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천 대천리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구자진(Koo, Ja-Jin) 한국상고사학회 2005 한국상고사학보 Vol.47 No.-

        옥천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를 통해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장방형)의 구조 및 생계방식, 생활상에 대한 복원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 내부에서는 화덕자리와 저장구덩을 비롯하여 많은 기둥구멍이 조사되었으며, 이들 기둥구멍과 내부시설의 위치를 검토해 본 결과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계획된 설계와 측량을 통해 집을 지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천리 집자리는 맞배지붕의 세마루(3량)구조에 해당하는 지붕형태로 복원하였으며, 벽체와 지붕이 분리된 구조를 띤다. 대천리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내부를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발전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대천리 집자리와 동일한 구조를 띠고 있는 신석기시대 집자리가 대전 관평동 유적을 비롯하여 청원 쌍청리, 보령 관창리 유적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이러한 집자리를 「대천리식 집자리」로 그 성격을 설정하였다. 대천리 집자리의 구조를 통해 내부공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각 공간의 규모와 내부시설 및 출토유물을 통해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으로 나뉘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활공간과 부속공간은 칸막이기둥으로 나뉘어지며, 생활공간은 다시 취사·난방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작업공간)과 휴식이나 잠자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 공간(거실공간)으로 세분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부속공간은 저장구덩과 출토유물(갈판, 갈돌, 숫돌, 뒤지개류, 대형의 민패토기)으로 판단할 때, 곡물을 가공하거나 갈무리하는 장소로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 중에는 내부시설과 기둥구멍 배치의 정형성으로 보아 집자리 내 공간을 분할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공간의 활용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의 기능이 분담되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국 신석기시대 장방형 집자리는 대부분 기원전 3,5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신석기시대 후기를 거쳐 청동기시대 전기의 (세)장방형 주거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그동안 관심의 대상이었던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전환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focused on clarifying the dwelling site's function analysing the structure and the excavated remains from the Daechon-ri Neolithic dwelling site. We found that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the living condition can be restored since interior facilities and post-holes of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have been well preserved. The dwelling site has become restored as having a rectangle plan with gabled roof. The wall is known as being exposed on the earth and the roof distanced from the earth, also. And the living space and the attached space are seen to have been separated in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dwelling site. Moreover, the living place seems to have been divided as two spaces;the working spa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 the living space for resting and sleeping. Another example excavated at Gwanpyeong-dong(官坪洞), Daejeon(大田) showed the same style of dwelling, so those sites of the same style were named as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大川里式 住居址), which is marked by the distinctive interior division structure and the popped out oval pit. In addition to the Daecheon-ri Neolithic dwelling site, structure and the remains of a number of Neolithic dwelling sites excavated in inland and souther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it is ascertained that the interior space of a dwelling site was divid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difference, and accordingly the remains from a dwelling site showed difference in subsistence strategy. The Neolithic rectangular dwelling site had begun to appear after 3,500 B.C., and lasted throughout Neolithic period, and succeeded into the long-rectangular dwelling site of Bronze Age. Therefore it is regarded as an important material in solving the conversion process from the Neolithic to the Bronze Ages..

