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교육과정의 과제와 전망

        권낙원(Kwon, Na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우리나라 초등학교에 통합교육과정이 도입된 지 20여년이 되었다. 이후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고 그 중 일부는 해결되기도 하였지만, 아직도 많은 논의점을 남겨두고 있다. 이 글은 통합교육과정과 관련한 과제와 전망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우선 몇 가지 과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과정의 개념에 대한 일치된 견해가 없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통합 이라는 말 자체가 상태와 과정 모두를 포괄하고 있다. 과정으로서 통합이란 완전의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통합이란 변화 하는 환경에서 역동적으로 평형을 유지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각각의 교육과정 구성요소들 간의 내적 관련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더 나은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서는 (a)목표 설정, (b)학습경험 선정, (c)학습경험 조직, (d)평가 등이 필요하다. 셋째, 통합교육과정 유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행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은 「즐거운 생활」「슬기로운 생활」「바른 생활」「우리들은 1학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주제중심 교육과정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몇 가지 오해를 지적하고자 한다. (a) 통합교육 과정은 인격의 통합을 지향한다는 점, (b)통합교육과정은 학습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 (c)통합교육과정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협동성을 길러준다는 점, (d)통합교육과정은 효과적이다 라는 점 등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이론적 근거는 없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과정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본다. 앞으로 이론과 실제 측면에서 통합교육과정의 질 향상에 위한 연구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about 20 years since the integrated curriculum were implemented at the primary school level. Since then, lots of problems related to the curriculum have been raised and some of them have been solved. However, there are still lots of task to solve. This article aims at to identify the task of and prospects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Just some of the task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agreements on the definitions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example, the word integration is used to refer to both a state and a process. As a process, integration refers to the means to achieve this state of perfection. Finally Integration can be used to mean the maintenance of a dynamic equilibrium in a society. Second, each element of curriculum construction is not well interrelated each other. For the better curriculum construction, (a) There must be an agreement on objectives, (b) there must be selection of a set of experiences likely to achieve these objectives, (c) there must be organization experience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Fanally, there must be evaluation to determine to extent of school achievement. Third, there can be found some problems on various types of integrated curriculum. The current integrated curriculum in primary curriculum consist of 「Pleasant Life 」 「Intelligent Life」「Moral Education」and 「We are 1st grader」. These Curricular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matic centered curriculum. Finally, there are some of myths concern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 Just the integrated curriculum aims at developing a mature personality, (b) the integrated curriculum can make it easy to learn, (c) just integrated curriculum is developing the spirit of cooperation, (d)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curriculum. However, there have been no evidence to support the above myths. Nevertheless, there will be more need for integrated curriculum. Accordingly, further researchers are needed to improve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aspects of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수유형 (teaching styles) 분석을 위한 준거 탐색

        권낙원,민용성 한국교육과정학회 2004 교육과정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수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준거를 탐색하는 데 있다. 교수의 효과성과 관련된 기존의 수업연구에서는 주로 표면적인 교수행동에만 초점을 맞춤으로써 교사의 교수신념이나 태도 등의 내면적 측면은 소홀히 다루었다. 따라서 이후의 수업연구는 교사의 교육적 신념에 따라 교수행동이 다르게 표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수신념을 바탕으로 한 교수유형에 연구의 초점을 두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유형의 분석 준거를 '논리적 교수행동', '전략적 교수행동', '교수신법' 등의 3가지 차원에서 개념화하였다. 논리적 교수행동은 수업내용의 구조화, 설명, 목표 도달도 확인 등의 3가지 영역으로 구체화했으며, 전략적 교수행동은 동기유발, 질문, 학습행동 관리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교수신념 차원에서는 학습자에 관한 신념, 교수와 학습에 관한 신념, 교사 자신에 관한 신념영역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교수유형의 분석 준거는 효과적인 교수행동에만 관심을 두었던 기존의 과정 산출 연구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요구하며, 교수유형과는 상관없이 특정한 교수방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삼았던 수업연구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eaching styles. The former studies of teaching have been largely focused on effective teaching behaviors, but teachers' educational perspectives such as teaching purposes, beliefs and attitudes have been overlooked in the process-product studies. So, for promoting the teaching effectiveness, researchers need to study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Teaching styles represent the total of teachers values,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s. Therefore teaching style is how teachers philosophically approach and then conduct moments of instruction. This means that teaching behaviors are based on the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eliefs and the behaviors of teachers has been the focus of much recent research of teaching. Many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teachers beliefs-practice(behaviors) congruency is an element of effective and good teaching. But many teachers have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hat do not correlate with their behaviors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is discrepancy between behavior and belief can ultimately result in conflict in the teaching-learning exchange. Therefore, researches of the teaching effectiveness should be focused on the study of teaching styles which are composed of teaching behaviors and beliefs. This article is aimed at conceptualize the criteria of teaching styles analysis which are logical teaching behaviors, strategic teaching behaviors, and teaching beliefs. As a result, the criteria of the teaching style analysis were suggested,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s and three elements within each dimension. These are the dimension of logical teaching behaviors(constructing of instructional contents, explanation, identification of contents attainment), the dimension of strategic teaching behaviors(motivation, questioning, management of learning behaviors), and the dimension of teaching beliefs(about learners,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