 산물들로서의 문화 일반이며, 예술, 종교, 철학 모두가 형식적 교육의 계기가 된다. 특정한 내용을 유일한 진리나 유일한 가치로 제공하기보다는 다양한 가능성들을 제시하며 비판적 사유와 성찰을 통해 보편적 관점을 획득하게 하는 이론적 및 형식적 교육은 통합 속에서도 독립성을 유지하는 ‘상호인정’을 바탕으로 한 남북의 참다운 통일을 실현하는 데 있어 선행적 과정으로의 문화적 통일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적 통일이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미래적이며 열린 민족공동체 형성을 상정하고, 최근 연구들에서 제안되고 있는 ‘상호문화주의’에 기초한 통합적 공동체에서 그 모델을 찾는다. 상호문화주의적 통합공동체는 이질적 문화의 다양성 혹은 복합성만을 주장하는 다원주의나 복합문화주의와 달리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공통성과 통합성을 추구해나가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성격의 통합공동체가 헤겔이 미와 사랑, 상호인정에서 논한 참된 합일의 성격에 부합하다고 보며, 무엇보다 타자적인 것에 대한 개방성과 상호작용의 과정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상호문화주의적 통합공통체 형식을 문화적 통일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고찰한다.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ie notige Einstellung und die weitere Aufgabe fur die Verwirklichung der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untersucht. Der Ansatzpunkt der Uberlegung wird aus Hegels Gedanken uber die Vereinigung und Bildung entnommen. Dabei werden zunachst Hegels fruhe Gedanken uber die Schonheit und die Liebe als das Prinzip der Vereinigung der Entgegengesetzten im Leben betrachtet. Anschliessend daran wird die Bedeutung der gegenseitigen Anerkennung in der Phanomenologie des Geistes aufgefasst. Durch diese Begriffe werden der Sinn und die Notwendigkeit der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reflektiert. Danach werden als die Grundlage der Verwirklichung dieser Vereinigung die Zuge der theoretischen und der formellen Bildung analysiert, die auf die Bedeutung sowie die Richtung der kulurellen Vereiningung hinweisen. In Hegels theoretischer und formeller Bildung geht es darum, den allgemeinen Standpunkt zu erreichen und die beschramkte Erkenntnis zu erweiteren. So ist die formelle Bildung eine Bildung zur ‘Allgemeinheit’, die aber nur formell und ‘dle Form des Denkens’ ist. Da die formelle Bildung in der Moderne statt der absoluten Wahrheit die verschiedenen moglichen Formen des Lebens bzw. Kulturen vorschlagt und durch das kritische Denken und die Reflexion auf der Basis des allgemeinen Standpunkts die einer vereinigten Gemeinde notige gegenseitige Anerkennung ermoglicht, gilt sie als die Grundlage der kulturellen Vereinigung, die der politischen Vereinigung vorausgehen sollte. In der vorliegenden Studie wird als eine vereinigte Gemeinde, die durch die formelle kulturelle Bildung zu verwirklichen ist, die zukunftige offene Volksgemeinde vorgeschlagen. Das Vorbild dafur findet sich in der Form einer ‘interkulturalistischen Vereinigungsgemeinde’. Diese Gemeinde sucht nach der Gemeinsamkeit und Vereinigung mit dem Anderen, indem sie die Differenzen und Eigenheiten der anderen Kulturen anerkennt. Sie unterscheidet sich durch diesen Charakter von dem Pluralismus sowie Multikulturalismus, die nur die Mannigfaligkeit und das Zusammensein fur wichtig halten.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aher behauptet, dass die Form der interkulturalistischen Vereinigungsgemeinde der Hegelschen Konzeption der wahren Vereinigung, der die gegenseitige Anerkennung zugrunde liegt, nahe steht, und dass sie im Blick auf ihre Offenheit fur das Andere und auf ihre Betonung des Prozesses der Interaktion zwischen den verschiedenen Kulturen als die Richtung fur unsere kulturelle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geltend ist.