      • KCI등재

        新石器時代 帶狀反復文土器에 대한 檢討

        구자진(Koo Ja Jin)(具滋振)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9

        최근 금강 하구의 군산 노래섬과 가도 유적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 중 ‘대상반복문토기’로 명명된 토기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주목된다. 대상반복문토기는 지금까지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남해안지역까지 그 출토 예가 확인되고 있어 남해안지역과 서해안(중서부지역) 간의 교류 및 상호 시기적인 선후관계를 밝힐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대전 노은동 유적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는 충청내륙지역에서 지금까지 확인된 예가 없으며, 금강 하구의 노래섬이나 가도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대상반복문토기는 연대와 계통문제에 있어 서로 상반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견해 차이는 대상반복문토기의 계통을 어디로 보느냐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그러나 대상반복문토기에 대한 계통문제를 논의하기에 앞서 대상반복문토기의 설정범위에 대한 검토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 기존에 인식하고 있지 않던 금탄리 Ⅱ 문화층과 대전 노은동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는 빗살무늬토기를 첨가하여 하나의 세부양식을 더 설정하였다. 대상반복문토기에 대한 연대비정은 각 유적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을 통해 살펴본 결과 대상반복문 Ⅰ 식과 Ⅱ 식은 기원전 3,500년을 중심으로 양분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상반복문토기는 기원전 4,000 ∼ 2,000년에 걸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반복문토기가 한반도 중서부지역 중기 설정의 근거로 활용되가에는 다소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나 대상반복문 Ⅰ 식토기는 기원전 3,500년 이전에 집중적으로 출토되고 있어 중서부 지역의 신석기시대 교차편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상반복문토기는 Ⅰ 식 Ⅱa식 Ⅱ b식으로의 변화를 상정해 볼 수 있으며, Ⅰ 식에서 Ⅱ 식으로의 변화는 기원전 3,500년을 시점으로 급격하게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Ⅱ a식과 Ⅱ b식은 약간의 시기적인 차이가 존재하지만 지역적인 차이도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대상반복문 Ⅱ a 식토기는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출토되고 있으며, Ⅱ b식은 대동강유역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양상은 대상반복문토기 뿐 아니라 신석기시대 빗살무닉토기와 석기, 집자리, 생계방식, 기후의 변화 등 여러 가지 변화양상과 함께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Lately, It is remarkable that it is in debate about the earthen vessels which given a name to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among the Bowls with comb pattern which excavated in the Norae-Island of Kum river and Gado-Island. Till now, There arc some precedents of the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which are being confirmed, centering around the western coast to the southern coast, it s also being valued the material which can be proved interchange and a mutual former-latter relation of time between the southern coast and the western coast(middle-western) Bowl with comb pattern excavated in Kado-Island shellmiddens is no precedent to present. and it s similar to vessels excavated in Norae-Island and Gado-Island. The opposed opinion is presented about an age and lineage problem of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This gap between views is getting different as seeing where they regard the lineage of it. But before debating the lineage problem of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it judging that the scope of the establishment of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has to be examined. a detail form was set by addition Bowl with comb pattern excavated in Kado-Island shellmiddens and Gumtanri II culture layer which weren t recognizeJ before. I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rough Radiocarbon dates. a comparative period decision of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repeating belt patterns I and II are being separated into two parts centering around B.C 3500.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are judged to exist extending over B.C 4,000 ~ 2,000.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hardly seem to use as the reason of setting up the middle of middlewestern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but repeating belt patterns I are being excavated all at one time before B.C 3,500. therefore. They will be useful on the Cross daing and seriation of Neolithic age of midwestern area. and it can be assumed to change into repeating belt patterns I, II a and II b, it seemed to change suddenly from B.C 3,500 as the beginning. Between II a and II b exist a time lag. This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II a it is excavated in the Gum-river. and II b is excavated in the Daidong-river. Like this change has Neolithic age bowl with comb pattern. Stone tools. and Dwelling site. Subsistinece economy. Dimatic ... so it is advanced with Vessels with repeated belt patterns.

