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웹기반 외국어 학습모델 -장로회 신학대학교의 독일어 수업모델을 중심으로-

        권영숙 ( Kwan Yeongsook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8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23 No.-

        Ende des 20. Jahrhunderts begann eine neue wissens- bzw. informationsbasierte Ära, in der die drei Faktoren Zeit (time), Schnelligkeit (Speed) und Raum (Space) eine entscheidende Rolle spielen. Ob man in der heutigen Gesellschaft erfolgreich sein kann, hängt davon ab, wie schnell und präzise man von der Flut der Informationen im World Wide Web die Informationen heraussucht, die man braucht. Dieses Phänomen wurde durch die rasche Entwicklung der digitalen Technologie und durch die schnelle Verbreitung des Internets beschleunigt. In diesem Sinne kann man dieses Jahrhundert als e-Periode (e-commerce, e-solution, e-learning) bezeichnen. Dementsprechend gehört die heutige Jugend zur digitalen Generation. Für sie ist es eine Selbstverständlichkeit, im Internet zu surfen, zu chatten oder eine SMS per Handy zu schicken. Im Hinblick darauf sind neue Erziehungsmethoden notwendig geworden. Seit Ende des 20. Jahrhunderts werden in der „educational Technology“ neue Lehrmethoden z.B Cyber bzw. e-Lernen(electronic learning) entwickelt und in vielen Lernbereichen angeboten. Die Vorteile dieser Lehrmethoden liegen darin, dass die Lerner das lernen können, was sie wollen, und zwar beliebig wiederholend. Darüber hinaus können sie selbst bestimmen, wann und wo sie lernen wollen. Diese Vorteile kennzeichnen viele Lernprogramme, z.B. EBS-Online-Unterricht, Sprachlern-online-Service usw… In dieser Abhandlung wurden erstens e-Deutsch, das 2006 als ein web-basiertes Selbstlernmodell für das Niveau A1/A2 nach dem europäischen Referenzrahmen von mir konzipiert wurde, und zwar in Zusammarbeit mit Herrn Kwon Yeong-Chul an der Sung-Nam Oberschule, und zweitens die Deutschlern-Homepages in Cyworldclub vorgestellt, die 2007 von drei Fakultäten an der Presbitarien College & Theological Seminary gemacht wurden. An Hand von diesen beiden wurden in dieser Arbeit folgende Fragen behandelt: ∙Wozu braucht man heutzutage ein Web-basiertes Selbstlernmodell? ∙Inwieweit trägt das Modell zum effektiven Lernen der Lerner bei?

      • KCI등재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 특성이 독일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대면 온라인 녹화강의를 중심으로

        권영숙 ( Kwan¸ Yeong-sook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0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7 No.-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서 원격근무와 원격진료 그리고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대면 온라인 환경은 COVID-19 팬데믹이 아니더라도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향후 필연적으로 변화될 흐름임을 감안할 때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환경특성과 학습자 특성 그리고 매체와 콘텐츠 관련 요인들과 학습효과 간의 영향관계와 영향정도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비대면 온라인 교육환경에서의 사전 녹화된 강의콘텐츠를 이용하여 독일어강좌를 수강한 11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녹화강의 중심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자율성과 자율적인 결정에 따른 책임(부담) 그리고 학습자의 IT활용능력이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며, 매체의 이용편리성과 콘텐츠의 유용성과 적절성이 학습동기를 촉진시키고 흥미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주도학습과 흥미(학습동기 유발)는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은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향후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고 사회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일반화된다고 가정할 때, 본 연구결과는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을 위해서 개별 요인(어떤 환경적 요인을 더 고려해야 하는지, 교수에게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매체와 콘텐츠 개발 측면에서 어떤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등)의 중요성 정도를 추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ufgrund der COVID-19-Pandemie verbreiten sich Homeoffice, online medizinische Untersuchungen sowie Beratung und Homeschooling drastisch und beherrschen derzeitig unseren Alltag. In Anbetracht der 4. industriellen Revolution, in der auch in Zukunft ein kontaktfreies Miteinander in vielen Bereichen zwangsläufig dominant wird, auch wenn es sich nicht um COVID-19 handelt, wird zur Vorbereitung auf die Post-Corona-Zeit empirische Arbeit über die Einflussfaktoren auf das effektives Lehren und Lernen in der kontaktfreien Lernsituation erforderlich. In dieser Untersuchung geht es darum, das aufeinander bezogene Verhältnis und auch den Einflussgrad zwischen Merkmalen der kontaktfreien Lernsituation, den Lernenden, den medien-bzw. inhaltsbezogenen Faktoren, dem Lerneffekt zu forschen. Die Datenanalyse von 110 Studierenden ergab, dass sich die Autonomie der kontaktffreien Lernsituation und die Verantwortung für autonome Entscheidungen der Lernenden und ihre Medienkompetenz das selbstgesteuerte Lernen positiv beeinflussen. Es wurde desweiteren festgestellt, dass die Benutzerfreundlichkeit des Mediums sowie die Nützlichkeit und Angemessenheit der Inhalte die Faktoren sind, die das Interesse an der Förderung der Lernmotivation wecken. Darüber hinaus wurde bestätigt, dass selbstgesteuertes Lernen und das Lerninteresse der Lerner einen positiven Einfluß auf den Lerneffekt haben. Das Forschungsergebnis könnte in der Post-Corona- Zeit den Lehrenden bei der Gestaltung der Lehrveranstaltungen für einen effektiven Fremdsprachunterricht eine Hilfe leisten, indem es ihnen Informationen darüber liefert, welche Faktoren bei der Medienauswahl und der Entwicklung von Inhalten zu berücksichtigen sind, und auch welche Kompetenzenden Lehrenden verlangt werden.