      • KCI등재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주석 (1) -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2 No.-

        헤겔 철학은 ‘이성 중심적’ 혹은 ‘총체성’의 철학이라는 이유로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된 비판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미학 역시 고전적 조화미를 위주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면서 ‘예술의 종말’ 논제와 더불어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헤겔 철학 및 미학의 수용상황에서 폴 드 만은 드물게도 헤겔 미학의 현대적 의미와 활성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는 탈구성적 언어비평의 관점에서 헤겔 미학 내의 ‘상징’과 ‘숭고’ 개념을 독창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통해 헤겔의 예술론이 현대 예술의 기호론적 (알레고리적) 특성을 선취하며 이에 대한 담론의 길을 열어준 것으로 본다. 이러한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은 오늘날 헤겔 미학 연구와 수용에 있어 새로운 해석 관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헤겔 미학에 대한 드 만의 연구 성과를 검토해보고자 하는 첫 단계 연구로, 헤겔의 ‘상징’ 개념에 대한 드 만의 해석을 중심으로 그의 헤겔 미학 연구의 문제점과 의의를 살펴본다. 드 만은 헤겔 미학을 일차적으로 “상징적 형식에 관한 이론(Theorie der symbolischen Form)” 내지 “상징적 형식으로서의 예술에 관한 이론(Theorie der Kunst als symbolischer Form)”이라고 이해한다. 이러함에 있어서 그는 근본적으로 헤겔의 ‘상징’ 개념을 내용과 형식의 합치로 이해하며, 헤겔 미학은 그러한 상징으로서의 고전적 예술의 미를 보유하고자 하는 미학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렇게 볼 때 헤겔 미학에서 파생되는 문제는 오늘날 예술의 과거적 성격 때문에 헤겔이 추구하는 상징으로서의 고전적 미의 보유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드 만은 이 문제를 ‘미는 이념의 감각적 현현’이라는 진술과 ‘예술은 과거적인 것이다’는 헤겔의 두 가지 핵심적 진술에서 제시한다. 하지만 그는 이 진술들이 일반적으로 보면 전자는 ‘현현’하는 예술의 ‘현재성’을 뜻하는 것이며, 후자는 ‘과거적’ 임을 뜻하기 때문에 서로 모순되고 양립불가능하게 보이지만 그렇지 않음을 ‘상징’ 개념과 예술 개념의 해석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드 만은 헤겔의 『철학대계』(1830) 내의 기호에 관한 규정에서 기호가 상징으로 전환되어야만 하는 구조를 분석하며 ‘상징’의 기호론적 성격을 도출해내고, 이를 예술 일반의 성격으로 확장한다. 또한 그는 예술은 ‘구상력’이나 ‘회상’의 작용이 아니라 기호와 같이 ‘기억’에 의한 ‘쓰기’의 활동이며 따라서 ‘사유’의 일종이고, 감각적 내면화가 떨어져 나간 ‘물질적 각인’ 작용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드 만은 헤겔이 진술한 ‘이념의 감각적 현현’ 또한 일종의 ‘기억의 활동’에 의한 ‘쓰기’ 작용이며 ‘물질적 각인’이어서 과거적일 수밖에 없음으로 미 또는 예술은 ‘이념의 감각적 현현이다’는 진술과 ‘예술은 과거적이다’는 진술은 전혀 모순이 되지 않다는 논리를 전개한다. 헤겔의 ‘상징’ 개념에 대한 이와 같은 드 만의 재해석을 분석함에 있어서 본 연구의 초점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드 만이 궁극적으로는 상징의 기호론적 성격을 찾아 ‘상징’ 개념을 재해석하여 헤겔 미학 내의 모순되어 보이는 현상들이 모순이 아님을 규명하고자 하지만 애초에 헤겔에게 있어서의 ‘이념의 감각적 현현’으로서의 ‘미’와 ‘예술’, 그리고 이러한 미와 예술의 표현방식으로 ‘상징’ 개념을 내용과 형식의 동일성이라는 의미에서 이해하며 헤겔을 고전 예술 집착자로 보는 점이다. 둘째는 드 만이 기호론적으로 해석하는 ‘상징’의 개념은 유의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증은 미학 내에서의 상징 규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일면적이고 우회적이어서 부적절하다는 점이다. 셋째는 헤겔 미학에서 ‘이념의 감각적 현현’이라는 진술과 양립불가능한 것으로 보는 ‘예술은 과거적이다’는 진술의 의미를 드 만이 단지 ‘쓰기 활동’의 시간적 추이로만 해석하는 점이다. 넷째는 그가 상징의 기호론적 특성을 헤겔 미학에서 유독 ‘비유적 상징론’ 단원의 ‘알레고리’의 예를 통해 제시하면서도 ‘예술’ 일반을 ‘기호적 상징’으로, 그리고 헤겔 미학 전체를 기호론적 특성을 띤 ‘상징적 형식에 관한 이론’으로 일반화함에 있어 범하는 논증의 비약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의 타당성 여부와 의미를 검토해볼 때, 드 만은 헤겔 미학의 중요한 부분을 ‘통찰’했으나 이에 대한 해석의 논증에서는 ‘맹목’인 부분들이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러한 맹목들에도 불구하고 드 만이 헤겔의 상징 개념이 기호의 성격을 띠면서 내용과 형식의 결합이 자의적이라는 것을 파악하여 헤겔의 상징 개념을 보다 정교화하고 확장시킨 점과, 기호의 이러한 자의성 혹은 자율성이 담보하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생산 활동의 중요성의 강조와 더불어 ‘상징’을 통해 그러한 기호 작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헤겔 미학의 의미를 