      • 嶺東地域 新石器時代 집자리 硏究

        具滋振 ( Koo Ja-jin ) 중부고고학회 2007 강원고고학보 Vol.10 No.0

        영동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은 양양 오산리 유적의 발굴조사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이후 유적의 조사 예가 매우 드물어 집자리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하였다. 그러나 최근 다수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이 조사되면서 집자리에 대한 초보적인 검토가 이루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영동지역의 신석기시대 생활상 복원에 가장 중요한 집자리 유적을 상대편년을 통해 분기별로 구분한 후, 집자리의 구조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상대편년은 무문양토기, 오산리식토기, 융기문토기가 출토되는 유적을 Ⅰ기로, 지경리 유적을 대표로 하는 빗살무늬토기가 출토되는 유적을 Ⅱ기로 분류하였다. 유적의 입지나 출토유물에 있어 Ⅱ기 유적보다 후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고성 철통리 유적은 Ⅲ기로 분류하였다. Ⅰ기와 Ⅱ기의 분기설정에 따른 절대연대는 기존의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토기편년의 연구성과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을 통해 볼 때, 기원전 3,500년을 전후한 시기로 나눌 수 있으며, Ⅲ기는 기원전 3,000년을 전후한 시기로 구분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영동지역에서 조사된 신석기시대 유적은 대부분 사구지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중 Ⅰ기 유적은 사구지대가 시작되는 구릉 가까운 지역, Ⅱ기 유적은 사구지대의 중간이나 Ⅰ기 유적 상층에 위치한다. Ⅲ기 유적은 구릉지대에 입지하고 있어 시기에 따른 집 자리의 입지선정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입지양상의 변화는 청동기시대 집 자리로 이어지는데, 영동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은 모두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구조 중 평면형태는 전체적으로 원형→방형으로의 변화가 간취되며, 화덕자리 구조는 돌 두름식(圍石式)→구덩형(土城形)으로의 변화를 상정해 볼 수 있다. 화덕자리는 시기와 관련 없이 대부분 집자리의 중앙에 위치하며, Ⅰ·Ⅱ기에는 주로 원형과 방형의 형태가 주류를 이루다가 Ⅲ기에 이르면 원형으로 정형화되고 있다. 기둥구멍은 Ⅰ·Ⅱ기에 불규칙하거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Ⅲ기에 이르면 4주식 혹은 2주식으로 정형화되어 간다. 대부분 집자리가 사구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바닥은 점토다짐을 한 것이 주류를 이루나 일부 모래, 점토+불다짐, 생토 등이 확인된다. 결국 영동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주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구조 및 입지에 있어 상이한 면이 확인되는데, 이는 생계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영동지역은 석호와 동해, 태백산맥에서 뻗어 나온 나지막한 구릉지역의 3가지 주변 경관을 통해 어로를 중심으로 한 수렵·채집 및 초보적인 농경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The remains of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located at Yeongdong district have been known to the public through the excavation survey on the remains at Osan-ri, Yangyang. Since then,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work on the Neolithic age dwelling site at Yeongdong district with the trend of rare surveys on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However, with a lot of recent surveys on remains on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which led to a rudimentary examination of dwelling site,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the dwelling site at Yeongdong district, which are the most vital to the restoration of the living pattern during the Neolithic age, by sectioned period through relative chronological recording. First, tins researcher classified the relative chronological recording of dwelling site in the Neolithic age into the First Unit where non-patterned earthenwares, Osanri-typed earthenwares and protruded-pattern earthenwares are excavated, and Second Unit where tooth-comb pattern earthenwares are digged out with the remains located at Jigyeong-ri as a representative. Also,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remains at Cheoltong-ri, Goseong, which are judged to be preceded by the remains belonging to the Second Unit at a viewpoint of the general location of remains or excavated remains, into the Third Unit. The absolute period subsequent to unit-branch setup of the First Unit and Second Unit, at a viewpoint of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chronological recording of the Neolithic age earthenwares at Yeongdong district and radiocarbon dating-based estimated value, could be divided into the period before or after 3,500 B.C. and the Third Unit could be possibly divided into the period before or after 3,000 B.C.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age surveyed at Yeongdong district up to now are mostly located at sand hill areas, among which the First Unit remains are located near hill areas where sand hill areas begin, the Second Unit remains are located m the middle of the sand hills or upper layers of the First Unit remain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selection of location for dwelling site subsequent to a period m that the Third Unit remains are situated at hilly areas. Such a change of locational aspects was linked to the Bronze age and the Bronze age remains at Yeongdong district are all located at hilly areas. The plane form out of the Neolithic age dwelling site structures is judged to be changed to a square from a circle and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structure of a site for a fireplace was changed into earth-digging type from propped stone-surrounding method. The site for a fireplace are mostly at the center of the dwelling site regardless of a period and the circular and square forms were mostly used in the First and Second Unit, and then the form of a fireplace got standardized into a circular form in the Third Unit. There were almost no holes for a pole or irregularly made if it existed in the First and Second Unit, but the hole became standardized as 4-hole-method or 2-hole-method in the Third Unit. Most of the dwelling site are located at sand hill areas, so the bottom of a dwelling site was mostly clay-compacted, but sand, clay mixed with fire-compacting and fresh soil were discovered in some bottoms of a dwelling site. Conclusively, the dwelling site of Yeongdong district in the Neolithic age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its neighboring areas in the Neolithic age in a dwelling site, its structure and location, which is judged to be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living. Particularly, it is assumed that hunting, collecting and rudimentary farming was done centering around fishing routes through the three surrounding environs, such as lagoons, the East Sea and flat hilly areas stretching from the Taebaek Mountains at Yeongdong district.

