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감정과 정서

        권수현(Kwon, Su-hyeo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3 No.-

        이모티비즘은 실패한 이론인가? 프린즈의 견해를 따르자면 그렇지 않다. 그는 흄의 전통에 서서 시인과 부인의 정서 없이는 도덕 판단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감정은 도덕 판단과 단순히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 판단의 필요충분조건이다. 이모티비즘이 설득력을 얻지 못한 이유는 도덕과 감정의 결합을 감정표현에 한정해서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도덕 판단이 정서를 표현하는(represent) 것은 맞지만, 도덕 판단이 단순히 표현적(expressive)인 것에 그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도덕성이 주관적 상태의 단순한 투영이 아니기 때문에, 시인과 부인의 감정적 반응이 도덕적 판단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현주의적 이모티비즘의 투영론적 관점은 변형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도덕적 허무주의는 지양되어야 한다. 이런 배경에서 프린즈는 ‘생물학적 사실’과 ‘사회적 구성물’의 혼성이론(hybrid theory of moral concept)으로서 구성적 센티멘탈리즘을 제안하면서 도덕적 삶에 있어 진화와 문화가 만나는 통합 지점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 KCI등재

        학교폭력과 공감의 정서

        권수현(Kwon, Su-Hy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학교폭력은 한국사회의 뜨거운 감자이다. 학교폭력에 대한 염려가 일상적인 사회는 삶의 기본 안전망 자체가 흔들리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학교폭력의 예방대책은 학생들로 하여금 세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획득하게 하는데서 시작한다. 인식의 성립은 타인과의 공감을 선행적으로 요구하며 인식의 객관성은 얼마나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삶의 형식을 공감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학교폭력의 사후 대책방안도 이에 맞춰 피해자 보상과 가해자 처벌 위주의 응보적 방식이 아닌 피해학생의 상처회복과 가해학생의 선도 그리고 학교공동체가 다시 통합될 수 있도록 회복적 방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가 교육의 장이어야 하고, 교육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육의 방법도 교육적이어야 한다. 교육은 삶과 앎의 통합이다. 먼저 학교폭력을 교육적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교육의 시작이다. 교육영역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널리 퍼진 물화를 극복하고 정서적 교감을 통한 인정과 상호 공감을 이끌어내는 교육의 중요성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In Korean society school violences have become an Issue like a hat potato. For a society prevailed by anxiety about school violences means one in which social safety net of life itself shakes. Preventive measures of school violences can launch to let the students acquire an objectiv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in oder to establish such perception is an empathy with others as a condition precedent required, that is, the possibility of an objective perception hinges on how much you can empathize with different people and various taypes of life. Accordingly, the post-countermeasures of school violences should not focus on the retributive way based on compensating victims and punishing assailants, but rather on the restorative way oriented to heal wounds of victim students, to properly guide bully students, and to reintegrate the school community. To do that, the school has to be an educational venue; and not only education content, but also education methods have to be educational. Education is to integrate knowing and living. Therefore, the very start of education consists, first of all. in showing to solve school violences educationally.

      • KCI등재

        사회생물학적 윤리의 한계와 가능성

        권수현(Kwon Su-hyeon)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적 윤리”가 차치하는 윤리학적 위치를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윌슨과 루즈를 중심으로 하는 생물학적 윤리론이 규범적 윤리담론을 대신할 수 없으며, 생물학적 윤리론은 오직 “기술(descriptive) 윤리”에서만 일정한 의의를 찾을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메타 윤리학적 논의에서 생물학적 윤리가 많은 시사점을 지님에도 불구라고 그 의의는 윤리의 변천과정을 사회인류학의 틀에서 진화론적으로 서술하고 설명하는데 한정된다. 그러나 이를 통해 기존 윤리 이론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단초가 제공되며, 유전자의 역할 인식을 통해 인간에 대한 전반적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물학적 윤리가 지니는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 연구는 크게 세 단계의 논의로 진행된다. 첫째로 사회생물학의 윤리적 요구의 이면에는 자연과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일정한 태도가 있음을 지적한다. 자연과 문화에 대한 개념적 파악을 통해 사회생물학과 윤리의 관계를 어떠한 방식으로 규정할 수 있는가를 밝힌다. 두 번째로는 사회생물학이 스스로 내거는 윤리적 요구에 대하여 과연 철학적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가 라는 질문을 규범적 이상주의와의 대비 속에서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생물학과 윤리학의 관계에 대한 규정을 통하여 사회생물학의 위치를 철학의 관점에서 자리매김한다.