재조명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된다. Hegels Philosophie wird heutzutage als Philosophie der Vernunft bzw. der Totalitat verworfen, und Hegels Asthetik wird auch neben seiner These vom Ende der Kunst umstritten, indem sie als die auf die klassische Schonheit gerichtete Asthetik angenommen wird. In solchem Zustand ist sehr bemerkenswert, dass Paul de Man seltsamerweise eine Moglichkeit der gegenwartigen Bedeutung und Aktualisierung der Hegelschen Asthetik demonstriert. Er interpretiert im dekonstruktiven sprachkritischen Standpunkt vor allem den Begriff des ‘Symbols’ und der ‘Erheineheit’ in Hegels Asthetik auf eigenartige Weise und sieht, dass Hegels Theorie der Kunst die zeichnerischen(d.h. allegorischen) Zuge der gegenwartigen Kunst vorgenommen und den Weg zur heutigen Discussion daruber geoffnet hat. De Mans solcher Versuch musste sehr wichtig sein, indem er einen neuen Gesichtspunkt der Deutung von Hegels Asthetik aufzeigt. In der vorliegenden Arbeit als der ersten Stufe der Untersuchung zu De Mans Leistung werden die Probleme und Bedeutungen seiner Forschungen zu Hegels Asthetik zunachst in Hinsicht auf seine Interpretation von Hegels Symbolbegriff betrachtet. De Man zeigt Hegels Asthetik zunachst als “Theorie der symbolischen Form” bzw. “Theorie der Kunst als symbolischer Form”. Dabei versteht er im Grunde Hegels Symbolbegriff als Ubereinstimmung des Inhalts und der Form und halt Hegels Asthetik fur diejenige, die die Schonheit der klassischen Kunst als Symbol bewahren will. So gesehen, kommt davon nach de Man das Problem heraus, dass die Bewahrung der klassischen Schonheit als Symbols wegen des Vergangenheitscharakters der Kunst nicht im Stande ist. De Man prazisiert dies Problem durch Hegels zwei Aussagen, dass die Schonheit “sinnlicher Schein der Idee” ist und dass “die Kunst Vergangenes” ist. Diese Aussagen scheinen zwar widerspruchig zu sein, indem die erste ‘die Gegenwartigkeit’ der scheinenden Kunst, die letzte ‘die Vergangenheit’ der Kunst bedeutet. Aber er zeigt die Gleichsetzbarkeit beider Aussagen durch die Interpretation des Begriffs des Symbols und der Kunst bei Hegel. De Man analysiert dafur die Struktur der Wendung des Zeichens zum Symbol in der Enzyklopadie der philosophiesen Wissenschaft im Grundrisse(1830), und er zieht davon den zeichnerischen Charakter des Symbols heraus und erweitert ihn auf die Kunst im Allgemeien. Aussderdem behauptet er, dass die Kunst nicht die Tatigkeit der ‘Einbildungskraft’ oder ‘Erinnerung’, sondern die des Schreibens durch das Gedachtnis wie das Zeichen ist, und dass sie damit eine Art des Denkens und bloß die von der sinnlischen Verinnerung abgetrennte materiale Auspragung ist. Auf diesem Gesichtspunkt erlautert de Man, dass ‘sinnlicher Schein der Idee’ auch eine Tatigkeit des Schriebens durch das Gedachtnis ist und wegen der ‘materialen Auspragung’ vergangen ist. Dies fuhrt fur hin dazu, dass die oben ganannten zwei Aussagen Hegels nicht widerspruchig, sondern gleich sind. In der vorliegenden Arbeit gibt es vier Schwerpunkte der Analysierung der de Manschen Reinterpretation von Hegels Symbolbegriff. Erstens ist de Mans einseitige Auffassung des Hegelschen Symbolbegriffs