      • KCI등재

        서·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 의미

        구자진(Koo Ja Jin)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8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에서 확인된 집자리는 조개더미 유적 수에 비 하면 극히 일부에서만 확인되었다. 대부분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은 지표조사를 통해 유적의 분포만이 확인되었을 뿐 발굴조사를 통해 유적의 성격이 밝혀진 예가 많 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유적이라도 실제 집자리가 존재 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발굴조사 방법의 한계상 집자리 유적을 판 별하지 못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조개더미층 내에 존재하였던 집자리라도 유적 의 특성상 후대의 재퇴적 및 교란에 의해 유실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우리나라 서·남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에서 집자리가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에 집자리가 확인된 조개더미 유적을 중심으로 집자리의 구조와 특 을 살펴보고, 이들 조개더미 유적과 집자리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신석기시대 조개 더미 유적을 재검토해보았다. 결국 서·남해안지역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는 지역별로 조금씩 다른 역할을 하였 던 것으로 생각된다. 서해안지역은 대부분 생토층에 집자리가 조성되어 있는 점과 주 변지역의 지형과 조개더미 유적의 입지양상을 통해 조개더미 유적을 형성했던 마을 (집자리)은 조개더미 주변지역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조개더미 유적의 퇴 적양상과 출토 유물을 통해보면, 남해안지역의 조개더미 유적보다 상대적으로 지속기 간이 길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개더미 유적을 한정행위장소나 가공유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고 생각된다. 남해안지역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는 대부분 조개더미층 내에 조성되어 있으며, 조개더미 퇴적층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서해안지역보다 깊고 오랜 기간 퇴적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조개더미가 형성된 유적의 해발고도가 서해안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데, 이는 당시 신석기인들의 생계양식과 관련하여 남해안지역의 신석기인들은 해안가 와 인접한 지역에서 조개류의 채취 및 처리가 이루어졌으며, 서해안지역의 신석기인 들은 해안가보다는 거주지(마을)에 가까운 곳으로 이동 후 처리 및 폐기하여 나타나 는 현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남해안지역에서 구릉지역이나 충적대 지에서 신석기시대 마을 유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동삼동 유적과 같은 조개 더미 유적이 당시 주변지역을 아우르는 거점지역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나타 나는 현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number of dwelling sites found in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is remarkably fewer than the number of shell middens known. For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the distribution of historic sites was found only through surface surveys. There were a few cases wher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historic sites were found through excavations. Even those historic sites excavated didn t contain actual dwelling sites and the limitations of excavation might prevent such dwelling sites from being found. In addition, shell mound dwelling sites might disappear due to post-depositional processes and disturbance. Nonetheless, dwelling sites in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have been found across the south-west coastal areas of Korea. Therefore, focusing on those shell middens found with dwelling sites,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dwelling si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mounds and dwelling sites were examined in the review of shell middens of Neolithic age. It seems that excavated shell midden dwelling sites on the south-west coast played different roles depending on each area. For the west coast, dwelling sites were formed on soil horizons and villages were more likely to be created around shell mounds when the topography of neighboring areas and the location of shell middens is conside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xcavated artifacts and shell midden deposit patterns, historic sites across the west coast disappeared more quickly than those across the south coast. However, shell middens found in the west coast are not regarded as merely limited activity stations or processing sites. Shell midden dwelling sites on the south coast were formed in shell mounds, and deposits are relatively deeper and older than those of the west coast. In addition, the altitude of historic sites formed with shell mounds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west coast. This is because people living on the south coast during the Neolithic age gathered and processed shellsin areas close to the coast while people living on the west coast processed and disposed of shells after moving them to their residences instead of on the coasts. Villages of Neolithic age haven t been found so far in hills or alluvial plains across the south coast because shell middens, such as the historic sites of Dongsam-dong played the role of stronghold encompassing neighboring areas.

