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장환의 동시세계 연구

        곽효환(Kwak, Hyo-Hwan)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오장환 시세계의 중요한 특징은 『시인부락』의 순수서정성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시인부락』이 비판하였던 모더니즘을 전면 부정하지는 않고 양편 모두에 비판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한국시의 순수서정성과 모더니즘이라는 한계를 극복하려는 자세를 보이면서 여러 차례 시적 변신과정을 보이는 데 있다. 오장환의 시세계에 대한 평가와 조명은 이와 같이 어느 정도 모아지고 있는데 반해 그의 동시에 관한 논의는 아직 미진하다. 오장환 동시는 안성공립보통학교 재학 중인 11세 때 일본 천황의 즉위를 축하하는 기념호로 제작된 『어대전』 제9호에 실린 동시 「밤」(1928년 12월 24일 발행한 안성공립보통학교 학습회 학예부 문집에 수록)을 시작으로 총 51편의 창작동시와 1편의 번역동시를 발표한 것으로 확인된다. 오장환은 1933년 12월 『어린이』에 동시 「눈」을 발표한 것을 출발점으로 1934년 2월 역시 『어린이』에 「바다」, 「기러기」, 「수염」 등 3편을 발표하였다. 이어 1934년 7월부터 1940년 7월까지 『조선일보』에만 총 45편의 동시를 발표하였고 해방 후에 2편의 동시를 더 발표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오장환의 동시 창작은 시보다 먼저 시작되어 문학적 생애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창작,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오장환의 동시가 여기로 쓰여 진 것이 아니라 초기 문학세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장환의 동시에 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는 오장환 시세계와 문학적 생애를 온전히 조명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오장환 문학의 중요한 특징으로 꼽히는 시적 편력, 즉 시와 문학관의 변모과정을 살피는 데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t point of Oh, Jang-Hwan’s poetic world is that it is based on the pure lyricism of Siinburak(Poet Village), also it does not entirely denied the modernism which Siinburak had criticized, but it takes a critical attitude to both sid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pure lyricism and modernism by showing numerous times of poetic transformation processes. The evaluation and illumination of Oh Jang-hwan’s poetic world is gathered to some extent, but the discussion on his Children’s Poetry is still insufficient. Children’s poem of Oh, Jang-Hwan begins with the children’s poem ‘Night’ which was included in Eodaejeon No.9 a commemorative issue to celebrate the Japan Emperor’s enthronement while he was in Ahnsung public primary school at the age of 11, after that he published total 51 creative works of children’s poem and 1 translated children’s poem. In December 1933 Oh, Jang-Hwan started to announce the children’s poem ‘Snow’ in Children and in February 1934 ‘Ocean’, ‘Goose’, ‘Beard’ was published also in Children. Then, from July 1934 to July 1940, a total of 45 works of children’s poems were announced only in Chosun Ilbo and two more children’s poem works were announced after liberation. Judging from the fact that Oh, Jang-Hwan’s creation of children’s poems began before the poetries, and was constantly created and published throughout the literary career. It means that his children’s poems was not written just as some hobby but i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early literature world. Therefore, the systematic and in-depth study of Oh, Jang-Hwan’s children’s poems will not only provides a complete overview of the poetry world and literary life, but also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examining the poetic wanderings ― the transformer process of poetry and literary prospective.