als Identitat von Inhalt und Darstellung, zweitens ist Ungultigkeit seiner Begrundung des Zeichencharakters des Symbols durch die Analyse des Zeichens in der Enzyklopadie. Drittens ist seine unzulangliche Deutung des Vergangenheitscharakters der Kunst als ‘Schreiben’s, und zum letzten ist Verallgemeinerung aller Kunste von Hegels drei Kunstformen als zeichnerisches Symbol. Nach der Untersuchung zur Gultigkeit und Bedeutung der de Manschen Interpretation von Hegels Asthetik im Zentrum dieser vier Punkten laßt sich sagen, dass de Man zwar den Kernpunkt der Hegelschen Asthetik eingesehen hat, aber es im Beweis seiner Behauptung Blindnisse geben. Dennoch darf als de Mans erregender Verdient geschatzt werden, dass er Hegels Symbolbegriff durch Auffassung dessen Charakters des Zeichens und der Willkuhrlichkeit der Verbingung von Inhalt und Form prazisiert und erweitert, und dass er den Sinn der Hegelschen Asthetik als diejenige, die die durch den Willkuhr kritisch und schafferisch produzierende Funktion des Zeichens sowie des Symbols behandelt, ins neue Licht stellt.

      • KCI등재

        기획심포지엄 : 미학, 예술학의 안과 밖 ; 현대 예술의 문화교육적 기능: 헤겔 이론을 중심으로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3 No.-

        본 연구는 미학·예술학의 학문적 성격을 이 시대에서 점검해 보고 새로이 규정해 보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으로 문화와 교육의 영역에서의 미학의 의미와 역할을 살펴본다. 오늘날 미학은 여러 다른 의미와 역할들을 포함할 수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예술의 ``문화교육적`` 역할에 관한 논의의 틀로서 미학 내지 예술철학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하며, 이러한 측면에서의 예술의 규정과 의미의 단초를 무엇보다 헤겔의 예술규정에서 찾아보고 헤겔 예술철학의 현대적 의미를 밝혀본다. 헤겔 예술철학의 현대적 의미는 그의 예술 규정이 오늘날 예술에 관한 논의에서 유의미한가를 통해 고찰될 수 있을 것이다. 헤겔이 시사한 예술의 문화교육적 기능은 정신의 주관화에 따른 파편성의 증대와, 매체의 발달과 더불은 정보의 양적 팽배로 인해 여느 때보다 더욱 비판적 사고와 개별적 의식의 확장이 요구되는 현대에서 예술이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기능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예술의 문화교육적 기능에 관한 헤겔의 사유는 문화와 교육, 예술에 대한 그의 초기 사유에서 뿐 아니라 뉘른베르크 시대부터 지속적으로 거론된 ``이론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에 대한 구상에서 추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규명은 본 연구의 주된 논점이 되며, 이에 대한 전제적 서술로 헤겔 사유의 형성과 연관성이 있는 근대 사상가들의 예술의 문화교육적 의미에 관한 입장들 및 헤겔 사유와 이들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현대에서 예술의 문화교육적 필요성을 검토한다. 예술의 교육적 중요성에 관한 헤겔의 사유는 당대 후기 계몽주의적 논의들과도 맥락을 같이 하지만 당대의 ``교육``에 관한 논의가 계몽주의의 ``합리적 전인(全人)``을 실현하고자 하였거나 혹은 이러한 이념의 일면성을 비판하며 예술에 의한 감성적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에 머물었다면, 헤겔의 사유는 단순한 감성적 교육으로서의 예술의 규정을 넘어서 정신철학적 및 문화철학적인 관점에서 예술의 교육적 의미를 규명하고 있다는 데 그 고유한 특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특히 헤겔이 후기 베를린 시대에서 정신의 자기형성과 발전경로로서의 역사와 그 산물로서의 문화를 각 민족의 ``민족정신``과 ``시민사회``, ``국가``의 측면에서 고찰하면서 국가시민 개인의 파편적 특수성들을 포괄하는 틀로서의 보편적 사유의 관점을 의미하는 ``보편성으로의 교육``, 즉 ``형식적 교육(formelle Bildung)``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교육의 일환으로 시사한 예술의 문화교육적 기능은 ``예술의 과거성`` 이후 근대에서 가능한 예술의 규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현대에서의 예술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규정으로도 합당한 것으로 논증된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ie Bedeutung und Funktion der Kunst im Bereich der Kultur und Bildung betrachtet, um den Charakter der Asthetik sowie