      • KCI등재
      • KCI등재

        SPRACHENPORTFOLIO ALS EINE LEISTUNGSMESSUNGSMETHODE IM FREMDSPRACHENUNTERRICHT

        KWAN Yeong-Sook(권영숙)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3

        다중문화, 다중언어 그리고 이동성의 특성을 지닌 현대사회에서 외국어 교육은 언어와 문화의 한계를 넘어서 다양한 능력을 겸비한 인물양성과, 자기 주도적인 글로벌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외국어 교육에서 외국어 학습 및 교수와 더불어 학습자의 언어능력 성취도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의 언어능력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성평가방식의 문제점을 고찰하며 이에 대한 대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시험위주의 점수 제에 따른 형성평가방식은 첫 번째는,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과 능력을 중시해야 할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과 두 번째 문제는 이러한 방식이 자기주도적인 글로벌 인재의 양성을 저해 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평가방식들 중, 특히 학습자 언어포트폴리오 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수행 평가방식을 PUTS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활용 가능성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방식은 학습자에게 자기 성찰을 통해 독일어를 주도적으로 학습 가능하게 하며, 자신의 독일어 학습에 대한 평가 역시 스스로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교수자에게는 학습자의 언어능력 성취도 및 만족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포트폴리오를 통한 수행 평가방식은 궁극적으로 언어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외국어 수업 및 평가에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준다. The purpose of a foreign language in modern society, which possesses multi-cultural, multi-lingual and mobile characteristics, is the cultivation of global learners who are equipped to be creative and selfdirective, capable of exceeding cultural barriers. However, the most important issu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not only the teaching but also the evaluation or assessment of the learner’s achievement. In this study I define two types of evaluation; the ‘formative evaluation and the ‘summative evaluation.’ The goal of formative assessment is to monitor student learning to provide ongoing feedback that can be used by instructors to improve their teaching and by students to improve their learning. More specifically, formative assessments help students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arget areas that need to work. The goal of summative assessment is to evaluate student learning at the end of an instructional unit by comparing it against some standard or benchmark. In this paper I will suggest that the formative evaluation that can be used by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to guide improvements in the ongo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is far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usage of summative evaluation, which measures the level of success or proficiency that has been obtained at the end of an instructional unit. The latter assessment hinders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he learner’s abilities as individuals in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but also in the progress to be a global learner. Hence, with the actual collection of learners’ assessment, which is ‘Learning- Portfolio’, I propose that the formative evaluation can improve and refine not only teaching practices but also help improve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as oppose to the summative evaluation.