      • KCI등재

        설정식의 초기 시 연구

        곽효환 ( Hyo Hwan Kwa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7

        해방과 분단, 그리고 6.25전쟁이 폭풍처럼 쓸고 간 1945년부터 1950년 사이의 해방기는 우리현대사에 있어서 가장 들끓는 격동과 혼란의 기간이었다. 이 기간에 활동한 시인들 가운데 설정식(1912~1953)은 작품의 양적인 면에서나 내용적인 면에서 두드러지게 눈에 띈다. 유교개신교집안에서 태어나 미국유학을 다녀온 미국통 엘리트가 해방기 동안 미군정청에 근무하는 표면적인 삶의 이면에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를 선택하고 그에 따른 작품활동을 가장 맹렬히 하였으나 끝내는 남과 북의 체제와 문학 모두로부터 배제되는 비극의 주인공이 되었다는 점에서 설정식은 해방기 문학의 중심에 있다. 이 같은 설정식의 삶과 문학은 해방기 지식인의 시대에 대한 인식과 이념 및 체제의 선택, 그리고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상징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설정식 문학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 못하고 있고 그나마도 설정식이 활발하게 활동한 해방기의 작품들에 집중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조명 받지 못한 설정식의 초기 시를 살펴보고 이들 작품에 나타나는 그의 문학관과 지향점 및 시대의식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초기작들은 한 시인이나 작가의 문학관을 기본태도나 저변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종 작품세계 전반의 경향과 흐름을 포괄한 변화양상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어주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설정식 문학세계 전반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한편 설정식 문학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조선문학가동맹의 입장에 충실한 해방기 작품에서 잘 풀리지 않는 문맹이 요구하는 경향성과의 부조화를 비롯한 여러 문제들에 대한 이해의 단초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liberation era from 1945 to 1950 when liberation and division, and the Korean War(6. 25) ravaged like heavy storm was the most seething period of turbulence and confusion. Among the poets worked at that time Seol Jung Shik(1912~1953) was outstanding both in quantity and contents. Seol Jung Shik became the tragic character who at the end was abandoned by the systems of North and South as well as from literature itself, though he chose the communist ideology and fiercely continued his work underneath his outward life as an elite born in a confucianist-protestant family and studied in the U.S. and worked at the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 during the liberation era. In this respect Seol Jung Shik`s life and literature could be very symbolic to track down the changing process of intellectuals` perception who liv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ir awareness of time and their choice of ideology and system. But the study of Seol Jung Shik`s literature didn`t begin in earnest yet; it is only concentrated in the works of the liberation era the time when Seol Jung Shik`s activity was somewhat vigorous. This article is to look over the early poetries of Seol Jung Shik that were not under the light so far and to study the poet`s values of literature and the directing point as well as the sense of time shown in his works. This is because the early works are the important clue not only to understand the values of literature of a poet or author in the way to identify the basic attitude or the base, but often to understand whole picture of changing aspect including the flow and tendency throughout the world of works. So from this, we can deepen the understanding of Seol Jung Shik`s whole works and also we expect to find some clue to understand several problems as well as the disharmony between Seol Jung Shik`s liberation era works and the tendency of Chosun Writer`s Union though these works were the flower of his literature.

      • KCI등재

        『청록집』에 나타난 이상공간 연구

        곽효환(Kwak, Hyo-hwan)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해방기의 한국 시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문학적 성과물 가운데 하나가 『청록집』이다. 해방으로부터 불과 10개월이 채 되지 않은 1946년 6월에 발간된 『청록집』은 자연이라는 시적 공간을 공유하면서도 각 작품들이 개성과 작품성을 갖추고 있는 점에서 우리 현대시사에서도 각별히 기억할 만한 시집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청록집』에 대한 논의와 평가에 있어서 재고되어야 할 점은 이 시집이 출간된 해방기라는 시대적, 문학사적 맥락 속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시기 우파진영의 맹주인 김동리의 문학적 입장과 이론이 강하게 투사되어 일반화 되어 있다는 고정된 시선이다. 실제로 『청록집』에 수록된 시들은 일제의 식민 통치가 극에 달한 암흑기, 즉 1930년대 말부터 해방이전까지 쓰여 진 것들이다. 이렇게 볼 때 『청록집』은 일제 말이라는 현실에 대한 세 시인의 인식이 일정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하나의 자연을 발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시각 주체의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보면 현실은 주체가 처한 현실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이 되고 나아가 시작품들은 자아추구 내지 자아의 이상을 실현한 결과물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록집』을 일제말기 세 시인의 주체적 세계관이 투영된 것으로 보고 이들이 그 시대적 상황을 각각 어떻게 인식하였고 나아가 이것을 토대로 사회 역사적으로 또 문학적으로 어떤 세계를 지향하고 또 만들어 내고 있는지 관찰하는 것은 의미 있는 관점이 될 것이다. One of the most conspicuous literary outcomes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s Cheongrokjip, which was published in June 1946, less than 10 months after the liberation. It is a collection of poems particularly memorable in our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sharing nature as a poetic place and also having complete individuality, as well as literary value. However, the discussion and evaluation of Cheongrokjip must be reconsidered, because its focus is o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literary historical context because it was published at that time, as well as because of the fixed view that the literary position and theory of the right-wing group’s leader, Kim Dong-Ni, was strongly reflected and generalized. In fact, the works included in Cheongrokjip were written in the dark period when Japanese colonization had reached an extreme, from the end of the 1930s until before liberation. Hence, in Cheongrokjip, the three poets’ understandings of reality had been uniformly reflected, and on this foundation, one nature was discovered. The perspective is that the world view of the visual subject is projected and reality acts as a mirror for the subject to look at their own reality; furthermore, the poetical works are the pursuit of the self or outputs of the realization of the self’s ideal. Considering that in Cheongrokjip the world view of each subject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had been projected, it can be observed how the three poets understood the situation of that time and, on that basis, what kind of world they had been creating.

