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주요 약수의 물맛 평가 및 지표연구

        구희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water tasting assessment of Korean mineral waters. Major mineral water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ports. Water quality and assessment of water taste of 50 water samples were done using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K- and O-indices). The water quality analysis results of 50 sites are as follows. 1. The composition of minerals and negative ion, 0.152 ~ 5.736 mg/L (Avg. 1.52 mg/L) of sodium, 0.646 ~ 50.50 mg/L (Avg. 6.44 mg/L) of calcium, 0.144 ~ 7.066 mg/L (Avg. 1.25 mg/L) of magnesium, undetected ~ 1.600 mg/L (Avg. 0.66 mg/L) of potassium, 1.988 ~ 18.92 mg/L(Avg. 7.79 mg/L) of silica and undetected ~ 27 mg/L (Avg. 2.45 mg/L) sulfate ion were detected, showing the water to be potable. 2. The composition of aesthetic materials, 5.27 ~ 8.42 (Avg. 6.54) of pH, 4.34 ~ 20.84 mg/L (Avg. 9.42 mg/L) of oxygen demand, 3 ~ 421 mg/L (Avg. 58.00 mg/L) of conductivity, 8.6 ~ 22.7 mg/L (Avg. 16.38 mg/L) of temperature, undetected ~ 5.6 mg/L (Avg. 0.93 mg/L) of consumption of KMnO4, 0.7 ~ 21.76 mg/L (Avg. 3.34 mg/L) of Cl- and 16 ~ 234 mg/L (Avg. 49.92 mg/L) of total solids showing the water to be potable. In addition to that, hardness was measured to be 4 ~ 147 mg/L. Hardness is an important element which determines the water taste. Hard water was found in one site and all other sites were found to be soft waters emerged during the overall process of analysis. 3. Water taste can be changed by several factors like minerals and aesthetic materials. Consequently,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K- and O-indices) can be obtained the value through those fa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tasty and healthy water index, the O- and K-indices were 0.81 ~ 51.29 (Avg. 11.13) and –0.23 ~ 17.33 (Avg. 4.17).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 mineral waters are generally tasty and 13 out of 50 are tasty and healthy water. However, for better taste and use of diverse parts of mineral water, evaluation of the water tasting assessment constantly be made through the water quality analysis.

      •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ies of Human Norovirus Outbreaks in Busan

