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불자(佛子)들과 교사 및 학생들의 생명 및 생물 분류 개념 비교

        구슬애 ( Seul Ae Ku ),차희영 ( Hee Young Cha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2

        본 연구는 종교를 개념 생태(conceptual ecology)의 한 요소인 형이상학적 신념으로 보고 우리나라에 전파된 지 가장 오래된 종교인 불교에서 통용되는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주 및 분류 체계를 불경및 불자들을 통해 알아보고, 불교를 종교로 가지고 있지 않는 생물 교사, 기타 과목 교사, 고등학생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불교에서는 생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중생(衆生), 유정(有情)을 사용하며, 생물학적 입장과는 달리개체적인 생명 개념이 아닌 모두가 하나의 공동 운명체로 연결된 연기(緣起)라는 개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불교에서는 식물을 생명체로 즉, 중생(衆生)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불교에서 생명을 가진것들 즉, 중생(衆生)을 분류하는 방법은 탄생 방식, 형태의 유무, 지각의 유무로 구분하고 있었는데, 불교의 생명 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 방법은 지각의 유무였다. 생명과 생물 분류 개념은 생물 개념학습의 근간이 되는 개념으로 개념 생태적으로 사회문화적인 영향으로 형성되는 생물개념들은 생물학습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 생물교사들은 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불자들이 가지고 있는 생명 및 생물분류개념에 대한 선개념을 파악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수학습 준비에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cept of life, the categories of living things and the systems of categorizing them contained in Buddhism, a sort of metaphysical philosophy. For this, monks who devotes themselves to Buddhism were interviewed, and the differences of the definition of life, the categorizing of living creatures and categorizing systems between biology and other subject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Buddhist and ones who are not were inquired. The result shows that in Buddhism, they use ``being`` and ``sentience being`` as the terms for creatures and they believe creatures are not individual ones but one collective existence connected with each other,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biological definition of creatures. Buddhist include metaphysical beings in categories of living things rather than plants. Buddhist criteria for categorizing things which have life, that is living beings, are how they are born, whether they have a certain form and ,lastly, whether they are conscious or not.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we could expect to identify the misconceptions about concept of life and the categories of living things.

      • KCI우수등재

        진화생물학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생물학의 본성 규명 및 생물교육에 대한 함의

        구슬애(Seulae Ku),양경은(Kyoung-Eun Yang),차희영(Heeyoung Cha)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3

        본 연구는 진화생물학의 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생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생물교육에 주는 의미를 찾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먼저 진화론을 기반으로 한 생물학의 본성(Nature of biology, NOB)을 정의 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과학철학 관련 서적 중 진화론에 초점을 둔 생물학의 철학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책들과 생물교육연구논문 중 진화관련 연구 결과들을 참고하였다. 문헌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4영역에서 6개의 진술문으로 NOB를 정의하였고, 각 진술문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20개의 세부진술문을 만들었다. 그 20개의 세부진술문들을 기본으로 하여 교사들의 NOB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만들었다. 검사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입증하기 위해 국내의 과학철학자, 철학자, 과학교육전문가 등이 타당성 검토와 신뢰도 검토를 수행하였다. 31명의 교사에게 검사 도구를 투입한 결과, 전반적으로 생물교사들의 진화론에 기반 한 NOB에 대한 이해는 긍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화론을 기반으로 한 NOB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생물교사교육 및 생물교육과정에 진화생물학의 철학이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알려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we can measure th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Biology(NOB) based on philosophy of evolutionary biology, to analyz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s about it and to make implication for biology education. First of all, NOB based on evolutionary theory should be defined for doing this. We had referred to books including philosophical contents regarding biology in philosophy of science focused on evolution theory and supplemented to the findings on evolution researched by biology educators. Six statements of four categories about NOB from the literatures were confirmed and twenty sentences to explain the six statements were for making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NOB. These 20 sentences were basic statements to consist the instrument to identify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biology. We examined validity of the instrument four times and the reliability three times for the biology teachers. We administered the final version of the instrument to 31 biology teachers to find out the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about NOB based on the evolutionary theory. Their levels of NOB were ’Uncertain’. The results explain that biology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will be needed fo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NOB based on the evolution theory.