      • KCI등재

        노천명의 자의식과 친일·애국시 연구

        곽효환(Kwak Hyo-hwan)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2

        노천명은 최초의 본격적인 근대 여성 시인으로 화려하게 출발하여 감정의 절제, 정서의 균형,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각과 시어 등을 내면화된 시적 자아들 통해 담아냄으로써 근대 모더니즘이 요구하는 수준에 부응하는 시세계를 일구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이러한 노천명에 대한 문학적 평가는 초기시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후 삶과 문학적 행로는 근대사의 극단적인 지점을 관통하며 친일과 친일시, 부역과 감옥생활의 반동으로 이루어진 애국전쟁시 및 감옥시편으로 점철되고 있다. 이러한 선택의 기저에는 근대적 지식인이자 시인으로서 최소한의 자의식 또는 내면의식이 바탕이 되었을 것이며 그것이 삶과 문학적인 선택과 변화를 추동하거나 동반했을 것이다. 따라서 한 시인의 자의식을 살피고 그것을 토대로 역사적인 상황의 극단적인 지점을 어떻게 선택하고 통과했는지를 살피는 것은 시인과 문학 세계를 더 깊게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노천명의 경우 공통적으로 높이 평가 받고 있는 산호림 을 중심으로 한 초기 시세계에 유독 자의식을 다룬 작품들이 여러 편 있고 앞선 다른 여러 연구들에서 시인의 자의식을 이해하는데 유의미한 관점을 제시한 바 있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이같은 관점과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노천명의 자의식과 그 특성을 살피고 친일시와 애국전쟁시라는 극단을 통과한 시편들에 자의식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Nho Chun Myung did a glamorous start as the first real modern female poet. She was valuated to have established a poetic world meeting the needs of modernism as she filled it with the moderation of emotion, balance of feelings, the subtle sensitivity and unique feminin poetic words through the inner self. But such literary valuations of Nho Chun Myung is focused only in her early works. And her life and literary path afterwards penetrated the extreme point of modern history and linked to her jail poetries and also her pro-japanism and pro-japanese poetries and the patriot-war poetries composed of reactions of forced labor and prison life. She made this choice based on the least of her self identity as an intellectual and poet or her inner sense, and this might have driven or gone with the choice and change of life and lit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study a poet's self identity and how she chose and got through the extreme point of the historical sit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poet and her literary world. Especially, like the case of Nho Chun Myung, there are several works in her early poetic world expressing her self identity starting with the well-regarded Sanhorim and her other previous studies provided meaningful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poet's self identity. In this article, around this perspective and critical mind it is to consider Nho Chun Myung's self identity and it's characteristic and to study how the self identity is reflected on the poetries which had passed the extreme edge of pro-japanese poetry and patriot-war poetry.