Kunstwissenschaft in der Gegenwart zu reflektieren und neu zu bestimmen. Unter allen anderen Moglichkeiten wird hierbei der Charakter der Asthetik bzw. Kunstphilosophie als der Rahmen der Diskussion um die kulturelle Bildungsfunktion der Kunst herausgearbeitet, und der Ansatzpunkt fur die Bestimmung und Bedeutung der Kunst in dieser Hinsicht wird besonders in Hegels Bestimmung der Kunst untersucht. Hegels Gedanken uber die Bedeutung der Kunst in bezug auf die Bildung finden sich seit seiner fruhen Philosophie konsequenterweise und bestehen im gleichen Kontext mit den nachaufklarerischen Diskussionen seiner Zeit. Aber im Unterschied zu den damaligen Diskussionen uber die Bildung, die entweder auf die Verwirklichung des ``rationalen ganzen Menschen`` abzielten, oder in Kritik dieser einseitigen Idee die Bedeutung der sinnlichen Bildung betonten, liegt die Eigentumlichkeit des Hegelschen Denkens darin, dass er uber die Bestimmung der Kunst als die blosse sinnliche Bildung hinaus die Bedeutung der Bildung durch Kunst im Standpunkt der Geistes- und Kulturphilosophie erhellt, in dem es um die Verwirklichung der Sittlichkeit geht. Besonders bezeichnet sich die Funktion der kulturellen Bildung, die Hegel in der Berliner Zeit eine Weise der formellen Bildung als der Bildung zur Allgemeinheit, d.h. zum Gesichtspunkt des alle Partikulationen umfassenden Denkens bestimmt, als die mogliche Funktion der Kunst nach dem Vergangenheitscharakter der Kunst in der Moderne, und es wird erwiesen, dass sie in den folgenden drei Aspekten zugleich als die Bestimmung der Bedeutung und Funktion der Kunst in der Gegenwart geltend ist. Erstens lAsst sich die Verwirklichung der Sittlichkeit, die Hegel als das Ziel der Bildung des Menschens konsequenterweise behauptet, als das endgultige Ziel der kulturellen Bildung durch Kunst in der Gegenwart auffassen, indem der Inhalt der Sittlichkeit stets neu bestimmt wird. Zweitens gilt die kulturelle Bildungsfunktion der Kunst, die der formellen Bildung als der Bildung zur Allgemeinheit gehort, fur Heute immer noch. Denn durch diese Bildung gehen wir unsere eigensuchtige Denkweise hinaus und erweitern unser partielles beschranktes Bewusstsein. Und zwar faßt diese Bildung die Forderung der postmodernischen Denker zur Mannigfaltigkeit der Werte der Kulturen und der Dingen um. Drittens fuhrt die kulturelle Bildungsfunktion der Kunst im Rahmen der formellen Bildung zur kritischen Betrachtung des herkommlichen Gehalts, indem sie verschiedene Lebensforme und Kulturen vermittelt. So kann man davon uberzeugt sein, dass diese Funktion der Kunst heutzutage mehr als je her notig ist, weil man dadurch die kulturkritische Fahigkeit in der durch den Pluralismus und die Entwicklung der Medien verbreiteten visuellen Kultur verstarkern kann.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판 빠레이스의 후기기본소득론과 생태적 지속가능성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시대와 철학 Vol.24 No.3