      • KCI등재

        大田 屯山 新石器遺蹟의 再檢討

        Koo Ja Jin(具滋振) 한국신석기학회 2012 한국신석기연구 Vol.- No.24

        둔산 유적의 신석기시대 움구덩은 조사당시까지 이와 유사한 신석기시대 유적이 조사된바 없어 유적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에 다수의 움구덩과 많은 양의 빗살무늬토기편이 수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비롯한 자연과학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기와 성격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아쉬움도 남는다. 이에 본고에서는 주변지역 신석기시대 유적 출토 유물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둔산 유적의 상대편년과 성격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대전지역을 비롯한 충청내륙지역에서 다수의 신석기시대 유적이 조사됨에 따라 이들 유적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과 출토 빗살무늬토기 등에 대한 비교를 통해 둔산 유적의 상대편년을 검토해 보았다. 둔산 유적은 빗살무늬토기의 출토양상이 아산 장재리와 성내리 유적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아 기원전 3,500~3,000년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둔산 유적 움구덩의 입지, 구조, 빗살무늬토기와 석기 등의 출토유물 양상과 주변지역의 신석기시대 유적들과의 분석을 통해 움구덩의 성격을 추론해 보았다. 우선 둔산 유적의 움구덩이 계절적 사용을 위한 간이집자리인지, 만약 간이집자리가 아니라면 저장구덩이 또는 수렵을 위한 함정유구로서 가능성이 없는지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둔산 유적의 움구덩은 보고자가 언급한 신석기시대 계절적으로 반복 사용된 짧은 점유기간을 가진 간이집자리나 저장시설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둔산 유적 움구덩은 구릉지역의 정상부와 사면에 비교적 열상의 군집양상을 보이고 있어 당시 수렵과 관련된 유구일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유적에서 출토된 멧돼지 이빨을 통해 멧돼지 사냥을 위한 수렵함정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둔산 유적의 움구덩이 신석기시대에 조성된 것이 아니라면,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 단계의 저장시설일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Recently, a number of sites of the Neolithic Age in the Chungcheong inland areas were investigated. Dunsan sites and the sites of comparison through the relative chronology. Dunsan sites are very similar potte1y with lightning design the Asan of seongnaeri and jangjaeri sites. Should Dunsan sites composition as 3,500 BC to 3,000 years. The pit remains of Dunsan sites occupied seasonally repeated use of the Neolithic Age short period with extra house-digit or storage facilities likely to be small. The pit remains in the hilly regions of the summit and on the slopes are crowded. This time, hunting and associated remains,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hunting for wild boar hunting, wild boar teeth excavated is estimated as a trap. If not storage facilities is also the possibility Bronze Age Songguk-riculture that is pit remains of Dunsan sites are Neolithic Age composi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지역권설정과 변화양상

        구자진(Koo Ja Jin) 한국신석기학회 2007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3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구조와 특징, 변화양상을 검토해 본 결과, 기존의 빗살무늬토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편년과 지역권설정은 좀 더 세분화 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두만강유역, 압록강유역, 대동강·황해도지역, 한강·임진강유역, 중동부지역,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 중부 서해안지역, 남부내룩지역, 남해안 지역의 9개 지역권으로 구분되며, 각 지역별·시기별 특징과 변화양상이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크게 Ⅰ기~Ⅲ기의 3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며, Ⅰ기는 기원전 6,000년~기원전 3,500년, Ⅲ기는 기원전 3,500년~기원전 3,000년, Ⅲ기는 기원전 3,000년~기원전 2,000년을 하한으로 분기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분기설정 중 Ⅰ기는 집자리 유적의 증가에 따라 세분될 가능성 높으며, Ⅰ·Ⅱ기로 양분한 중서부지역의 경우도 추후 자료의 증가에 따라 Ⅱ기의 경우 Ⅱ기와 Ⅲ기로 세분될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까지 확인된 집자리의 특징과 절대연대측정값을 통해서는 드러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유사성이 확인되고 있는데 , 두만강 유역과 중동부지역에서는 양 지역의 Ⅰ기 집자리에서 평면형태, 규모, 화덕자리의 위치 및 바닥처리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Ⅱ·Ⅲ기 집자리에서도 평면형태의 변화, 화덕자리의 구조 및 위치에 있어서도 유사성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대동강·황해도지역은 한강·임진강유역의 동시기인 Ⅰ기에 평면형태, 규모, 출입구시설, 저장구덩 등의 구조에 있어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Ⅱ기는 금강유역과 평면 형태(장방형 집자리가 하나의 형식으로 정립)나 구조에 있어 공통점이 발견되는데, 남부내륙지역과 압록강유역의 동 시기에도 통일한 양상을 보인다. 한강·임진강유역과 중부 서해안지역은 시기를 달리하여 평면 형태와 기둥구멍 배치에 있어 공통점이 발견되나 화덕자리의 구조와 유적의 입지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집단의 이주 및 확산에 따른 결과인지? 아니면 중부 서해안지역에서 아직 Ⅰ기에 해당하는 집자리 유적의 조사가 미비하여 나타나는 현상인지는 추후 자료의 증가를 기다려 보아야 할것 같다. 중부 서해안지역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은 동시기에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 ‘서해안식 집자리’ 와 ‘대천리식 집자리’가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동시기 집단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금강유역과 남부내륙지역은 집자리의 평면형태, 규모, 화덕자리의 구조와 위치·형태 등이 동일한 양상을 보여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파악되는데, 집자리의 내부구조와 입지에 있어서는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남부내륙지역의 ‘송죽리식 집자리’는 출입구시설과 내부공간분할, 구릉상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대천리식 집자리’와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집단의 생계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동일집단의 집자리 형태로 보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Study of the dwelling sites in the Neolithic of the Korea in terms of their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made it possible to segment further existing area selection of casement and chronological recording performed around existing comb-pattern pottery. In Neolithic, there were nine area selection dwelling sites in Korea: The Tomen Basin, The Yalu Basin, the Daedong River and Hwanghae Province,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Middle East, the Geum River Basin (interior of Chungcheong), Mid West Coast, Southern Interior and South Coast. Properties and change patterns for each area of different times were identified. The Neolithic of Ko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I through III. Period I ranged from 6,000 to 3,500 B.C., Period from 3,500 to 3,000 B.C., and Period III from 3,000 to 2,000. I have a high possibility to be segmented further as more dwelling sites are discovered. The mid western area, which is divided into I and II, can be segmented into II and III further, but there has been no supporting data from dwelling sites and absolute dating method. There are some similarities in the dwelling sites in each area of each period of the Neolithic. In the Tomen Basin and Middle East, similarity was found in the horizontal shape, the location of stove site and the floor finishing. The same is also found in the dwelling sites in Period II and III. The Daedong River and Hwanghae Province area has close connection with Period I of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in the horizontal shape, scale, door system and storepit. It has similarity with Period II of the Geum River Basin in terms of horizontal shape (one unit of rectangular dwelling site) or structure, which can also be found in Southern Interior and the Yalu Basin. The Han and the Imjin River Basin and Middle West Coast have similarity in the horizontal shape and the layout of pillar holes, but differ in the structure of stove site and location of the remains, which is worth of noting. It still remains to see whether it is the result of collective movement and expansion or it is because research into the dwelling sites for Middle West Coast for Period I is not enough until more data is collected. Middle West Coast and the Geum River Basin(the interior of Chungcheong) have West coast type dwelling site and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originated in the same period, bu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is reflects the difference in the contemporary groups. Tile Geum River Basin and South Interior have similarities in the horizontal shape, scale, the structure, location and shape of stove sites, which suggest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m. But they differ in the inner structure of dwelling site and location. In particular. the Songjuk-ri type dwelling site in the South Interior is different from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has separate doors. iniernal partition and location along the hill. Such difference has to do with lifestyle of each group. which cannot be seen as a dwelling site for the same group.

