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지역 수력발전댐 개발가능지점에 대한 연간가능발생전력량 분석 및 개발 우선순위 평가

        권민성,김태웅,안재현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10

        In North Korea, hydropower which occupies about 63% of power generation is a major electric power source, and North Korea has many advantages in the geographical for developing hydroelectric power. In this study, Information on the basin and dam capacity for 33 potential development site of hydroelectric dam was analyzed using DEM, and potential annual power generation was estimated by applying results of long-term runoff simulation with MWSWAT model for recent 30-year. The potential annual power generation at 33 dam was estimated to be about 28% of the current hydroelectric power in North Korea. In addition, a priority of dam development in each province was assessed by estimating the scale of an industry and prospecting the population change in the future. And a priority for dam development within the province was estimated based on the dam capacity and the potential annual power generation. The priority of each province was ranked in order of Pyeongannamdo, Hamgyungnamdo, Hamgyungbukdo, Hwanghaebukdo, Pyeonganbukdo, Jagangdo, Ryanggangdo, Hwanghaenamdo, and Gangwond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itial review data for advancing to hydropower development project in North Korea. 북한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개의 북한 댐개발 가능지점에 대해 DEM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분석 및 저수량을 산정하고, MWSWAT 모델을 이용한 30년간의 장기유출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추정하였다. 33개 지점의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은 현재 북한 수력발전량의 약 28%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도별 공업지구 규모를 추정하고, 장래 인구 변동을 전망하여 도별 댐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저수량과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기초로 도내 댐개발 우선선위를 선정하였다. 도별 우선순위는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북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황해남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지역의 수력발전댐 개발사업의 진출을 위한 초기 검토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일 단위 강수량의 누적 패턴을 이용한 가뭄지수 개발 및 적용

        권민성,박동혁,전경수,김태웅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1

        본 연구에서는 일강수량의 누적 패턴을 고려하여 새로운 가뭄지수(RADI)를 개발하였다. RADI는 누적 강수량의 장기간의 평균과 특정 기간에 관 측된 누적 강수량을 비교하여 일단위로 가뭄지수를 간단히 산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뭄기간 동안의 RADI의 시·공간 적 변동성과 재현 주기를 살펴봄으로써 장·단기 가뭄의 감시에 대한 RADI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SPI의 경우, 장·단기 가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속기간을 가지는 SPI를 사용해야 하지만, RADI는 하나의 지수로 단기 및 장기가뭄을 표현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RADI의 전국 평 균값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에서 20년 주기로 가뭄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RADI의 발생확률 및 통계 분석을 통해 5단계의 가뭄 등급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가뭄 예보와 대응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oposed a new drought index considering the accumulative pattern of daily rainfall, i.e., Rainfall Accumulation Drought Index (RADI). The RADI can be easily calculated at daily scale by comparing the long-term averaged cumulative rainfall to the observed cumulative rainfall for a specific dura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availability of the RADI in the field of monitoring short-term and long-term droughts by investigating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and the recurrence cycle of drought in South Korea. To present the short-term and long-term droughts, the various SPIs with different durations should be used in practice. However, the RADI can present and monitor both short-term and long-term droughts as a single index. By investigating the national average of the RADI, specific drought patterns of 20-year cycle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proposed a five-level drought classification considering occurrence probability that would be a suitable alternative as a drought criterion for drought forecast/response.

      • KCI등재

        레이저 스펙클 기반 내시경타입 변위 측정 센서

        권민성,김의한,주철민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0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0 No.5

        This study proposes a displacement measurement technique using optical fiber bundles and laser speckle images. The two-dimensional displacement of the speckle pattern was quantitatively measured by applying a two-dimensional cross-correlation analysis method to the laser speckle pattern images according to the specimen movement on the precision micro stag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tual displacement of the precision micro-stage, a high correlation of 0.99 was obtained. This endoscopic based sensor, which can be miniaturized less than 1mm of a diameter, can be employed to a detection probe accessible to very confined areas, such as cracks in the specimen. Furthermore, it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as a contactless strain sensor in environments where human or complex optics are not accessible. 본 연구는 광섬유 다발과 레이저 스펙클 영상을 이용한 변위 측정 기술을 제안한다. 정밀 마이크로 스테이지 위 시편 이동에 따른 레이저 스펙클 패턴 영상에 대해 2차원 상관관계 분석법을 적용하여 스펙클 패턴의 2차원적인 변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정밀 마이크로 스테이지의 실제 변위와 비교 분석한 결과, 0.99의 높은 상관관계를 지녀 개발된 센서의 민감도를 검증하였다. 최소 1mm 이하의 직경까지 소형화가 가능한 본 내시경 기반 센서는 시편 내 균열과 같은 매우 제한된 측정 영역에 접근 가능한 탐지 프로브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이 접근하기 어렵거나 복잡한 광학계가 적용되기 어려운 환경에서 비접촉식 변형률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 KCI등재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의 제품 디자인 교육 2.0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2.0을 중심으로‑