        이 글의 목적은 판 빠레이스의 후기기본소득론을, 기본소득제 및 이에함축된 이상사회, 곧 최적자본주의의 지속가능성, 특히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연구하여 그 의의와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판 빠레이스의 최적 자본주의가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가지는 최대의 난점은, 그가 자연자원고갈에 대한 약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 기초하여 성장주의적인 경향을 취하면서 전기의 올바른 문제의식, 곧 경제의 생태합리적인 ‘규모’에 대한 문제의식 자체를 폐기해 버린다는 점이다. 양적으로 무한한 자연자원은 없다. 따라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는 바로 생태합리적인 경제‘규모’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글에서는 데일리(Daly)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에 따라 데일리가 제안하는 ‘최적경제규모’를 동학화하면서, 판빠레이스가 제안하는 ‘최대의 기본소득’이 윤리적, 경제적으로만이 아니라 생태적으로도 지속가능하기 위한 조건을 모색한다. In diesem Artikel geht es um die kritische Forschung uber die Grundeinkommenstheorie und den optimalem Kapitalimus von Van Parijs, besonders aus dem Blickwinkel der okologischen Nachhatigkeit. Dadurch zeigt dieser Artikel, dass die grosste Schwachpunkt des Projekts von Van Parijs das Absehen vom okologisch rationalen Ausmass der okonomie ist. Durch die kritische Untersuchung uber Daly und die Dynamisierung seines Vorschlags erforscht dieser Artikel nicht nur die Bedingung der ethischen, okonomischen Bedingung vom ‘nachhaltigen hochsten Grundeinkommen’ sondern und vor allem die Bedingung der okologischen Bedingung davon.

      • KCI등재

        현대 숭고 개념의 헤겔적 기원 연구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오늘날 포스트모던 담론들은 J.-F. 리오타르(Lyotard)를 대표로 하여 사회, 문화, 예술의 본질을 ‘표현될 수 없는 것’의 표현 내지는 제시에서 찾으며, 이러한 사태의 성격을 ‘숭고’로 규정한다. 이러함에 있어 ‘숭고’는 칸트의 개념을 인용한 것으로, 칸트가 크기(‘수학적 숭고’) 혹은 양적 거대함(‘역학적 숭고’)으로 인해 일차적으로 우리의 인식능력인 구상력으로 ‘파악될 수 없는 대상’에서 숭고감이 유발된다고 서술한 바를 기초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이 규정에서 한편으로는 대상의 ‘파악(표현)할 수 없음’이라는 특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주체의 인식능력의 무기력함의 계기가 포스트모던의 숭고 담론에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그간 리오타르가 인용한 칸트 숭고 개념 및 이에 영향을 미친 버크의 숭고 개념의 해석과 수용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특히 칸트의 숭고 개념이 포스트모던의 숭고 담론의 주된 근간으로 이해되어왔다. 하지만 리오타르를 중심으로 한 포스트모던 담론에서 의미되는 ‘표현할수 없는 것의 표현(Darstellung des Undarstellbaren)’이나, 더욱 엄밀하게는‘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불가능함의 제시’라는 숭고 개념의 보다 적절한 근원은 G.W.F. 헤겔의 ‘숭고’ 규정에서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칸트의 숭고 개념의 주된 측면이 인식능력의 한계를 순간적으로 넘어서는 거대한 대상이 마침내 우리 내부의 이성이념을 환기시켜 유발하는 ‘감정’을 가리킨다면, 헤겔이 규정하는 숭고는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던 담론에서 강조되는 내용과 형식, 즉기의와 기표의 ‘불일치’와 이러한 불일치의 근거가 되는 대상의 ‘무규정성(Unbestimmtheit)’의 특성을 핵심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연구는 오늘날 리오타르를 중심으로 한 논의들에서 현대 문화와 예술의 주요미적 범주로 부각되고 있는 포스트모던 ‘숭고’ 개념의 ‘표현할 수 없는 것의 표현’ 내지 ‘표현될 수 없는 것의 표현불가능함의 제시’라는 규정의 의미론적 근원을 헤겔 미학에서 찾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헤겔의 베를린 미학강의 필기록들을 살펴보면, 그는 초기 사유와 달리상징을 더 이상 내용과 형식의 동일성이 아닌, 양자의 ‘불일치’로 규정하며, 이를 토대로 하는 상징적 예술형식의 특성을 ‘숭고’로 규정한다. 이러한 헤겔의 숭고 개념은 ‘상징적 예술형식’에 구성되어 있는 ‘의식적 상징론(bewußteSymbolik)’, 즉 알레고리, 은유 등의 언어적 수사법들을 대상으로 하는 ‘비유적 상징론(vergleichende Symbolik)’도 포괄한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는 헤겔의 숭고 규정이 고대 오리엔트 예술이나 유대교적 직관과 시문학에 한하지 않고 근현대 예술의 특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과, 헤겔의 숭고 개념이 현대 문화와 예술에 관한 기호론적 논의들을 포괄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듯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 숭고 개념의 근원을 헤겔의 숭고 개념에서 찾는 단순한 추적에 머물지 않고 이 개념과 연관되는 ‘상징’, ‘알레고리’ 개념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탐구하며, 이러한 개념들이 P. 