      • KCI등재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구자진(Koo Ja Jin)(具滋振) 한국신석기학회 200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1

        As the recent expansion of the Neolithic dwelling ite in the middle west coast area and Chungcheong area, the progressive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hases of Neolithic dwelling site of middle west area became available. The chronological recording and area selection based on the comb patterned earthenware of the middle west area is judged to be available. Therefore, it was classified into 4 areas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Daedong River / Hwanghae-do area, Han River / Imjin River valley, Geum River valley (Chungcheong inland area), and West Coastal area. The Neolithic dwelling site in the middle west area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based on 3,500 BC. As a result of reviewing Neolithic dwelling site according to area and period, the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pha e could be confirmed. The first period of Daedong River / Hwanghae-do area is sought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Han River/ Imjin Rivervalley and the second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Geum River valley. Han River / Imjin River valley was proved to be related constantly in different period on the form of plain and disposition of pillar whole excluding the structure of stove remains. Geum River valley was mostly consisted of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 which is clearly distinctive with other areas. In contrast, West Coastal area shows diff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other types of house remains in Neolithic Age which is defined as West Coast type dwelling site . Especially, in Ahsan area, the dwelling site of the West Coast and Daecheon-ri type coexist which could be assumed to be a borderline area between both area West Coastal area and Geum River valley and it is sought to provide diver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reas and lifestyle. 최근 충청지역과 중부 서해안지역에서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이 증가하면서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특징과 전개양상에 대한 진전된 논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중서부시역은 기존의 빗살무늬토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편년과 지역권 설정이 집자리의 구조와 변화양상의 검토를 통해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지형적 특징을 고려하여 대통강 · 황해도지역, 한강 · 임진강유역,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 서해안지역의 4개의 지역권으로 구분하였다.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크게 기원전 3,500년을 중심으로 I 기와 Ⅱ 기로 분기설정이 가능하며, 각 지역별 · 시기별 집자리를 검토해 본 결과 집자리의 특징과 변화양상이 확인되었다. 대동강 · 황해도지역 I 기는 한강 · 임진강유역 I 기, Ⅱ 기는 급강유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한강 · 임진강유역은 서해안지역과 시기를 달리하여 집자리의 화덕자리 구조를 제외한 평면형태나 기둥구멍 배치 등 일정한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금강유역은 다른 지역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대천리식 집자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서해안지역도 다른 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다른 구조적인 특징을 보이고 있어 ‘서해안식 집자리’로 설정하였다. 특히 아산지역은 서해안식 집자리와 대천리식 집자리가 공반하고 있어 이들 양 지역(서해안지역과 금강유역)간의 점이지대로 판단되며, 추후 양 지역 집단간의 교류 및 생계방식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초당동 유적을 통해 본 중부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에 대한 검토