      • KCI등재

        김수영 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 연구

        곽효환(Hyo-hwan, Kwak) 어문연구학회 2010 어문연구 Vol.63 No.-

        Kim soo Young carried over the casual life together with the strong consciousness of times to his poetic world. This is the element which tightly combines life and literature for him. His poetry has a tough and wild voice revealing the identity of the lower middle class without mercy while jeering and scolding unsparingly about the backwardness of the society. politic, and Culture. Kim Soo Young's prose not only reflects consistently all those characteristics but also positively supports them. So poetry and prose with alI the works left by Kim Soo You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howing intertextuality to add mutual meanings and have an effect of clear interpretation. Kim Soo Young's essay on poetry has a high level of completeness doing a reliable self-interpretation about his own poetries. Also he is a strong influence beyond time and space providing pure consciousness of one period as a meaningful literary experience. Kim sao Young’s an essay on poetry(prose) plays the role of a clamp enabling life with poetry and prose to become one and all. Especially the essay on poetry Poem, do spit it out is evaluated as the representing essay in the aspect of combining it's forms and contents in a 'whole' and integrating his poetry and poetic perspective and having a poetic implementation. The significants of this essay on poetry is that his poetry is not just only an essay on poetry existing outside of the poetry but implements 'simultaneously', 'instantly' in real to the whole and it can be confirmed in his individual works. Kim Soo Young considered the poetry which 'forms' and 'contents' are one and the same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tight tension polarized into the 'concealment of ground' and the 'World's progress' is the essence of αletry and he implemented this ‘whole body’ poetry.

      • KCI등재
      • KCI등재

        윤동주의 현실인식과 시적 응전 연구

        곽효환 ( Kwak Hyo-hwa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5

        윤동주에 대해 우리 문학사는 “일제 암흑기의 한국시를 지킨 정신의 횃불이 된 시인”이라고 그 위치를 매김하고 있다. 독자들 또한 그를 `자기를 성찰하고 실천을 꿈꾸었던 시인`, 또는 `자기성찰의 시인`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이는 윤동주 시세계의 주요한 특징이 `자기성찰`에 있으며 나아가 이를 통해 지향하는 세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윤동주의 시세계를 면밀하게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시대적 혹은 역사적 상황이나 현실을 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시적으로 응전하였는가를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대의 그늘이 깊을수록 시인의 경험과 인식은 역사적 변화의 영향을 받기 마련이고 그것에 대한 시인의 응전이 빚어내는 의미망은 한 시인의 시세계를 객관적이고 가치 있게 규명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윤동주 스스로가 갈무리한 자필 시선집『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에 담긴 열아홉 편을 그의 정선(精選)으로 보고 여기에 이들 작품 앞뒤로 미학적 혹은 의미론적으로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들을 포함시켜 시인의 자기성찰 궤적과 그것이 지향하는 바를 살폈다. 그 결과 고통스럽고 참혹한 현실에 대한 윤동주의 인식과 여기서 빚어지는 시적 응전이 기본적으로는 기독교적 윤리의식과 절대적인 양심으로 표현되는 형이상학적 태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깊이를 더하면서 직면한 현실을 극복하고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적극적인 의지의 발현으로 나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ur literary history positioned Yoon Dong-ju as "the poet who became a torch of spirit who kept Korean poetry in the age of blacknes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readers also remember him as `the poet who reflected on himself and dreamed of practicing` or `the poet of self-reflection`. This means that the main characteristic of Yoon Dong-ju `s poetic background is in `self - reflection` and furthermore a world oriented through this. In order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se poems of Yoon Dong-ju,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he poet perceived and reacted poetically to the times or the historical situation or reality, at that time. The more deeply the shade of the age is, the more the poet`s experience and perception are affected by the historical change, and the meaning network generated by the poet`s response to it makes it possible to objectively and valuably identify the poetic world of a poet. Therefore, this article considers the 19 pieces contained in the autograph collection "Heaven, Wind, Stars, and Poetry" by Yoon Dong-ju himself as his selection and includes works that are extended aesthetically or semantically before and after these works to study the poet`s self-reflection trajectory and the direction it pursues. As a result, Yoon Dong-ju`s perception of the painful and horrible reality and the poetic reaction generated here are basically based on the metaphysical attitude represented by the Christian ethical consciousness and the absolute conscience but it was sure to confirm that his stepping up to the manifestation of aggressive will is to overcome the faced reality while adding the depth and to wait for `morning comes like times`.

