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에서 조기폐경 위험요인으로써의 음주특성

        권소희 ( Sohee Kwon ),소은선 ( Eunsun S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연구는 한국 여성에 있어 조기폐경과 음주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조기폐경의 위험과 연관된 음주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4~2018년 5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자연 폐경을 경험한 8,03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5.3%가 조기폐경을 경험했고, 74.8%가 평생에 음주를 경험했다. 음주시작연령 만이 조기폐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40세 이상에서 음주를 시작한 여성에 비해 20세 미만과 20-40세에서 음주를 시작한 여성들은 조기폐경을 경험할 가능성이 40.28배와 25.47배 각각 높았다 (95% CI, 9.18-194.66 and 95% CI, 5.81-111.36 respectively). 조기폐경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에 대한 음주 중재 프로그램과 정책 개발과 수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premature menopause (PM)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lcohol consumption related with the risk for PM in Korean wome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4-2018, 5-year data) on 8,032 women who experienced natural menopause, and analyzed the data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study subjects, 5.3% had experienced PM and 74.8% had consumed alcohol in their lifetime. The starting age of alcohol consumption on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M (p<.001). Compared to women who started alcohol consumption at the age of 40 years old and over, those who started alcohol consumption at the age of less than 20 years old and 2040 years old were 40.28 times and 25.47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experienced PM (95% CI, 9.18-194.66 and 95% CI, 5.81-111.36 respectively). To prevent P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drinking intervention programs and policies that utilize this significantly relevant variable.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정다은(DaEun Jeong),권소희(SoHee Kwon),이승미(SeungMi Lee),양보은(BoEun Yang),장현진(HyunJin Jang),정진경(JinKy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59편이다.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발표연도, 연구 방법, 연구 분야, 연구 주제, 주제어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10년부터 2011년 사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별 동향은 문헌 연구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질적 연구, 혼합 연구, 양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은 문학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일반, 미술, 무용, 음악, 연극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동향은 대영역 중 방향과 관련된 주제에서 교육방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제어로 알아본 동향은 워드 클라우드의 주제어 크기로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한국문화교육, 한국어 교육, 다문화사회, 문학교육, 문화적응 순으로 나타났고, 정체성 복원, 융합적 문화 정체성, 자아정체성, 서사적 정체성 등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과 관련된 주제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도래한 한국 사회에 결혼이주여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시사점 및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rough this study, it intends to provide insights and directions for futu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59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e research trends in cultural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was most prevalent between 2010 and 2011.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wa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methods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Third, the re-search fields were predominantly related to literature, followed by general arts, visual arts, dance, music, and theater. Fourt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majority focused on educational approaches in the context of broader themes. Lastly, the analysis of keywords through word cloud visualization revealed that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literary edu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were prominent. Additionally, themes associated with the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such as identity restoration, hybrid cultural identity, self-identity, and narrative identity, were also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where marriage migrant women hold a significant presence in the multicultural era. The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research in the context of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