        권민성,인치호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4

        Background : As the industry has developed, product design has played numerous roles with varying functions. Eve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lled the Manufacturing Renaissance, product design is continually evolving to meet the new era. Methods :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a new product design process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evolving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landscape. Result : I propose this would be applied to future product designer training. The first step is the understanding phase, beginning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manufacturing renaissance, which centers around intelligent manufacturing, IoT-enabled manufacturing, and cloud manufacturing. This then establishes the concept of 'new consumerism' as is represented by 'prosumers and producers' and 'produsage.' This understanding phase concludes with a summary of the 'additive manufacture' technology. The second step is the practice phase. A small design project carried out utilizing the 'additive manufacture'. Using the primary digital tools necessary for product design development leads to '3D modeling', '3D rendering' and '3D printing'. With the help of these digital devices, product designers can dramatically reduce the time spent on design development, ensuring that they can spend their time focusing on creativity and innovative ideas. Conclusion : Product Design Process 2.0 is a process of maximizing innovation that leads to solving complex problems beyond simple problem solving by applying decorative elements. This concept of product design process 2.0 will drive various changes throughout the industry in the future, and product design education should be a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se concepts. This paper presents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product design education 2.0 required in this new industrial environment. 연구배경 :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제품 디자인도 그 역할과 기능을 달리하여 왔다. 제조업 르네상스라 불리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도 제품 디자인은 새로운 시대에 맞도록 끊임없이 진화해 가고 있다. 연구방법 : 이번 논문을 통하여 진화하고 있는 제조업의 환경과 기술 속에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2.0에 대한 이해와 이를 활용할 미래의 제품 디자이너 교육에 필요한 제품 디자인 교육 2.0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 논문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제품 디자인 교육 2.0은 크게 이해 단계와 실습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이해 단계’이다. ‘지능형 제조’, ‘사물인터넷 가능형 제조’, ‘클라우드기반 제조’ 기술이 중심을 이루는 ‘제조업 르네상스’의 이해를 시작으로 ‘프로슈머와 프로듀저’그리고 ‘프로듀시지’로 대표되는 ‘신 소비주의’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이러한 신 소비주의를 가능하게 하는 양산 방법인 ‘적층식 가공’기술에 대한 내용정리로 이해 단계는 마무리된다. 이러한 이해 단계를 통하여 급속히 발전하는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하여 이해하고 미래 제품 디자이너의 역할과 범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한다. 두 번째 단계는 ‘실습 단계’이다. 앞의 단계에서 조사하였던 적층식 가공을 활용한 소규모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3D 모델링’, ‘3D 렌더링’, ‘3D 프린팅’으로 이어지는 제품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디지털 도구들을 사용하여 디자인 결과물의 조형미와 기능성 실험을 위한 실물모형제작과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디지털 장비들의 도움으로 제품 디자이너는 디자인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그로 인하여 절약된 시간을 창의성 발굴과 혁신적 발상에 집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개발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미래 제조업 르네상스의 개념도 실습을 통하여 체득한다. 결론 :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2.0은 주어진 조건 내에서 장식적 요소 적용을 통한 단순한 문제해결을 넘어 복합적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혁신성 발굴 과정이다. 이러한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2.0 개념은 향후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주도할 것이고 제품 디자인 교육도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고 실습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번 논문에서 이러한 새로운 산업 환경 속에서 필요한 제품 디자인 교육 2.0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댐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저수량의 확률론적 예측

        권민성,박동혁,전경수,김태웅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7

        가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기적절한 용수관리와 지역주민의 절수 유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가뭄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정보가 무 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생·공용수를 공급하는 다목적댐의 경우 저수량에 대한 향후 전망은 용수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정보이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핵밀도함수를 활용하여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저수량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그 적용성과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확률론적 저 수량 예측 모형은 현재의 저수량을 기준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저수량을 확률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의 가뭄상황에서 향후 저수 량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여 중장기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특정시점의 목표 저수량을 달성하기 위한 용수 비축량을 산정할 수 있어 용수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well-timed water management is required to reduce drought damages. It is also necessary to induce residents in drought-affected areas to save water. Information on future storage is important in managing water resources based on the current and future states of drought. This study employed a kernel function to develop a probabilistic model for predicting dam storage considering inflow uncertainty.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probabilistic model during the extreme drought. This model can predict a probability of temporal variation of storage. Moreover, the model can be used to make a long-term plan since it can identify a temporal change of storage and estimate a required reserving volume of water to achieve the target storage.