        구자진(Ja-Jin Koo) 중앙문화재연구원 2023 중앙고고연구 Vol.- No.40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에 해당하는 유적은 그동안 양양 지경리 유적 외에 뚜렷한 조사 성과가 없었는데, 초당동 유적이 발굴조사 되면서 세부적인 검토가 가능해 졌다. 초당동 신석기유적은 신석기시대 중기에 형성된 마을유적으로 토기 및 석기 뿐 아니라 집자리를 포함한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어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빗살무늬토기를 중심으로 편년 설정과 중기문화가 성립하게 된 배경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양양 지경리 유적의 발굴조사 결과로 인해 중부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 빗살무늬토기는 중서부지역 구분문계 빗살무늬토기의 영향으로 성립되었으며, 후반에는 남부지역 전통의 구연부 집선문계 빗살무늬토기가 중심을 이루는 가운데 동북지역 계통의 토기들도 소량 출토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초당동 신석기유적의 출토 유물을 분석해 본 결과, 빗살무늬토기의 구연부 문양을 중심으로 보면 단사선문이 주류인 경우와 집선문(능형, 삼각, 제형 등)이 주류인 경우로 구분된다. 초동당 신석기유적에서는 후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강릉 하시동, 방동리, 안인리 유적의 경우에는 전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약간의 차이점이 확인된다. 또한 야외 화덕시설이 확인된 유적은 횡단선문, 사단선문 등의 빗살무늬토기가 주로 출토되고 있어 초당동의 야외 화덕시설은 신석기시대 중기보다는 후~말기에 집중적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당동 신석기유적은 중기에 다수의 집자리와 함께 야외 화덕시설을 갖춘 비교적 큰 규모의 마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석기시대 중기의 초당동 유적은 현재까지 확인된 유구로 판단할 때, 경포호 남쪽의 허균-허난설헌 유적 주변이 중심 거주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신석기시대 후~말기에는 제1사구지대 전반에 걸쳐 야외 화덕시설 등을 설치하여 이용하였으나, 중기에서처럼 동지역에서의 정주를 통한 유적 점유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The remains of the middle Neolithic age in the central east coast area had no clear results other than those of Jigyeong-ri, Yangyang. With the excavation of Chodang-dong site, a detailed review of the middle Neolithic age became possible. In Chodang-dong Neolithic site, comb-patterned pottery, stone tools, dwellings, and Open-Air Hearth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of the Neolithic age in the central east coast area focused on the chronology an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iddle Age culture through comb-patterned pottery. The middle Neolithic age of the central east coast area was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comb-patterned pottery in the Midwest area. Later, it was thought that comb-patterned pottery, which had the traditional of the southern area was excavated.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Neolithic site in Chodang-dong. As a result, the lip pattern of the comb-patterned pottery is divided into a single thread and a zip line pattern. Most of the Neolithic site in Chodang-dong are the latter. Some of the site of Gangneung are the former. Comb-patterned pottery engraved with short horizontal and slanted gat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remains of Open-Air Hearths. The Open-Air Hearths of Chodangdong site was intensively used in the late Neolithic age rather than the middle. Chodang-dong Neolithic site was a large village with many dwellings and Open-Air Hearths in the middle of the Neolithic Age. In the middle Neolithic age, Chodang-dong site were the residential area south of Gyeongpo Lake. Afterwards, in the late Neolithic age, an Open-Air Hearths was installed throughout the first sand dune area. However, he lived in Chodang-dong site and did not use Open-Air Hearths.

