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픈소스와 특허 양립성에 관한 연구

        구민정(Min-Jeong GU),강신각(Shin?Gak KA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공개적이라는 특징을 가진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권리자 보호를 기본으로 하는 지식재산권 중 하나인 특허권 간의 상충 문제와 그 해결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약 1억 건 이상이 배포되고 라이선스의 종류만 2,500여 개에 해당하므로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특허권의 관계에 대해 상황별로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힘들고, 국내외 판례 또한 매우 적은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관련된 특허 문제에 대한 고찰과 함께 양립 방안에 대해 몇 가지 방안들을 제안한다.

      • KCI등재
      • 당뇨병환자의 자기조절교육 프로그램 효과와 지속에 관한 연구

        홍명희 ( Myeong Hee Hong ),유주화 ( Joo Wha Yoo ),구미옥 ( Mee Ock Gu ),김순애 ( Soon Ai Kim ),이정림 ( Jeong Rim Lee ),구민정 ( Min Jeong Gu ),강양교 ( Yang Gyo Kang ),장숙희 ( Sook Hee Jang ),박봉숙 ( Bong Suk Park ),심강희 ( Ka 대한당뇨병학회 2009 임상당뇨병 Vol.10 No.3

        연구배경: 당뇨병 치료의 성공여부는 환자 자신의 자기간호행위에 달려있으므로 환자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일회적인 교육은 단기적으로 관련 지식과 행위를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나 장기적인 행동변화나 일상활동의 조절에는 제한점을 갖는다. 따라서 행위 조절을 유도하는 다른 중재 방법을 포함시킨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지속적인 행위 변화 효과를 기대하게 하므로 본 연구는 일반적인 당뇨병교육을 이수한 사람들 가운데 인슐린 주사요법으로 치료받고 있는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자기조절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여 당뇨병 관리에 대한 자기효능을 높이고, 자기간호행위를 증진시킴으로써 혈당조절을 개선하고, 그 효과가 얼마간 지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환자들로 6개월 이상 인슐린 치료를 받고 있고, 당화혈색소 7.5% 이상인 자로 실험군 46명, 대조군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자기조절 교육을 받은 군이고, 대조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군이며, 독립변수는 자기조절교육 유무이며, 자료 수집은 교육을 시행하기 전, 4주간의 자기조절교육을 실시한 직후, 교육 후 2개월, 교육 후 6개월로 정하여 자기효능, 자기간호행위, 자기조절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4회에 걸쳐 수집하였고 혈당조절 측정은 교육 전, 교육 후 2개월, 6개월에 실시하였다. 결과: 1) 자기간호행위정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5.286, P=0.025). 자기간호행위는 시기에 따른 차이(F=5.336, P=0.005)가 두 군 간에 유의하였고,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F=5.514, P=0.004) 또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효능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F=29.409, P=0.000). 그러나 시기에 따른 차이(F=0.945, P=0.392) 및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F=1.442, P=0.241)은 두 군 간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혈당조절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0.627, P=0.432), 시기에 따른 차이(F=4.641, P=0.013)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시간 경과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F=0.843, P=0.430)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4주간의 자기조절교육 프로그램은 자기효능이나 자기간호행위는 증가시켰지만, 혈당조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가 6개월 이상 장기적인 연구인 까닭에 대조군의 탈락자가 많이 발생한 점, 환자나 의료진 모두 인슐린 용량 증감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어려웠다는 점, 또한 10년 이상 당뇨병을 가지고 살아가는 환자들의 생활습관의 변화를 유도하기는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뇨병관리에 필요한 자기효능 및 자기간호행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반복적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4-weeks self-regulation education program makes the diabetic patients, who are treated with injection of insulin, to improve their glucose adjustment and how long this effect will be persisted by self-care and improvement of self-efficacy. Methods: This research is object for 46 persons of test group and 37 persons of control group in type2 diabetics who are under the medical care more than 6 months and above HbA1c 7.5%. Test group is defined as self-regulation educated group and control group is not. In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whether self control education is trained or not. We compared self care score and self efficacy score with pre-education, post-education, at the point of 2 month later and 6 month later. Results: 1) The extent of self-care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F=5.286, P=0.025). Self care indicates that it is connected to difference of period (F=5.336, P=0.005), lapse and interaction among the groups. 2) Self-efficacy appears to have shown the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F=29.409, P=0.000). However, self efficacy does not seems to be connected with the gap of period (F=0.945, P=0.392), lapse, and interaction among the groups (F=1.442 P=0.241). 3) Blood glucose adjustment dose not show th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F=0.627, P=0.432), However, the gap of period (F=0.627, P=0.432) has an effect to connect with blood glucose adjustment. Meanwhile, that is not seemed to connect with lapse and interaction among the groups (F=0.843, P=0.430).

