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별유통과 제3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판매제한 행위에 관한 공정거래법적 규제 연구

        권영관 ( Youngkwan Kwon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9 질서경제저널 Vol.22 No.2

        구매의 편리함과 더불어 제품선택의 다양성, 제품구매 가격 측면에서의 장점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들의 제품구매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제조 또는 공급업자들이 자사 제품을 유통하는 유통업자들의 인터넷 유통을 제한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경쟁법적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그러한 경우는 특히 선별유통시스템(Selective Distribution System) 하에서 제조업자와 유통업자 사이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선별유통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극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지만, 특히 유럽에서는 명품 등 브랜드 가치가 중요한 상품에 대해 공급(제조)업자가 자사상품의 유통시장에 참여하고자 하는 유통업자를 선별하거나 선별된 유통업자가 제3자 온라인 유통플랫폼을 통해 유통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발생하는 갈등이 경쟁법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최근 공급(제조)업자가 계약 상대방인 유통업자가 제3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전면적으로 금지하여 문제가 된 공정거래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내려진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국내에서 관련된 공정거래법 집행 사례들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사건에 대한 심결례와 판례 등이 다양하게 축적되어 있는 EU의 사건 및 규범, 국내의 관련 사건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향후 관련 행위에 대한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공정거래법 규제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E-commerce is growing quickly because of its advantages in terms of the purchase convenience, diversity of available products, and their price competitiveness. However, manufacturers supplying their products with distributors often restrict their distributors not to sale their products through internet platforms, and thus this practice can cause some problems in terms of competition or fair trade law. In particular, this problematic practice has become an emerging issue between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under the selective distribution system. There are limits of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the selective distribution system in Korea, but conflicts regarding selection of distributors by manufacturers and their vertical distributive restrictions through third-party online platform by their selected distributors have been dealt in terms of competition law in EU or its member states. In European region, the selective distribution system has been recognized as a legal distributional system if it meets three requirements which were suggested by the ECJ in the case of Metro/SABA.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in problem is critical in determining the legality of the selective distribution system. And its judgement of Pierre Fabre is a seminal case that dealt with the legality of restricting distributors’ sales of products on the Internet by suppliers in EU. The state of art seminal case focusing on the problematic practice regarding distributive restriction using the third-party internet platform by suppliers is a Coty judgement by ECJ, which provide u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in terms of enforcing Fair Trade Law in Korea. In Korea, recently, there exist some cases of the suppliers’ problematic practice banning distributors’ sales through the third-party internet platform, and one of them was rul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eminal case laws on the selective distribution as well as the vertical restriction of internet distribution of products by suppliers in EU and its member states, and then discussed the rulings in Korea and its limits in terms of effective and desirable enforcement of Fair Trade Law in Korea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rulings in Korea and EU. In addition, this paper discussed how to effectively regulate the vertical distributional restriction of products sales through the third-party internet platforms under Korean Fair Trade Law.

      • KCI등재

        동태적 혁신경쟁과 경쟁법 집행에 관한 고찰

        권영관(Youngkwan Kwon) 한국규제학회 2018 규제연구 Vol.27 No.1

        경제성장의 가장 중요한 원동력 중 하나가 혁신이므로 동태적 혁신경쟁을 촉진시키는 것은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중요한 정책적 과제이다. 따라서 혁신을 창출하는 혁신기업들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우월적인 혁신이 시장에서 선택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절한 역할이 일차적으로 중요하다. 경쟁당국의 경쟁법 집행시 동태적 혁신경쟁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지만, 기존의 정태적 관점에 기반한 경쟁법 집행의 도구들은 동태적인 혁신경쟁을 고려하는데 커다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경쟁법 집행시 구체적으로 동태적 혁신경쟁을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아직까지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논문에서는 동태적 혁신경쟁의 본질에 대해 고찰함과 동시에 동태적 혁신경쟁을 고려하기 위한 경쟁법 집행 접근법들과 해외 경쟁당국의 경쟁법 집행 사례를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경쟁법 집행 시 동태적 혁신경쟁에 대한 효과적인 고려를 위해서는 대안적인 접근법들의 우열에 집착하기보다 개별 사건의 본질과 특성, 혁신경쟁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가능하다면 세 가지 접근법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접근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동태적 혁신경쟁에 관한 혁신효과와 경쟁제한성 등에 대한 평가를 함에 있어 잠재적 진입자의 진입가능성 뿐만 아니라 기존기업 또는 잠재적 경쟁자들의 혁신 인센티브, 혁신의 발전경로 등에 대한 영향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Innovation is one of most critical drivers of economic growth and thus enhancing dynamic innovation competition is an important policy challenge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o do so, first and foremost, governments must play a proper role in both strengthening rewards for firms creating innovations and being superior innovations selected by markets. The dynamic innovation competition is upcoming issue to enforce competition law by competition authority, but the approaches or tools developed to enforce competition law based on static view of competition have critical limitations in considering the dynamic innovation competition. Under this situation, there is lack of domestic researches and specific discussions on how to analyze the dynamic innovation competition in competition law enforcement. From this perception, the paper specifically reviews the nature of innovation and dynamic innovation competition. In addition, it investigates both some doctrines or approaches used in enforcing competition law in order to consider dynamic innovation competition and some related cases handled by foreign competition author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dynamic innovation competition, it is desirable to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competition in question case an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innovation and/or anti-competitive effects by employing all of alternative doctrines or approaches if possible instead of sticking to superiority of them. Furthermore, competition authority needs to analyze the innovation incentives of incumbents and/or potential competitors and the evolutionary path of innovation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entry of competitors.

