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대처기술훈련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지연(Ji Yeon Park),구정훈(Jeong Hun Ku),조상우(Sang Woo Cho),정영철(Young Chul Jung),김재진(Jae Jin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대처기술훈련을 실시해 가상현실기법의 임상적용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찾고, 둘째, 앞으로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의 재발 예방, 치료,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에서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대처기술훈련 프로그램에 가상현실기법을 도구로 활용해 11명의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에게 총 6회에 걸쳐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대처기술 훈련을 실시했다.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에 갈망감 척도, 자기주장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존중감 척도를 자기보고식으로 평정하도록 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3개월 동안의 외래유지여부를 관찰했다. 분석은 사례 수가 적어 비모수 검정인 윌콕슨의 부호순위 검정 (Wilcoxen Singed Rank Test)을 사용했다. 그 결과, 참여 대상자들의 갈망감과 자기존중감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자기주장성,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외래유지여부도 총 54.55%가 외래를 유지하여 기존 선행연구의 보고보다 다소 높은 외래유지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과적으로 가상현실기법이 임상적용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의 재발예방, 치료,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임상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말한다. 하지만 갈망감이나 자기존중감에 대해서는 수정, 보완이 필요하고, 향후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전제로 효과성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근거하여 추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valuate the application coping skills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iques. Second is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linical social welfare program that can help relaps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coping skill training for Alcoholics of Severance Mental Health Hospital adding a virtual reality technique as a tool was conducted 11 Alcoholics throughout total of six session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a program, craving scale, Rathus Assertiveness Scale, self-efficacy scale, self-esteem scale were answered by their own report on pre-and post. And We had observed whether their Alcoholics were maintaining as outpatients for 3 months after last session. Because there are fewer cases, the data have been analysed by wilcoxen Singed Rank Test of SPSS for Window Release 12.0. As a result, Assertiveness, self-efficacy were changed significantly but craving, self-esteem were changed not-significantly. and 54.55% of patients were followed up as outpatients. That rat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report of leading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 the potentiality for clinical applications of virtual reality techniques, and the aptitude of clinical social welfare program that can help prevention of a relaps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However, the supplement, modification needs about self-esteem and craving. And A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is required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is result, the future challeng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상현실을 이용한 알코올 관련 자극이 음주 갈망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유경(You Kyung Choi),조상우(Sang Woo Cho),한기완(Ki Wan Han),구정훈(Jeong Hun Ku),정영철(Young Chul Jung),김재진(Jae Jin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7 No.-

        이 연구는 "가상현실기법을 활용한 음주 갈망감 유발 프로그램"을 알코올중독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음주거절훈련을 위한 전 단계로 가상현실을 통한 자극제시가 갈망감 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가상현실 자극은 알코올중독자들의 음주유발 상황으로 알려진 음주권유(사회적 압력)상황을 중심으로 알코올 노출 여부와 긍정적 상황·부정적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아바타가 등장하여 음주를 권유(사회적 압력)하는 상황과 알코올이 노출된 상황에서의 갈망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어떠한 형태로든 사회적 압력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나 기술을 실시하는 것이 알코올중독 치료와 예방에 꼭 필요하며, 이에 가상현실의 활용이 새로운 효과적인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가상현실 자극 중 긍정적 상황이냐 부정적 상황이냐는 변수는 갈망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갈망감을 느끼는 음주유발 상황이 개인마다 차이를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향후 대상자의 갈망감을 느끼는 감정적인 상황에 대한 사전분류에 따른 연구나 집단별 음주상활 특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imulation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stage ahead of training to refuse alcohol, arouses alcohol craving by implementing "a program that arouses alcohol craving through the utiliz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th regard to stimulation, it included alcohol exposure, a positive situation, and a negative situation on the basis of drinking encouraging situations (social pressure) known as drinking stimulating situations for alcoholic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raining programs to refuse alcohol and for the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s a new treatment and training tool for alcoholics. The analysis results(10 alcohol dependent patients) indicate that avatars encouraging drinking caused more craving than just the background, that the scenes with alcohol exposed caused more craving than the scenes with no alcohol exposed, a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to craving according to a positive or negative situ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raining sessions using virtual reality presented a situation and environment of drinking pressure that`s similar to the actual social pressure and that the virtual reality approach had enormous potential as an effective treatment tool when combined with the existing treatment techniques.

      • KCI등재
      •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적/행동적 특성평가를 위한 가상현실시스템 구현

        조원근 ( Won Geun Cho ),김호성 ( Ho Sung Kim ),구정훈 ( Jung Hun Ku ),김재훈 ( Jae Hun Kim ),김병년 ( Byoung Nyun Kim ),이장한 ( Jang Han Lee ),김선일 ( Sun I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03 춘계학술대회 Vol.2003 No.-

        정신분열병은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양성증상과 감정적 둔마와 같은 음성증상이 대표적인 사고장애로서 외부입력 정보를 통합하거나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 즉, 정신분열병 환자는 시각, 청각, 촉각 등의 자극을 종합하고 통합하여 인지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 인지 통합 모델(Brain Multimodal Integration Model)에 기반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을 제안한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지각, 인지,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은 환자에게 시각과 청각의 멀티모달 자극을 제시하여, 환자로 하여금 일정시간 동안 자극을 기억하고 처리하여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수행 결과를 통해 환자의 멀티모달 자극 통합능력 및 작업기억 통합능력, 네비게이션 능력을 평가한다. 임상연구를 통해 개발된 가상현실시스템을 WCST과 같은 기존 검사방법들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는데, 가상현실로 측정한 파라미터와 WCST의 파라미터 및 SPM 점수 사이에 매우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 가상현실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ave thinking disorders such as delusion or hallucination, because they have a deficit in the ability which to systematize and integrate information. therefore, they cannot integrate or systematiz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In this study, we suggest a virtual reality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cognitive ability of schizophrenia patients, based on the brain multimodal integration model. The virtual reality system provides multimodal stimuli, such as visual and auditory stimuli, to the patient, and can evaluate the patient``s multimodal integration and working memory integration abilities by making the patient interpret and react to multimodal stimuli, which must be remembered for a given period of time. the clinical study showed that the virtual reality program developed is comparable to those of the WCST and the S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