      • KCI등재

        일단위 표준강수지수의 누적 심도를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 평가

        권민성,전경수,황만하,김태웅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2

        The study proposed new drought indices (SPI-S and SPIB-S) though utilizing the severity of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stepwise drought preparedness/response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availability of the SPI-S and SPIB-S using drought records of the 2000s and their drought damages reported in the pr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PI-S and SPIB-S were more efficient than the SPI as the severity of SPI-S and SPIB-S increases while a drought event progresses. Compared with the SPI and SPI1-S~12-S, at the time when the drought damage was reported in the press, the SPIB-S markedly decrease the ratio to indicate ‘Normal’ from 51.2% to 16.0%. Drought indices using severity of SPI are very useful not only for mitigating drought damage through stepwise drought preparedness/response but also for preventing confusion caused by change of drought intensity during drought duration.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대한 단계적인 대비 및 대응과 가뭄상황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표준강수지수의 심도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뭄지수(SPI-S와 SPIB-S)를 제안하였다. 또한, 2000년대 발생한 대표적 가뭄사상과 언론에 보도된 가뭄피해 사례를 통해 제안된방법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SPI-S와 SPIB-S는 가뭄기간동안 단계적으로 가뭄등급이 높아져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지수로 SPI보다활용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SPI 및 SPI1-S~12-S와 비교하여 가뭄피해 언론보도 시점에서 SPIB-S는 ‘Normal(가뭄이 아닌 상태)’ 상태를 나타내는 비율이 평균 51.2%에서 16.0%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SPI 심도를 활용한 가뭄지수는 단계적인 가뭄 대비와 대응을 통해 가뭄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가능성이 높으며, 가뭄기간동안 가뭄단계의 변동으로 초래될 수 있는 혼란을 방지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표준강수지수와 강수 부족량을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권민성,성장현,김태웅,안재현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10

        This study evaluated drought severity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drought magnitude and precipitation deficit. A drought event was defined by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precipitation deficit was estimated using reference precipitation corresponding to the SPI -1. In previous studies, drought magnitude and duration were used for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However, since these two variables have a largely linear relationship, extensibility of drought information is not great compared to the univariate frequency analysis for each variable. In the case of drought in 2015, return periods of ‘drought magnitude-precipitation deficit’ in the Seoul, Yangpyeong, and Chungju indicated severe drought over 300 years. However, the result of ‘drought magnitude-du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evaluating the return period of about 10, 50, and 50 years. Although a drought including the rainy season was seriously lacking in precipitation, drought magnitude did not adequately represent the severity of the absolute lack of precipitation. This showed that there is a limit to expressing the actual severity of drought.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for ‘drought magnitude- precipitation deficit’ include the absolute deficit of precipitation information, so which could consider being a useful indicator to cope with drought.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사상을 정의하고, 가뭄심도와 부족 강수량을 대상으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족강수량은 표준강수지수의 가뭄기준인 -1에 해당하는 강수량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 가뭄지수의 심도와 지속기간 이용한 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의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 두 변량은 선형적인 관계가 매우 높아 각 변량에 대한 단변량 빈도해석과 비교하여 정보의 확장성은 크지 않다. 2015년 가뭄의 경우, 서울, 양평, 충주지점의 ‘가뭄심도-부족 강수량’량의 재현기간은 모두 300년 이상의 극심한 가뭄을 나타내고 있지만, ‘가뭄심도-지속기간’에서는 재현기간을 약 10년, 50년, 50년으로 평가하여 큰 차이를 나타냈다. 우기를 포함한 가뭄은 강수량 부족이 심각할지라도 가뭄심도는 가뭄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할 수 있어 실제 가뭄의 심각성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가뭄심도-부족 강수량’ 빈도해석 결과는 강수량의 절대적인 부족량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있어,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