      • KCI등재

        대규모 유통업자의 PB상품 유통 관련 공정거래법 집행상의 쟁점 및 규제방안 고찰

        권영관(Youngkwan Kwon) 한국규제학회 2019 규제연구 Vol.28 No.1

        최근 확산되고 있는 대규모 유통업자들의 자체브랜드(Private Brand: PB) 상품 판매가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상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소비자 후생이나 경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대규모 유통업자들은 PB상품을 개발․판매함으로써 상류 제조업자들과 경쟁관계를 형성하여 구매자로서의 우월적 교섭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PB상품 유통이 소비자 후생이나 공정거래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 역시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B상품 유통과 관련하여 대규모 유통업자의 우월적인 구매자 힘이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행 공정거래법 등을 통한 규제 가능성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 공정거래법을 집행함에 있어 가능한 대안을 고찰하였다. 즉, 대규모 유통업자가 상류제조업자들에 대한 구매자로서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문제, 경쟁 NB상품 제조업자들에 대한 경쟁제한행위 및 불공정거래행위 등을 판단함에 있어 PB상품 유통 여부 및 전체 매출액에서 PB상품이 차지하는 비중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B products served by large-scare distributors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welfare and market competition because their distribution gives comsumer opportunities to purchase good quality products with competitive prices. However, large-scale distributors can enhance their superior bargaining power as a buyer to upstream suppliers by selling their PB products and forming rivalry, and thus PB products distribution by large-scale distributors might negatively influence in terms of consumer welfare and fair trade. This paper investigated possible regulatory measures in enforcing fair trade act against the abuse of superior buyer power of large-scale distributors in relation to their PB products delivery by examining the regulations of current acts and their limits. The paper suggests that it is desirable for the competition authority to consider whether large-scale distributors distribute their own PB products or not and the shares of them to overall sales of large-scale distributors, etc. when it determines the abuse of market dominance of large-scale distributors as a buyer to upstream suppliers, anticompetitive or the unfair trade conducts to upstream manufacturers producing NB products competing their PB products.

      • 운전자 주행 특성을 고려한 적응 순항제어

        문일기(II-Ki Moon),권영관(YoungKwan Kwon),이경수(Kyongsu Yi) 한국자동차공학회 2003 한국자동차공학회 Symposium Vol.2003 No.8

        Recently. Adaptive Cruise Control(ACC) system has been commercialized by major automobile companies. Because there are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driving style of ACC system and that of human driver. the importance of human driver's driv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In this papers. the driver's driv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a driver-adaptive control algorithm have been investigated. By the use of CAN(Controller Area Network). several vehicle states were obtained. Experimental vehicle was also equipped with brake pedal force sensor and three accelerometers. A step toward understanding human driving patterns would be to study the relation among time-gap. Time-to-collision. clearance. relative-speed. etc. We compare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driver-adaptive control algorithm based on human driving data with those of nominal ACC algorithm. It has been shown that the vehicle following behavior of the controlled vehicle with the adaptive control algorithm is quite close to that of the human controlled vehicles.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more natural and more comfortable vehicle behavior would be achieved by the use of the driver adaptive cruise control algorithm.<br/>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