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업성공요인

        구인순(Ku In-Soon),정민예(Jung Min-ye),유은영(Yoo Eun-Young),이재신(Lee Jae-Shi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근로자의 일반적ㆍ직업적 특성에 따른 직업유지기간을 분석하여 직업성공요인을 알아보고, 장애등급별로 직업성공요인을 비교ㆍ분석하여 지적장애근로자의 효과적인 직업재활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5년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을 통해 취업한 지적장애근로자 중 지원취업 및 자립취업을 제외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 직접 실시한 알선취업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대상자는 총 4,932명이였다. 직업유지기간이 6개월 이상인 집단을 직업성공군으로, 직업유지기간이 6개월 미만인 집단을 직업실패군으로 분류하여 직업성공요인으로 영향을 미친 일반적ㆍ직업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기술적 통계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직업유지기간에 따라 직업성공군과 실패군으로 나누어 집단 간에 일반적 특성과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직업성공 분포도를 분석하였으며, 직업성공 분포에 따른 일반적 특성 분포와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x²검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성공에 따른 중요한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가장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업성공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요인으로 직업유지기간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사업장 규모, 평가실시 유무, 적응지도경험이었으며, 장애등급별로 차이가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employment success factors by analyzing the employment period depending on general attributes and job-related attributes and studies the future dire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effective employment of mentally-retarded workers by analyzing and comparing employment success factors depending on levels of mental retardation. We investigated mentally-retarded persons who commenced work via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from 2001-2005, in total of 4,932 persons, excluding persons who commenced work via KEPAD s indirect support program and by oneself (without any support) in this study. We grouped persons whose employment period exceeds 6 months as employment success cluster and as employment failure cluster vice versa. And we investigates general attributes and job-related attributes, which influenced on employment success. We used frequency analysis for technical statistics processing and analyzed employment success distribution map depending on general attributes and job-related attributes. We also used Chi-square test for the test of general attribute distribution and significance about the yes or no of employment success. Finally we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inding of the most important employment success factor. As a result, we found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employment period are the size of workplace, the yes or no of evaluation and adaptation coaching implementation by KEPAD and this result was distinguished by mental retardation grades. We found persons who have level 1 of mental retardation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size of workplace, but persons of Level 2 and Level 3 have higher employment success ratio in bigger size of workplace. We also found the success ratio of persons of level 1 of mental retardation is higher when employment evaluation was implemented, but the success ration of persons of level 2 and level 3 is higher when was not implemented. We also found the employment success ratio is higher when mentally-retarded persons took adjustment training one time or more in every grade.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 및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세연(Se-Yun Kim),구인순(In-Soon Ku),박자경(Ja-Ky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을 알아보고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여성장애인의 고용확대 및 직업유지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성장애인의 고용현황과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제 2차, 3차 장애인고용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차 조사 시점에서 고용상태에 있는 여성장애인이 3차 조사 시점에서도 고용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용현황을 살펴보면 여성장애인은 남성장애인보다 저임금(p<.001)과 비정규직(p<.001)의 비율이 높은 고용특성을 보였다. 반면 직무조정(p<.05)과 근무시간 조정(p<.001)에 대한 배려경험은 남성장애인보다 많았지만, 배려받지 못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직무만족도는 취업의 안정성 항목에서 여성장애인이 남성장애인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성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p<.05), 임금수준(p<.05), 직무조정 배려 여부(p<.05)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임금수준, 직무 조정은 여성장애인이 직업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여성장애인의 고용관련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The secon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and the third PSED are used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 of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We analysed whether women with disability who were employed in the second PSED maintain employment in the third PSED.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with disabilities had lower wages(p<.001) and higher non-regular work(p<.001) than men with disabilities. Also, wom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more consideration of job(p<.05) and working time(p<.001) than men with disabilities. The job stability among job satisfactions of women with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men with disabilities.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maintenance of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health status(p<.05), wages(p<.05), consideration of job(p<.05).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health status, wages, consideration of job were needed to consider when establishing employment policy for women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