      • KCI등재

        자유의지와 윤리적 책임

        권수현(Kwon Su-hyeo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5

        오늘날 자유는 우리 모두에게 보편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인간은 행위 하는 자로서 그리고 행위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자로서 자유롭다. 그러나 최근의 자연과학적 성과는 우리의 ‘자유’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신경생물학과 인지과학은 경험적 자료에 기초해서 행위의 결정을 뇌의 신경적 사건의 인과적 결과물로 증명하려 한다. 형태 생리학자 로스는 자유의지와 이에 따른 책임의 문제를 더 이상 현대 뇌 연구와 심리학이 지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증명하려 할것이 아니라, 대신에 인격적 책임과 도덕적 죄의 개념을 포기하고 범죄자들을 확실히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처치와 수단에 집중하자고 제안한다. 이렇게 사실로 축소된 자연주의적 세계관에 마주하여 파우엔은 자유의지와 결정론이 양립가능하다는 입장에서 자유의지나 자기의식이 자연적 속성이나 능력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행위의 인과성을 모두 밝혀낸다 하더라도 생활세계의 실천적 차원에서 행위의 정당성은 결코 포기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자유의지와 책임의 문제가 신경생리학이나 심리학의 경험대상 영역을 넘어서는 정신적인 영역에 관한 것임을 밝히며, 이러한 범주 구분을 통해 자유와 결정론의 긴장관계가 대립적 모순관계에서 벗어나 상호보완의 관계로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30

        죽음의 대척점에는 삶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호흡과 맥박이 완전히 멈춘 심폐사를 죽음으로 인정해 왔던 반면에 현재 법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뇌사는 뇌의 완전한 기능정지만으로도 죽음의 판정이 가능하다. 뇌사를 인정하는 이유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서 무의미한 첨단의료기술의 개입을 중단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장기이식을 위한 신선한 장기의 공급을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런 뇌사판정에는 윤리적, 법적 차원의 논쟁점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있어, 지속적인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생명의 생물학적 정의를 통해서 살펴보면서, ‘생명’과 ‘죽음’이 ‘그 자체로 본질적인’ 실체에 대한 개념이 아니라 일련의 과정임을, 그리고 복합적 특징을 갖는 통합적 메타개념임을 밝힌다. 생명과 죽음은 개념적으로 모순대립의 성격을 가지며 서로가 서로를 배제하지만 인간의 죽음에는 뇌사와 같이 죽어가는 과정인 중간 영역이 존재한다. 그래서 인간의 죽음은 생물학적 죽음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죽음이 생물학적 사건인 동시에 규범적 사건이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에 죽음은 친숙한 자연현상이었으며 죽어가는 자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죽음은 불쾌와 혐오의 대상으로 변화하며 일종의 질병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죽음을 극복하고 은폐하는 공간으로서 병원이 등장하여 죽음의 의료화가 진행되는 동안 사람들은 철저히 자신의 죽음으로부터 소외되어 왔다. 죽음의 존엄성을 되살리고 인간적인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 죽음에 대한 담론이 공론장에서 활성화되고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인정되어야 한다. At the antipode of death is life. While cardiac arrest, which happens when your heart stops pumping blood around your body, was traditionally acknowledged as death, it is today legally admitted that brain death, nam ely the loss of brain function, can be determined as death. The reason why brain death is admitted, is to interrupt meaningless intervention of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in incurable and irreversible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fresh organs for organ transplantation. The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is continuously at issue not only because of its ethical and legal controversy, but also because of unsettled biological problem s.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life and death as such are no concepts of entity, but meta-concepts which are about processes and have complex characteristics, examining the question of w hat is death with regard to biological definition of life. Life and death are conceptually opposites and exclude each other, but in the death of hum an beings there is a grey zone pertaining to dying processes like brain death. The hum an death does not mean just a biological death, because it is not only biological, but also normative event. Befor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eath w as a natural phenomenon, and dying persons took the initiative on his own death and accepted his death. However, after the 19th century death became the object of obnoxiousness and loathing, began to be deem ed a kind of disease, and hospitals emerged as a space that could cover death. As a result, humans have been alienated thoroughly from their ow n death. So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dignity of death and to change in oder to meet one’s death. For this it is necessary to stir discourse on hum an death and to concede the self-determination of death.