      •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의 연구 성과와 과제

        구자진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고고학지 Vol.21 No.-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는 1950년 북한에서 발굴 조사된 궁산 유적이 그 시발점이 된 이래 6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중요 집자리 유적의 발굴, 집자리(마을)에 관한 연구주제의 변화 등을 기준으로 하여 연구의 시작(해방 이후~1974년), 연구의 본격화(1975~1990년), 연구주제의 다양화(1991년~)로 구분하였다. 해방 이전에도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대부분 일본인 학자의 간단한 조사와 연구에 의존한 것으로 개인적 차원에 가까운 자료 수집에 불과하였다. 남한과 북한에서의 연구 성과는 1970년대를 기점으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초창기에는 유적 소개와 그에 따른 간단한 견해를 덧붙인 글이 주류였으며, 이후 1990년대 이전까지는 신석기시대 편년에 대한 연구가 주로 논의되었다. 신석기시대 집자리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집자리 구조에 대한 검토와 움집의 복원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다. 1990년대 이후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 유적에 대한 조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주제의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2000년대 들어서면서 대규모의 신석기시대 마을 유적이 조사되면서 개별 집자리에 대한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마을단위 연구로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신석기시대 생계·주거방식에 대해서도 진전된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결국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 연구는 최근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인 연구의 장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던 암사동, 송죽리, 상촌리 등의 조사 보고서가 근래 완간되었고, 그동안 조사 예가 많지 않았던 신석기시대 마을 유적이 최근 몇 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굴 조사되어 보고서가 발간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더불어 최근 조사된 집자리 유적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어 당시의 생계경제 연구에 있어 다양한 검토가 가능하게 되었다. The research on the dwelling sites of the Neolithic Ag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first carried out in Gungsan Village, Oncheon-gun, Pyeongannam-do, North Korea in 1950. This paper divided the relevant research period into three sections: initial period (the country’s liberation in 1945-1974), invigoration period (1975-1990), and research themes diversification period (1991-present) based on the excavation of (or reports on) major dwelling sites and the changes in themes of the relevant research. Pertinent materials were accumulated, ev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but they were mostly results of brief surveys or research made individually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initial period, an introduction to the relevant sites and the researchers’ brief comments constituted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activities. The research then focused on the dating of specific periods of the Neolithic Age until the 1990s. Results of the relevant research made in the two Koreas have shown a clear difference since the 1970s. The research on the dwelling sites of the Neolithic Age came to be carried out earnestly in the mid-1970s and thereafter. Initially, researchers focused on the reviews of the dwelling site structures and the restoration of the dugouts. In the 1990s and thereafter, more surveys were made on the dwelling and village sites of the Neolithic Age, and this led to research and analysis in diverse subjects. In the 2000s and thereafter, the research has been focusing on villages rather than individual dwelling sites after the discovery of large-sized village sites from the Neolithic Age. The continued research has been yielding progress on the dwelling types of the Neolithic Age and how the inhabitants made a living. Only recently has the research on the dwelling sites and villages of the Neolithic Age gained strong momentum. Reports on key dwelling sites located in Amsa-dong in Seoul, Songjuk-ri in Gimcheon and Sangchon-ri in Jinju were published. Intensive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village sites of the Neolithic Age over the past few years, and their reports have recently started to be published. Simultaneously, analysis of the diverse aspects related to the dwelling sites is being made, making it possible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livelihood-related economy of the said Age from diverse perspectives.

      • KCI등재

        1983年度 分期別 馬山灣 沿岸海水 變化에 關한 硏究

        李鍾泰,具滋珍 대한보건협회 1984 대한보건연구 Vol.10 No.1

        This study was seasonal variation of biological and heavy metal contents in seaside water along the Masan, Changweon and Jin hae area, water analysis was undertaken at 5 sites surrounding Masan, Changweon and Jin hae seaside area, for 4 times from March to December in 1983.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s annual value pH was showed 6.95―8.2. 2. The four season analysis results were 4.3―11.8 ppm DO, 1.2―24.8 ppm COD, 4.3―16.6 ppm BOD, 11―48.0 ppm SS, 6―267 ppb Pb, 0―99.8 ppb CD, 0.007―2.062 ppb NH_3―N, 0.01―0.424 ㎎/l No_2―N, 0.016―0.626 ㎎/l PO_4―P respectively. 3. Hg, Zn, Cr^+6 were not appeared. 4. Cl was much appeared through the whole year. 5. Coliform bacteria was much showed as sewage. 6. Worst water condition was showed at summer s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