드 만(deMan)과 S. 지젝(Zizek)의 헤겔 숭고 규정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들과 더불어 오늘날 문화와 예술에 관한 사유에 중요한 추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헤겔 미학의 현재적 의미를 재조명한다. In der heutigen Diskussion um die Politik, Kultur und Kunst geht es um den Begriff der ‘Erhabenheit’, die hautptsachlich J.-F. Lyptard auf der Basis des Kantischen Begriffs entwickelt hat. Demdach wurden inzwischen viele Forschungen zu Lyotards Interpretation und Rezeption von Kants und Burkes Begriff der Erhabenheit durchgefuhrt, insbesondere wurde Kants Begriff der Erhabenheit als der wesentliche Wurzel der postmodernen Diskussion um das Erhabene verstanden. Aber man kann in G.W.F.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den angemesseneren Ursprung vom Begriff des Erhabenen finden, der in der posmoderen Diskussion wie von Lyotard als ‘Darstellung des Undarstellebaren’, genauer ‘Anspielung auf Nicht-Darstellbarkeit des Undarstellbaren’ bestimmt wird. Denn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hat den Charakter der Unubereinstimmung von Form und Inhalt bzw. von Zeichendem und Gezeichnetem, und der darin grundliegenden Unbestimmtheit, die in Lyotards Bestimmung der Erhabenheit wesentlich ist. Daher wird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t, den sinngemassigen Ursprung der Bestimmung der ‘Darstellung des Undarstellbaren’ bzw. ‘Anspielung auf die Undarstallbarkeit des Undarstellbaren’, die in der postmoderen Diskussion wie von Lyotard als vorzugliche asthetische Kategorie auftritt, in Hegels Asthetik zu finden, und wird zugleich die Gultigkeit dafur bewiesen. Ausserdem wird man in der Betrachtung der ‘symbolischen Kunstform’ wissen, dass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der als der Charakter der symolischen Kunstform im allgemeinen bestimmt wird, ‘die bewusste Symbolik’, d.h. die die Sprachfigur wie Allegorie und Methapor enthaltende, ‘vergleichende Symbolik’ umfassen kann. Aufgrund dieser Tatsache wird in der vorliegneden Arbeit hervorgehoben, dass sich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nicht auf die judische Anschuung und Poesie beschrankt, sondern auf das Charakteristikum der modernen Kunst erweitert, und dass sie derjenige Begriff, der die zeichentheoretische Diskussion uber die gegenwartige Kultur und Kunst umfassend ist, sein konne. Mit diesem Versuch wird in der vorlienden Arbeit nicht bloss der Ursprung des Begriffs des postmodernen Erhabenen verfolgt, sondern damit wird auch die Moglichkeit der neuen Interpretation von Hegels Begriff der Erhabenheit sowie dem Begriff des Symbols und der Allegorie, die im Zusammenhang mit diesem Begriff stehen, untersucht. Und der Sinn der vorliegnen Arbeit lasst sich dann darin finden, die gegenwartige Bedeutung der Hegelschen Asthetik ins neue Licht zu bringen und zu aktivieren, indem sie zeigt, dass die Hegelschen Begriffe wie Erhabheit, Symbol und Allegorie besonders mit P. de Mans und S. Zizeks eigenartigen Interpretationen von Hegels Bestimmung der Erhabenheit ein wichtiger Triebfeder des Denkens von der heutigen Kultur und Kunst werden konn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