      • KCI등재

        생물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진화에 관한 개념, 흥미, 수용 및 종교성에 관한 연구

        하민수,차희영,구슬애 韓國生物敎育學會 2010 생물교육 Vol.38 No.3

        The understanding of evolutionary concepts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biology playing a crucial role in unifying biological concepts and providing an explanatory framework. This study aims to compare biology major with non-major college students in conceptions, interest, and the acceptance of evolution related with religiosity, in order to verify the expertise of biology major students. Participants included 141 biology major and 142 non-major students (major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ultiple choice questions were utilized for studying the conceptions of evolutionary mechanisms, while Likert type questions were employed for studying religiosity, and the interest in and the acceptance of evolution. The results indic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iology major and non-major college students in the evolutionary conceptions and the acceptance of evolution. Biology majors exhibited lower religiosity and higher interest in evolution than nonmajors. The evolutionary conceptio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cceptance of evolution in both groups, however religiosit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eptance of evolu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a teaching program to improve evolutionary expertise in biology majors which could be designed to differentiate religious perspectives from evolutionary conceptions and to provide examples of plausible evidence for evolution.

      • KCI등재

        유전 개념 지위의 횡단 분석

        박지현,차희영,구슬애 韓國生物敎育學會 2011 생물교육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cept form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concept status on genetics for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dergraduates. This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using three kinds of instruments-genetic concept test,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science motivation test-that gave informations on the current student state. Qualitative data was also collected by interview with the subjects. The result wa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such as comprehensibility, plausibility and usability. The comprehensibility shows the highest increasing pattern among the components of positive status. On the contrary, negative(-) status of the plausibility appears most frequently for all groups of students. Positive concept status is much higher that the negative concept status for the intelligibility and students have highly stable and scientific concept status. Positive concept status of the plausibility increases and negative concept status of that decreases as the grade level becomes higher.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represent the necessity of investigating students' conceptual status and to find out the students' preconception status on genetics by this cross-sectional study.

      • KCI등재

        진화에 대한 흥미와 수용 정도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진화 개념 지위 차이 분석

        류선희,차희영,구슬애 韓國生物敎育學會 2012 생물교육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onceptual status of evolution concept in termsof the interest and acceptance of evolu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e tested the interest andacceptance of evolution and then were distinguished subjects into 4 groups based on the testingresults which were which were 'both high interest and acceptance of evolution', "high interest andlow acceptance of evolution", low interest and high acceptance of evolution', "both low interest andacceptance". We had selected total 16 students as four students from each group and interviewedthem to find out their conceptual status on evolution concept. We analyzed the interview dataaccording to the framework developed specially in this research. The group both high acceptanceand interest of evolution showed that they had highest variety of (+) conceptual status and thegroup both low interest and acceptance of evolution that they had lowest variety of (+) conceptualstatus. The implication in this research confirms that high group in acceptance makes the conceptualstatus wider and it is stored in the shape of an image within the students' cognitive structure. Thisalso makes us realize that to teach evolution effectively, the acceptance and interest of evolution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need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using various visualaudiolesson materials regarded to the evolutionary concept.

      • KCI등재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선택 및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분석

        유정임,차희영,천재순,구슬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CK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experiment class types implementation. For this study purpose, we classified science text books and study-aid books for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by the experiment class types in terms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mong the classified experiment class types, the experiment class types most frequently suggested in study-aid books were a discovery experiment class type and a research experiment class type. Through this, we analyzed of actual experiment class typ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 for the discovery experiment class type and the research experiment class type suggested in the education process. After the experiment class we found out the teacher's PCK through the interview. First, as a result of dividing the 7th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 books and study-aid books into experiment class types based on experiment class type classification, discovery, confirmation, search and research experiment class types were included all together in the experiment class types suggested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cess. Among them, the discovery experiment class type and the research experiment class type were the most frequently suggested.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tual experiment class typ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ed among the discovery experiment class type and the research experiment class typ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ed the actual classes of experiment class types different from the experiment class types suggested by science textbooks and study-aid book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PCK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experiment class types implementation, we could find out teachers were developing the actual classes of experiment class types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PCK they ha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7차 4, 5, 6학년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를 실험수업 유형별로 분류하여 실험수업 유형을 선정하고, 적절한 차시를 선정하여 초등교사 5인의 실제 실험수업을 녹화하여 전사 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수행한 실험수업과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수업 실시 후에는 면담을 통해 교사가 가진 PCK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교과서 및 지도서에는 발견, 확인, 탐색, 연구실험수업의 실험수업 유형이 모두 나타나며, 발견실험수업과 연구실험수업 유형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행하는 실험수업 유형은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 유형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PCK 분석 결과 교사들의 수업 실행에 교사의 PCK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종교성, 진화 흥미, 진화 개념, 진화 수용의 수준과 구조 비교