      • KCI등재

        입학사정관제의 한계와 가능성 그리고 입학사정관의 윤리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7 사회와 철학 Vol.0 No.33

        대학교육은 인재교육의 정점이자 계층이동의 사다리로 기능하여 왔기에 대학입시는 여전히 전 국민적 관심사다. 그런 만큼 대학입시에서 많은 문제가 이슈로 등장했다. 그중 현재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명칭이 바뀐 기존의 입학사정관제는 대학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입학사정관제는 미국에서 처음 도입될 당시 동유럽 출신의 유대학생들에게 입학의 문을 좁히고 앵글로 색슨계를 우대하기 위한 정책이었으며, 지금도 상류층 자녀들에게 명문학교의 입학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라는 부정적 조명을 받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입학사정관제는 학생모집에 여성, 인종, 계층, 지역을 균형 있게 할당함으로써 제도적 다양화는 물론이려니와 교육의 형평성과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입학사정의 공정성은 교육의 형평성뿐만 아니라 사회정의의 실현까지 맞물려 있다. 이에 주관적 평가방식인 입학사정관제의 방식이 순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공정성과 신뢰성의 확보 이외에도 입학사정관들이 전문성과 그에 맞는 윤리의식을 갖추고 있느냐는 매우 중하다. 논문은 전문성에 바탕을 둔 자율성과 책임성을 입학사정관의 권리와 의무로 제시하며, 이에 따른 행위원칙을 공리주의, 칸트윤리론, 롤스의 정의론을 빌어 논구한다. 이를 통해 차별금지와 허용의 원칙을 함께 세우며, 입학사정관제의 윤리적 토대를 제시한다. Higher education in us has functioned as the sum m it of education of hum an resource and almost the only ladder of class mobility. Therefore, the national attention for the admission of universities remains the same. And as much as this attention m any problem s in the admission of university have become an issue. Among these,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hich is renamed the Track of General Transcripts of School Records emphasizes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First star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system narrowed the gate of entrance into universities to jews form E astern Europa and instead gave preferential treatment to the Anglo- Saxons, which is why this system is still negatively considered as a system that offers the children of the upper class opportunities of entrance into distinguished universities. O n the other hand, admission officer system has contributed positively not only to diversification of admission, but also to equ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education by allocating women, ethnicities, classes, and regions at the admission to universities in a balanced manner.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make sure of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admission officials and also to assure their professionalism and vocational ethics so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unctions properly. T he study suggest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based on professionalism as the rights and duties of admission officials and discusses the resulting principles of actions through utilitarianism , K ant’s ethics, Rawls’ concept of justice. Principles for forbidding and allowing discrimination will both be set in order to present a moral foundation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 KCI등재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자살에 대한 태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중립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로마인들은 찬미하며 기독교 초기에는 열광했다. 그 열광은 중세의 기독교에서 죄악시와 혐오감으로 변질되고 르네상스를 지나 근대에 이르기까지 정신이상과 도덕적 타락으로 배척했다. 18세기 들어서야 자살을 더 이상 범죄시 하지 않고, 이후 사회과학의 탐구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자발적 죽음을 사회적 병리현상으로서 ‘자기 살해’와 인간 자유의 행사로서 ‘자유죽음’의 두 측면으로 다룬다. 그리고 자유죽음의 관점에서 삶의 완성을 위해 죽음을 미리 숙고하기, 즉 ‘죽음의 연습’을 논한다. 논문의 첫 단계에서 생명연장찬성론과 생명연장반대론의 논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생명연장찬성론이 설득력을 지닐 수 있다면 그 내용은 무엇인지,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설득력에 맞서서 생명연장 반대론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는지 탐색한다. 그 다음에 자살의 역사를 조명한다. 자살의 대한 판단의 역사적 변천을 통해 자살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임을 보인다. 이와 함께 개념적 차원에서 자살의 정의를 둘러싼 문제를 다루며, 자살의 개념적 확장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죽음의 연습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며, 인간적인 사건으로서 자유죽음을 규명한다. Attitudes toward suicide have been changing with times and cultures. The ancient Greeks took a neutral attitude toward suicide; the ancient Romans praised it, and even the First Christians became enthusiastic about it. But in the medieval Christianity this enthusiasm altered to a vice and abhorrence, so that from the Renaissance to the early modern period, suicide has been excluded as an insanity and a moral corruption. It was not until the 18th century that suicide became not a crime. Afterwards suicide began to be realized as an object of social scientific research. This article concerns two aspects of voluntary death, namely suicide as an phenomenon of social pathology, and as ‘Freitod’, an act of Freedom of human beings. From the aspect of ‘Freitod’, the article considers the rehearsal for death (meletē thanatou) related to the completion of life. The first step for this maintenance examines some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pro and contra side over the artificial prolongation of human life, and thereby discusses, which arguments make the pro side more persuasive, and how the contra side can argue against those. And then taking a look at the history of suicide, I try to show that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suicide ist not absolute, but relative. I deal with the issue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suicide from the conceptual point of view, and further suggest an conceptual extension of suicide. Finally,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rehearsal for death(meletē thanatou), I try to establish ‘Freitod’ as a human issue.