      • KCI등재

        비대면 학습환경에서의 독일어 교육을 위한 교수자 및 학습자 상호작용기반 협업플랫폼 구축: 구글 클래스룸과 패들렛 기반

        권영숙(Yeong-Sook Kw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5 No.-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현대 외국어교육에서 차세대 교육 방법의 하나로서 구성주의 학습이론 중심의 유비쿼터스 기반 스마트러닝이 관심을 받게 되었다. 많은 대학은 디지털 혁명에 걸맞은 e-교육환경을 위하여 스마트 캠퍼스 구축에 힘써 왔다. 그러나 이러한 플랫폼들은 대부분 교수자 중심의 학습관리 중심의 모니터링 기능 위주로 구축되어 있어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온라인상에서 학습을 계획하고 학습 성과를 공유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능들이 미흡하거나 제외되어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2020년도 COVID-19의 확산으로 모든 교육 활동들이 가상학습환경에서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러한 e-교육 매체가 전통적 교실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 간 양방향 상호협업 학습을 지원하기에는 많은 점에서 부족하다는 문제가 또다시 부각되었다. 플랫폼의 이러한 상호작용 기능 미비는 비대면 학습환경 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효과 저조와 더불어 자기 주도성 및 학습자 수준별 학습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현실적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넘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여러 현실적인 이유로 자율적 비대면 교육이 확산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자 주도적인 독일어 교육을 위한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들의 상호적 협업 활동 지원 온라인 플랫폼 설계와 구축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교육이론과 학습자 특성 및 교수자 측면에서의 주요 영향요인 등의 이론적 배경 하에 교수자와 학습자 독일어 학습용 협업플랫폼 모형을 설계하고 구글 클래스룸과 패들렛(Padlet)을 활용하여 구축하기로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ll as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constructivism-centered ubiquitous-based (u-based) smart learning has attracted the attention a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of the next-generation in modern foreign language education. Many universities have made efforts in order to construct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a smart campus and, focus on monitoring functions of the learning management such as attendance, assignment correction, as well as evaluation. The arising problem is that the purpose of supporting learners"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is insufficiently fulfilled or even excluded in these platforms. Moreover, due to the spread of COVID 19 in 2020, all educational activities were being carried out only through e-educational platforms in a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This e-educational environment is not effective enough to replace the intera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n traditional classroom classes. The lack of learning effect and in particular, the insufficient functions in the untact learning environment have become an obstacle for the learner"s self-initiation and learning at various learner levels. This study is about the learner-centered platform for mutual collaboration of learners for german learning, based on the use of smart devices to derive effective education in an untact learning environment under the premise that autonomous non-face-to-face environments will be expended for numerous actual reasons in the post-corona era beyond the corona pandemic. One goal is to build a platform. The learner oriented platform is built by using the existing educational e-tools, Google Classroom and Padlet,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influencing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ructors, based on a constructivistic educational theory.

      • KCI등재

        유럽공통참조기준, 한국 언어정책을 위한 새로운 기회인가?

        권영숙 ( Kwan Yeong-sook ),박성우 ( Park Seong-u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7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21 No.-

        오늘날 우리는 문화와 경제, 정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중 언어 및 다중문화의 글로벌 사회에 살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사회를 맞이하여 외국어 교육은 미시적으로 다른 언어로 의사 소통하려는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시대적 요구를 목표로 삼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여 유럽평의회에서는 회원국의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회원국들 사이의 교류와 협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언어 정책을 실행하기 위하여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참조기준은 유럽 내의 다중언어정책을 지원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국제적인 의사소통과 다른 나라에서 취득한 어학능력 증명서를 서로 인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은 현재37개 언어로 번역되었는데, 독일어 판은 2001년 9월에 출판되었다. 이 독일어 판을 기본으로한 한국어판이 2007년 6월에 발간되었는데, 이것은 13명의 역자들과 한국독일어교육학회의 여러 회원들이 약 2년 6개월간 헌신적인 노력을 하여 출판될 수 있었다. 본 발표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다루었다: ㆍ한국어판 참조기준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출판되었는가? ㆍ번역할 때 어떤 문제가 있었고, 그 원인은 무엇인가? ㆍ우리 실정에 맞는 외국어교육정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이 참조 기준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 KCI등재