        하민수 ( Min Su Ha ),차희영 ( Hee Young Cha ),구슬애 ( Seu Lae K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0

        이 연구 목적은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화 개념과 관련된 변인-종교성, 진화 흥미, 진화 개 념, 진화 수용-에 관한 수준과 구조적 차이를 비교 분 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 대학생 1,015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 무작위로 추출된 516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 의 대학생들은 미국의 대학생들에 비하여 낮은 종교 성을 보이는 반면 진화 흥미 역시 낮았다. 경로 분석 결과 종교성이 진화 수용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진화 개념과 진화 흥미가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미국 대학생들에 비하여 진화 흥미가 종 교성, 진화 수용, 진화 개념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의 관련성을 보였다. 한국의 생물 전공자들의 진화 수 용은 미국 생물 전공자들의 비하여 진화 개념에 대한 영향력이 적었고, 한국 생물 비전공자들의 진화 수용 은 미국 생물 비전공자들에 비하여 종교성에 더 큰 영 향을 받았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학생들을 위한 진 화 교육이 진화론에 대한 흥미를 더 높이며, 진화론을 수용함에 있어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근거하지 않고 과학적 이론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 한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과학적 판단에 의하여 과학 이론을 수용하는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는 과학교육 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degree of religiosity, interest i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evolution, and the effects of their interaction on these variables. A total of one thousand and fifteen Korean and US biology majors and non-major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sub sample of 516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statistical tests.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rbored significantly lower degrees of religiosity and interest in evolution but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of knowledge and acceptance of evolution than US college students. The path analysis uncovered that the knowledge of and interest in evolution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religiosity and acceptance of evolution.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evolution was less correlated to other variables than US college students` interest.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as less predicted by knowledge of evolution in the Korean biology major sample than in the US biology major sample.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as predicted more by religiosity in the Korean non-major sample than in US non-major sample.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evolution needs to enhance the degree of students` interest in evolution. In addition, future Korean science curriculum needs an instructional strategy in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make scientific decisions, such as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ir personal religious belief.

      • KCI등재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김경민 ( Kyung Min Kim ),차희영 ( Hee Young Cha ),구슬애 ( Seul Ae K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 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강원도 지역의 P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과학영재 학생 6명과 B와 M초등학교의 일반아동 6명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학생들에게 부여되는 분류 활동 과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물자료 과제 3가지와 사진자료 과제 3가지로 총 6가지였으며,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 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 측정, 분류 활동 결과 분석 및 분류 기준 수 비교, 분류 능력 지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류 과제 종류에 관계없이 초등과학영재가 일반아동에 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이 더 짧게 걸렸다. 분류 활동 결과 분석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비교 관찰을 실시하였으나 생성된 분류 기준 수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가 더 많은 기준 수를 산출하였고, 분류 능력지수 또한 초등과학영재의 경우가 더 높았으나 학년의 발달과 유의미한 관계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shown in classification activitie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six gifted students in an institute for the gifted for science annexed to P school district in Gangwon-do and 6 students at B and M general elementary school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ime taken for classification activities of the gifted was shorter than regular regardless of subjects for classifying. The number of standards for classifying for the gifted was more than regular students. Coefficient for measuring classification skills of the gifted was higher than regulars regardless of age. Consequen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e taken for classifying and generating the number of standards and in a numerical index of classification activities performed at science classes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