      • KCI등재

        Real-time PCR을 이용한 가축생균제용 유산균 정량분석

        Yeon Jae Choi(최연재),Sun Ho Kim(김선호),Min Jeong Gu(구민정),Han Na Choe(최한나),Dong Un Kim(김동운),Sang Bum Cho(조상범),Su Ki Kim(김수기),Che Ok Jeon(전체옥),Gui Seok Bae(배귀석),Sang Seok Lee(이상석)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2

        본 연구는 가축생균제용 유산균을 Real-time PCR정량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YBR Green1 방법과 Probe 방법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제작한 결과, SYBR Green1 방법에서는 Slope 값이 -3.346이었고, Y절편은 33.18, R² 값은 0.993으로 나타났으며, Probe 방법에서는 Slope값이 -3.321이었고, Y절편은 39.10, R² 값은 0.995로 나타나, 이를 이용한 표준곡선 제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SYBR Green1 방법을 이용한 생균제의 Lactobacilli 정성ㆍ정량 분석결과 Real-time PCR값은 4.46~6.56 log copies로 나타났고, 생균수 측정 결과 값은 5.63~7.59 log CFU/g로 나타났으며, Probe 방법을 이용한 생균제의 Lactobacilli 정성ㆍ정량 분석결과에서는 Real-time PCR 값은 5.51~7.00 log copies로 나타났으며, 생균수 측정 결과 값은 5.63~7.59 log CFU/g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RT PCR법은 3~4일이 소요되는 기존의 배지법과 비교하여 24시간 이내에 신속하게 검출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며, 또한 RT PCR을 이용한 분석방법에서도 dye 사용과 primer 사용에 따라 결과값이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robe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 한 결과가 민감한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using Lactobacilli as probiotics. Quantitative real-time PCR (RT PCR) was conducted via a method involving SYBR Green 1 and a probe. Plasmid DNA was cloned using the 16S-23S rRNA intergenic species region. Gene clones were diluted from 10² to 10¹?. Standard curves were constructed via Ct value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Real-time PCR via the aforementioned SYBR Green 1 and probe method. Plasmid DNA was also cloned using the 16S-23S rRNA intergenic species region and the gene clones were diluted from 10² to 10¹? copy numbers via the probe method. Using RT PCR, a standard curve of plasmid DNA copy numbers was also determined. The slope value for the Y-axis intercept and R² value were measured as -3.346, 33.18, and 0.993, respectively, via the first method. For the second method, the slope value for the Y-axis intercept and R² were -3.321, 31.10 and 0.995, respectively. The PCR inhibitor could not express the detection curve at a copy number over 10¹? via either method, owing to high DNA density. The DNA extract from probiotics was diluted without pre-culturing, and 16 products were amplified via both methods. The Ct value was 11.06~18.12 in the first method and 16.74~22.11 in the second method. Measured probiotics and log copy values were largely similar among the methods used. It was concluded that both methods are effective for analysis, but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to verify the optimal method.

      • KCI등재

        인터넷 기반 중재프로그램을 통한 성인 당뇨 환자의 HbA1c 중재효과: 메타분석

        정창숙 ( Chang Suk Jung ),노현정 ( Hyun Jung Noh ),구민정 ( Min Jeong Gu ),김이영 ( Yi Young Kim ),이순영 ( Soon Young Lee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8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2000년 이후 국내외 당뇨병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인터넷 기반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실무 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시행된 연구 중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이중 분석 대상 기준에 적합한 최종 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Internet-based Intervention의 실험군과 대조군에 따른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오픈 소스 통계 소프트웨어인 R 3.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성인 당뇨 환자의 HbA1c 조절을 위한 인터넷 기반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에 관한 연구는 국외 8편, 국내 1편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중재는 Internet-based Management가 7편(77.8%)으로 가장 많았고, Internet-based Education이 2편(22.2%)이었으며, 중재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6개월이 4편(33.4%)으로 가장 많았다. 선행연구와의 중재 효과 비교에서는 모바일 전용 중재에서의 HbA1c 조절에 대한 가중평균 차이(WMD -0.20%, 95% CI: -0.43-0.03; p = 0.09)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모바일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중재를 통합했을 경우 가중평균 차이(WMD 0.54%, 95% CI: 0.72-0.37; p<0.001)의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메타분석 결과에서도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중재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중재기간에 따른 효과 크기 분석 결과에서는 약 89%인 8편에서 3개월, 6개월, 12개월 모두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중재활동 시행 시, 실험군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으나, 중재 지속 기간의 증가에 따라 중재 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인터넷 기반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중재활동이 성인의 대표적 만성질환인 당뇨관리를 위한 HbA1c 및 혈당조절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만성질환인 당뇨의 꾸준한 관리를 위한 인터넷 중재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와 중재활동의 구체적인 지침, 프로토콜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iabete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f studies conducted since 2000. Methods: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nd overseas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5, and selected 9 papers that met the analysis criteri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open source statistical software R 3.5.0,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based interventions o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for controlling HbA1c levels in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most commonly comprised 7 sessions on Internet-based management (77.8%), and the most common frequency of applic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was 4 session in 6 months (33.4%). The present meta-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Internet-based intervention activities (SMD=0.92, 95% CI 0.45-1.40).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period showed that the 3-month, 6-month, and 12-month interventions reported in eight studies (89%) had a high effect on the Internet-based intervention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adult patients with diabetes.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Internet-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steady management of diabetes, a chronic diseas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guidelines for intervention activities; and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protocols are acknowled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