        구희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5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최근 4년간 부산지역에서 2인 이상 발생된 식중독 사례를 대상으로 급성 위장관염 증상을 보인 환자 472건와 조리종사자 109건을 대상으로 Human norovirus의 유행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총 581건 중 71건 (12.2%)에서 Human norovirus가 확인되었다. 연도별 검출 현황은 2012년 18.3% (30/164건), 2013년 5.6% (6/107건), 2014년 8.0% (6/75건), 2015년 12.3% (29/235)으로 Norovirus 식중독에 의한 유병률은 2012년과 2015년이 가장 높았다. 월별 발생양상을 보면 2월에 20건 (28.2%)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11월 18건 (25.4%), 12월 12건 (16.9%) 순이었다. 또한 5월-8월에는 Human norovirus 감염 환자 발생이 없어, 비교적 추운 날씨에도 norovirus의 환경적인 저항성이 뛰어나 높은 검출율을 보이는 계절적인 특징을 나타내었다. 연령별 Human norovirus 발생 분포는 10세~19세의 검체가 269건으로 10대의 초, 중, 고등학생의 검체가 전체의 46.3%를 차지하였다. ANOVA 분석과 Scheffe 검정 결과로부터 Human norovirus 감염의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여러 연령대 중에서도 특히 10대를 위한 위생 교육 및 식중독 예방교육이 철저히 실시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Human norovirus의 genotype 분석 결과, GI genogroup은 GI.1형, GI.2형, GI.3형, GI.5형이 분포되었고, GII genogroup은 GII.1형, GII.4형, GII.5형, GII.6형, GII.17형으로 다양한 genotype이 분포되어 있었다. 연도별로 유전형은 2012년 GII.6형 (17건), 2013년 GII.6형 (3건), 2014년 GII.4형 (5건), 2015년 GII.6형 (18건)이 가장 우세했다. 그러나 이 시기는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GII.4형이 유행하고 GII.4의 variants가 출현하던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부산지역의 식중독으로 인한 Human norovirus 감염환자에서는 2014년을 제외하고는 2012년, 2013년, 2015년은 GII.6형이 꾸준히 우세한 genotype이었다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었다. 부산지역에서 현재 조리종사자로 근무하고 있으나, Human norovirus 감염의 전파경로가 될 수 있는 무증상 조리종사자의 감염에 대한 실태 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여,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무증상 조리종사자의 Human norovirus 감염실태 및 분자역학적 연구를 실시했다. 조리종사자의 분변 검체 총 2,174건 중 49건 (2.3%)에서 Human norovirus가 검출되었으며, 이 중 분리된 바이러스는 42건 (1.9%)이며 GI genogroup이 14건, GII genogroup이 28건으로 GII genogroup에 의한 Human norovirus 감염이 높았다. 월별 발생사례로는 1월 14건, 2월 15건으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3월, 12월에 각각 6건, 7건이 있었으며 6월, 8월, 9월, 11월에는 검출되지 않아 무증상 감염의 Human norovirus의 경우에도 norovirus의 계절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근무 업종별 조리종사자들의 Human norovirus 감염률은 학교, 기업체 등의 집단 급식소에서 근무하는 조리종사자의 1.5%가 무증상 Human norovirus 감염이었으며, 일반 음식점 등의 식품접객업에서 근무하는 조리종사자의 2.5%가 무증상 Human norovirus 감염임을 확인하였다. 유전자형 분석결과 GI genogroup에서 5종의 genotype, GII genogroup에서 6종의 genotype이 확인되어 무증상 감염자에서도 총 11건의 다양한 genotype을 확인되었다. 검출된 genotype중 GII.17형이 15건(36%)으로 월등히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GII.4형 7건(17%), GI.5형 4건(10%)순 이었다. 이의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검출된 GII.17 stains은 모두 Kawasaki323 strain과 98.4~99.1%의 염기서열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부산지역에서 2012년에서 2015년 사이의 식중독 발생시 가장 유행하던 GII.6형과 달리 무증상 감염인 조리종사자에서는 새로운 genotype인 GII.17형의 감염률이 높은 것이 특징적인 결과였다. 이는 부산지역 뿐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도 2014년 말 2015년 초부터 새로운 genotype인 GII.17형이 유행한다는 연구와 일치하였으며, 부산지역도 2015년부터 병원에 내원 및 입원하는 설사 환자 그룹에서도 Human norovirus GII.17형의 감염이 급증하는 결과와 유사했다. 또한 2016년도 부산지역 집단 식중독 사례에서 분리된 Human norovirus의 분자역학적 연구에서는 2012년도부터 2015년도 사이의 집단 식중독 사례들과는 달리 새로운 Human norovirus 유전형이 발견되었다. 2016년 3월 부산 소재의 D대학 A학과, B학과, C학과의 학생들 총 522명이 학교 인근 음식점에서 저녁식사를 한 후, 설사, 구토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발생하였다. 설사 등의 유증상 환자 및 해당 음식점 조리종사자에 대한 분변 검체를 수집하였다. 또한 환경적인 Human norovirus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음식점의 주방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품용수에 대한 채수도 진행하였다. 인체 검체 42건에서 Human norovirus 16건, Astrovirus 8건이 검출되었으며, norovirus의 경우는 GI, GII genogroup이 모두 검출되었으며, GI.3형, GI.4형, GII.4형, GII.13형, GII.17형, GII.21형으로 6가지의 다양한 유전자형 분포를 확인하였다. 특히, 특징적인 결과로써 Human norovirus 외에 Astrovirus도 함께 검출되었으며, Astrovirus의 경우 Type 5, Type 2의 genotype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다. Human norovirus와 Astrovirus가 복합 감염된 사례들도 3건 확인하였다. Human norovirus는 전세계적으로 GII.4형이 대유행하고 있고, 2015년부터 GII.17형도 출현하고 급격히 발생하는 연구 보고들과 비슷하게 본 연구인 2016년초인 집단 식중독 발생 Human norovirus 감염 환자에서도 GII.17형이 가장 우세한 원인 병원체였다. 또한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GII.17형의 stains은 모두 Kawasaki323 strain과 97.0~98.6%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Astrovirus로 인한 감염사례에서는 국내에서 우세하게 유행중인 유전자형이 Type 1인 것과는 달리 Type 5가 대부분 검출된 특징을 나타냈다. 특히, 본 연구에서 2016년도 발생된 집단 식중독 사례는 부산지역에서 Human norovirus와 Astrovirus가 식중독 발생의 공동 원인 병원체로 발견된 경우는 첫 사례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산지역의 식중독 발생으로 인한 환자, 장염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증상은 없지만 현업에 조리종사자로 근무하는 무증상 감염자의 각 그룹에서의 유행하고 있는 Human norovirus 발생의 유행양상에 대한 분자역학적 연구가 각각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Human norovirus에 대한 발생 양상을 예측하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향후 해외유입이나 새로운 변형된 유전자형 파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Human norovirus 감염을 조기에 탐지하고, 사회적 경제적 피해 예방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