      • KCI등재

        『청록집』의 일제 식민지말 현실인식 연구

        곽효환 ( Kwak Hyo-hw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0

        『청록집』은 해방기뿐만 아니라 우리 현대시의 역사 전체를 통틀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일제말 암흑기와 해방기의 극심한 이념적 대립과 혼란을 관통하며 발간된 최초의 창작시집이라는 점에서 시사적 위치가 분명하다. 특히 이들이 발견하고 시적 대상으로 삼은 자연은 그 이전까지 우리 시단을 대표하는 정지용 김영랑 등 시문학파와 그 다음을 이은 서정주 오장환 유치환 등의 생명파와 연속선상에 있으면서도 그들의 장점과 한계를 수용, 극복했다는 점에서 주목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와 시선은 이 시집이 출간된 해방직후 또는 해방 기라는 시대적, 문학사적 맥락 속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 좌파진영에 대립각을 세운 김동리의 문학적 입장과 이론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후의 평가도 이 시기 우파진영의 맹주를 자처한 김동리와 서정주의 평을 축으로 해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 시집에 수록된 시들은 일제의 식민 통치가 극에 달한 해방이전의 일제 말에 쓰여 진 것들로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3인의 이 시기의 현실인식과 지향점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록집』에서 세 시인이 도달하고자 한 지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를 위해서는 실제 이 작품들이 쓰여 진 일제 말기에 시계를 맞춰놓고 이 시기 이들의 현실인식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것은 해방기 우익 진영의 ‘순수문학` 관점을 넘어서 논의의 외연을 확장하는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청록집』 본연의 가치와 의미를 천착하는 기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Cheong-rok-jip holds an important position not only in the end of dark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liberation period but also throughout the history of our modern poetries. Most of all it has a clear suggestive position being the first published creative collection of poetry piercing the severe ideological conflict and chaos of both liberation period and dark period at the end of Japanese Empire. The nature they have discovered and made as a poetic object is to be noticed for accepting and overcoming their merit and limitation while it has been in consecutive line with Jung Ji Yong, Kim Young Rang, etc., Simunhakpa and the following Seo Jung Ju, Oh Jang Hwan, Yoo Chi Hwan etc., Saengmyungpa who represented our poetical circle until then. However, such evaluation and prospect had been intensively built on the context of time and history of literature at the liberation period or right after the liberation when this collection of poems was published. Besides, it consisted of the position and theory of Kim Dong Ni, who was in confrontation with the left wing groups at that time and the evaluation afterwards also had been kept to the point with the evaluations of both Kim Dong Ni who called himself the leader of the right wing, and Seo Jung Ju. However the poetries in the collection were written at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before the liberation when the colonization reached an extreme, the collection contained the awareness of reality and intention point of Park Mok Wol, Cho Ji Hoon, and Park Doo Jin at the time. In Collection Cheong-rok-jip, in order to discuss the one point that the three poets longed to reach more concrete and in-depth, we should set the clock by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when these works had been really written and to look into their awareness of the reality at that time. It will not only be a foundation of external expansion of discussion beyond the perspective of `pure literature` in the right-wing groups in the liberation period but also the opportunity to pursue the value and meaning of Cheong-rok-jip itself.

      • KCI등재

        해방기 이용악 시 연구

        곽효환(Kwak, Hyo-Hwan)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본 논문은 이용악의 중대한 시적 변화과정의 중간에 있는 해방기 시편들을 살펴보았다. 1930년대 후반의 시편들과 한국전쟁 후 시편들 사이에 있는이 시편들을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해방기의 이용악의 행적과 같이 살핌으로써 시적 의미와 함께 변화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타의에 의한 일제 말의 절필과 칩거는 역설적으로 이용악이 해방기 현실상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 것으로 보이며 이것이 1930년대 후반의 시적인 태도와는 다른 해방기 시적 태도의 기저에 작동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해방 후 계속되는 혼돈과 심화되는 사회의 모순은 이용악이 좌익계열 문학단체와 신문에 몸을 담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게 하는 동인이 되고 있었다. 특히 1946년 9월의 철도노동자들에 의해 촉발된 9월 총파업과 10월 대구에서 전국으로 확산된 ‘10월 항쟁’은 그의 시세계가 보다 거침없이 현실 속으로 뛰어들어 발언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로당 가입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해 온 해방기의 이용악 시편들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라는 의미를 갖는다. 이용악의 시적 성취의 정점으로 주목받는 1930년대 후반의 시편들과 이념을 선택한 이후 북에서 발표한 시편들의 이어주는 지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용악의 시세계와 생애를 총체적으로 조명하고 온전히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oetries of the liberation period which were in the middle of Lee Yong Ak’s important poetic process of changes. We will study these poetries-in between poetries from the late 30’s and after the Korean War-with Lee Yong Ak’s not-so-well-known whereabouts, to find out the poetic meaning and process of change. His last writing and living in seclusion was against his will and this leaded him to take part actively in the condition of reality in the liberation period. From that we can understand that this acted as the base of his poetic attitude in the liberation period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ate 30’s. Because of the continuous chaos and intensifying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after Liberation, Lee Yong Ak did not only take part in the Left Wing affiliated newspaper and literature group but als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socialism movement. Especially the September’s general strike in 1946 triggered by the railroad laborers and the October resistance spreaded from Daegu to all over the country, provided him a chance to rush into the real world so his poetic world could speak out more freely and connected to his joining South Korea Labor Party. This study has it’s meaning of being the earnest research of Lee Yong Ak’s poet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which were not treated as a proper subject. Through the study of the linking point of poetries in the late 30’s known as Lee Yong Ak’s peak of poetic achievement, and poetries published in the North after he chose his ideology, it is expected to become a chance to illuminate and understand Lee Yong Ak’s poetic world and life altogether.