      • KCI등재

        죽음의 형이상학으로부터 공동체적 삶의 연대로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5

        사뮤엘 쉐플러(Samuel Scheffler)는 2013년 죽음과 사후 삶을 출간함으로써, 특별한 주목을 받았다. 그의 논지는 두 가지 사실에서 출발한다. 하나는 우리가 개체로서 죽는다는 사실과 다른 하나는 우리의 죽음 이후에도 인류가 계속 생존한다는 사실이다. 그는 이 두 가지 사실을 기반으로 죽음을 통해 인간다운 삶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규명한다. 그는 이 두 가지 사실이 부정된다면 가치평가와 가치실천의 조건이 성립할 수 없으며 우리의 가치와 의미로 가득한 상징적 세계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는 곧 인간다운 삶의 상실을 뜻한다고 주장한다. 쉐플러의 연구는 개체의 죽음과 공동체의 사후 삶 간의 연관을 밝히는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다. 죽음의 두려움과 불멸성에 관하여 분석적이면서 동시에 삶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석학적 관점을 제공하는 그의 연구는 새롭다. 그러나 죽음의 연구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내디뎌야 한다. 그의 죽음연구는 이론 차원에서 실천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그것은 그의 죽음연구의 실천적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으로서 죽음과 삶의 순환에서 규범적 의미를 규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죽음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며 인간이 자신의 유한함 안에서 유한성을 넘어서며 공동체의 삶 속에서 자유를 찾아가는 과정임을 드러내야 한다. 즉 죽을 운명을 지닌 개체의 한계를 넘어서서 공동체의 삶과 연대하는 인간다운 삶의 회복이 죽음 연구의 주요과제가 되어야 한다. Samuel Scheffler received special attention when he published his book Death and Afterlife in 2013. His thesis starts with two facts. One is that we all die as individuals; and the other is that we survive continuously after our deaths. Based on these two facts, he reveals how it is possible to live a human life with death. He argues that if these two facts are rejected, the conditions for valuation and value practice can not be established; and a symbolic world filled with our values and meanings can no longer be maintained; and it means the loss of human life. Sheffler’s study moves toward a point where it revea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ath of an individual and the afterlife of a community. His study is new, because it provides an analytical perspective on fear of death and immortality and at the same time a hermeneutics perspecti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life. But the study of death should take this one step further. His study of death should be expand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o a practical one. This expansion means to elicit practical conclusions from his study of death and to establish a normative meaning of the existential cycles of death and life. And thereby it should show that death is not the end but a new beginning, and it is a process in which humans overcome mortality and seek freedom in the lives of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it is a restoration of human life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life as an individual to bond with the lives of comm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