        KRITERIENKATALOG-PROTOTYP ZUR LEHRWERKANALYSE SOWIE-AUSWAHL

        KWAN Yeong-Sook(권영숙)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4

        외국어교육현장에서 교재가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 Quetz (1976)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교재가 외국어 교수 및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수업영향요인들과 비교해 볼 때 82%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 나라들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수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교수와 학습활동들이 교재에 의해 조정되기 때문이다. 외국어 교수 및 학습의 성공여부가 어떠한 교재를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교수 자는 학습자의 특성과 언어능력에 맞는 교재를 고르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에 직면하여 교재들의 장점과 단점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적합한 교재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재분석틀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재분석틀이 교수자가 학습자들을 위한 적합한 교재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 하에, 기존 교재분석의 이론연구 및 교재분석 틀에 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개방형 교재분석틀-프로토 타입을 설계하고자 한다. 개방형 교재분석틀-프로토 타입 설계하기 위해 첫 번째로 외국어교육에서의 교재의 기능 및 교재제작에 영향요인들 그리고 교재의 역사에 대해 살펴 보고, 두 번째로는 교재분석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한국의 교육 전통 및 교육학적 컨셉을 근거로 하는 교재평가 및 선별을 위한 개방형 교재분석틀-프로토 타입을 설계 제안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는 본 분석틀내의 카타로그들을 보완 수정하여 더욱 구체화하고 심화 발전시켜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Course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have numerous functions and play a decisive role in a foreign language class for enriching the class not only didactically but also methodologically. According to an empirical survey conducted by Quetz (1976), the impact of a course book including teaching materials on foreig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s higher than other factors, namely 82%. This phenomenon is no exception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foreign language classes are regulated by course books. Teachers make an effort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a course book, as success and failure of a foreign language class profoundly depends on what kind of teaching material is used in a class. Inappropriate material for students with uninteresting topics, texts and exercises that are too easy or too difficult, lead to the result that the students lose their inter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ill be more successful, when teachers educate the students with a proper a course book or teaching materials. The question is, how teachers can make the right decision in regard to the quality of a course book or teaching materials, while comparing the merits and demerits. The analysis in this paper is supposed to support teachers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course book for the students by establishing a prototype of an open criteria catalogue for teaching materials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analyses of course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frames of course book analyses. The following are the two important considerations of this article: To create a prototype of a criteria catalogue for course books, it is first necessary to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course book and evaluate its history, and second to establish an open-type analysis, found in preceding course book analyses. Further research requires the correction of the analysis frame of the catalogue, concretization of details and progressive developments, which underlie the pedagogical tradition and the educational concept of Korea.

      • KCI등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일어 I 수업설계 및 실행

        권영숙(KWAN Yeong-Soo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4

        현대사회 구조변화의 기본적인 원동력은 글로벌화와 지식정보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현대사회는 국제적으로 상호문화 간의 이해가 주요한 전제조건이 되었고 서로간의 의사소통과 이해가 요구되었다. 또한 노동시장이 세계화되어 경제적인 협력관계와 활동이 글로벌화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외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현시대 교육정책의 여러 도전들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외국어교육은 미시적·거시적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미시적으로는 학습자 개인의 외국어능력이 요구되었고, 거시적으로는 언어와 문화의 한계를 뛰어넘어 유연성, 문제해결능력, 자율성 그리고 소통 및 협업가능성, 유동성과 상호문화 간 능력 등 국가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조적이고 자기주도적 역량을 겸비한 인재양성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첫째 목적은 독일어 핵심역량 강화 수업계획 및 실행을 통하여 학습자 개인 상호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의사소통능력을 습득하게 하는 데 있다. 둘째 목적은 사회문화적 배경이 전제된 실생활에서의 목표어 사용능력 습득과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장신대 독일어학습 및 교수환경 개선 및 여러 학습도구들의 활용들을 개발하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하였다. 둘째, 투명하고 국제적으로 비교가능한 공통기준점으로서 장신대의 독일어교육과정 모델 및 장신대 각 과정별 독일어교육목표 및 내용을 소개하였다. 셋째, 장신대의 교과과정기반 하에 설계된 온라인 강의실인 e-Deutsch와 온라인 교수자 언어 포트폴리오와 오프라인 학습자 그룹 언어포트폴리오 등의 학습도구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학습도구들을 활용하는 학습자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일어수업 설계와 활용을 2016년 1학기 독일어 I 강좌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In times of our global society including multi-languages and multi-culture, nations are faced with mutual cooperation and exchang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various generation changes with the time, the education in foreign languages requires a new paradigm of microscopic and macroscopic areas. In microscopical terms, it has become a personal need to communicate with languages in the set of a of multi-cultural environment, in macroscopical terms, new paradigms are required to cultivate global talents possessing core competences that include creative and leading abilities, in order to overcome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of nations and strengthen global commun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German lesson planning and execution to strengthen core competences to obtain not only oral communication for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leaner and teacher, but also to improve practical core competences to actually learn and speak the target language. For this reason, it is a crucial priority to improve the German studies and professor pool of the PUTS as well as to develop various teaching tools and approaches. To fulfill this requirement, first, a German education model of PUTS and education goals as well as contents of each German class are stated. Second, based on that planning of a German competency-based Curriculum model of PUTS, e-Deutsch, learners’ group portfolios, online teaching portfolios and other learning tools, examples from class German 1 of the first semester of 2016 are given, showing German lesson planning and execution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es of the learners.