      • KCI등재

        자유주제 : 구보 박태원의 시(詩)연구

        곽효환 ( Hyo Hwan Kwa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3

        이 글 `구보 박태원의 시 연구`는 박태원이 소설가적인 면모 외에 다양한 방면으로 만만치 않은 창작 및 집필활동을 했다는 사실과 시인으로 문단에 첫발을 대디뎠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가 발표한 시 전편과 시론을 살펴보았다. 그간 박태원에 관한 비평이나 연구 대부분은 박태원의 소설에만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박태원과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보다 깊이 있고 폭넓은 이해와 연구를 위해서는 소설이외의 창작품에도 관심을 가지고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그의 본격적인 문학적 출발점이 시에서 비롯되었고 본격적인 소설가로의 길을 걸을 무렵까지 19편의 시를 발표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 시인이나 작가의 초기작품들은 그가 앞으로 펼쳐나갈 작품세계의 방향타로 작용하거나 문학적 방향이나 지향점, 인식 등을 가늠하는 중요한 근거자료가 되는 경우가 왕왕 있음을 생각해 볼 때 박태원의 시와 시론을 고찰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를 통해 그의 초기 문학적 인식과 방향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박태원의 문학적 인식의 흐름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가장 왕성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근대작가 가운데 한사람인 박태원의 소설 외의 창작품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다시피한 상황에서 그의 시에 대한 고찰은 초기 박태원의 문학관과 지향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박태원의 문학세계 전체에 대한 연구를 더 다양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일차적으로 구보 박태원의 시론을 그의 산문 등을 통해 고찰해보고 아울러 그의 발표시 19편 전편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가 박태원과 그의 작품세계가 쉽게 정의하거나 규정짓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고 다성적인데 반해 "한글로 쓰여진 소설 작품 가운데 가장 파격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쓴 한국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작가로 정의되고 소설에만 집중되었던 기존의 연구에 더해져 박태원의 문학세계전체를 보다 새롭고 폭넓게 조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This article about "A study of Park Tae Won`s Poetry" is going through all his published poetries and critics of poems, taking notice to the fact that he started his first step to the literary world as a poet and that he had created plenty works in various fields beyond his career as a novelist. Most criticism and studies about Park Tae Won so far is mainly focused on his novels. Therefore, in order to get more inclusive understanding and to study closely about his work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works above his novels. Especiall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at his real literary start point and he published 19 pieces of poetries before he began his path as a novelist. It is worth considering Park Tae Won`s poetries and critics of poems since it is often the case that some early works of a poet or writer act as the rudder of the upcoming works or as an important base data to estimate the literary direction, his aim and perception. And with that we understand Park Tae Won`s early literary perception and direction furthermore we get a new understanding about the flow of his literary awareness. Park Tae Won is one of the most lively studied modern writer, but except his novels non of his other creation had been studied so far. Under this circumstance considering his poetries is quite important for us to understand his early literary view and his aiming point and also very meaningful to enrich and vary the research of Park Tae Won`s overall literary world.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primarily consider Ku Bo Park Tae Won`s critics of poem through his prose together with 19 pieces of his published poetries. Park Tae Won`s literary world is too various and different to define or regulate, but on the other hand he is defined as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Korean modernism who wrote "the most exceptional and experimental work among the novels written in Korean". So added to the former studies focused on his novels this study will be of some help to prospect Park Tae Won`s whole literary world with a new and wide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