      • KCI등재

        스마트기기 활용 독일어 교수와 학습용 웹앱 “Na, geht’s?” 개발 및 구축 - A1 수준 교재 “Na klar, so geht’s!” 기반 학습자 주도학습지원 도구 -

        권영숙(KWAN Yeong-Soo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2

        우리 사회는 급속한 IT기술의 발전을 이루며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했고 소위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인류 문명사의 커다란 패러다임의 전환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지능적 사이버 물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혁명이 이루어져, 시공간의 제한 없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또한 소형 컴퓨터라고 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확산으로 교육영역에서도 교육과 네트워크가 접목된 새로운 교육 형태로서의 이 러닝(e-learning), 모바일 러닝(m-learning) 그리고 유비쿼터스 러닝(u-learning) 혹은 스마트 러닝(s-learning) 등이 도입되는 등 교육방식의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격변 속에서 현대 외국어교육은 학교(c-class)에 더 이상 국한되지 않는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지털 원민이라고 불리는 젊은 세대의 학습자들은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이동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방법으로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차세대의 학습형태인 유비쿼터스 기반 스마트 러닝은 교수자와 학습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이러한 사회 변화 속에서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 활용에 익숙한 디지털적 습성과 사고를 지닌 학습자들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학습형태로 유비쿼터스 기반 스마트 러닝과 이를 위한 “Na, geht’s?” 웹앱 개발과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웹앱 “Na, geht’s?”의 콘텐츠 내용은 유럽참조기준 A1수준의 독일어 교재 “Na klar, so geht’s!”를 바탕으로 하며, 유비쿼터스 학습환경에서의 스마트 러닝을 위한 전제 조건인 모바일 상시 접근성, 이용 편리성과 이동성에 용이함을 위하여 부트스트랩을 기반으로 구축되었고 웹 페이지는 HTML, JavaScript, CSS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In our society, the u-environment was establish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through this, we experienced a large paradigm shift of human civilization,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the ubiquitous revolution based on intelligent cyber-physical system was introduced and established an environment for accessing the network without restrictions. Also, the rapid expansion of smart devices, which are kinds of small computers, made it possible to combine education and network within education. And E-learning as a form of m-learning, u-learning or s-learning has been introduced. Moder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c-classes.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the learners, the so- called digital citizens, initiatively learn while moving without the restrictions of time and place. The next generation of learning, the u-based smart learning, is therefore receiving attention from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In this study, u-based smart learning and “Na, geht"s?” web app are designed based on the digital habits and thoughts of the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internet and digital devices, in order to meet their characteristics and demands. The content of the web app “Na, geht"s?” is based on the German textbook “Na klar, so geht"s!” at the level of the GER A1. It is built on bootstrap for ease of use, portability and accessibility, which are essential prerequisites for smart learning in the u-learning environment. Web pages were developed using HTML, JavaScript, and CSS frameworks.

      • KCI등재

        독일어교육 과정의 등급 기술을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의 활용

        권영숙 ( Kwan Yeong-sook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9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25 No.-

        Wir leben in einer globalisierten Welt, in der kulturelle, wirtschaftliche und politische Prozesse der Staaten dieser Welt vernetzt sind. In diesem Zusammenhag wird sie als plurikulturell, mehrsprachlich und auch mobil bezeichnet. Diesbezüglich sollen in einem zeitgemäßen Fremdsprachen-unterricht über persönliche Bedürfnisse hinaus, der wirtschaftliche und kulturelle Bedarf berücksichtigt werden. Deswegen sollte eine entsprechende Sprachpolitik in Korea gefordert werden, die für Daf-Unterricht und für das Germanistikstudium in Korea eine neue Chance bieten könnte, das von den Lernern als 2. Fremdsprache weniger favorisiert wird. Dabei scheint es lohnenswert zu sein, den GER zu nutzen, der ein Instrument für einen zeitgemäßen Fremdsprachunterricht zum Lernen, Lehren und Beurteilen bietet, um neue Curricula und neue Lehrmaterialien für Daf-Unterricht in Korea zu erarbeiten. In dieser Abhandlung wurde versucht, den GER als Grundlage zur Formulierung von den Lernzielen und den entpsrechenden Lerninhalten für Deutsch als Fremdsprache an der PCTS zu benutzen, wobei eine klare Beschreibung der Lernziele einzelner Niveaustufen vorausgesetzt wird, Zu den Nieveaubeschreibungen bzw. den Lerninhlten wurden die gemeinsamen Referenznivaus, Beispielskalen und -deskriptoren eingesetzt. Nach meiner Meinung bietet der GER gute Möglichkeiten für eine Verbesserung der Fremdsprachendidaktik in Korea, wenn man ihn auf die Entwicklung neuer Curricula, neues Testssystems und auch neuer Lehrmaterialien aktiv anwenden wür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