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아동의 어머니 간 상호작용 종단적 분석 :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쉼 시간을 중심으로

        곽효정(Hyo Jung Kwak),심현섭(Hyun Sub Sim),이수복(Soo Bok Leeb)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가 일상에서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이 아동의 비유창성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 일반아동·어머니 집단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상호작용 놀이 상황에서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 6쌍과 일반아동·어머니 집단 6쌍의 발화를 두 차례(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수집하여 아동의 ND와 AD 빈도, 아동과 어머니의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 쉼 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 그리고 말더듬아동 어머니 집단과 일반아동 어머니 집단 간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대화차례쉼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은평가시점에서 아동 AD 빈도가 어머니대화차례 발화시간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말더듬아동대화차례쉼시간, 어머니대화차례쉼시간과 부적상관관계를보였다.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말더듬아동 AD 빈도는 어머니 대화차례 발화 시간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더듬 발생 및 지속과 관련 있는 아동과 어머니 간 상호작용 종단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말더듬아동·부모의 상호작용 치료를 통해 학령전 아동이 만성적 말더듬으로 발전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ly, the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and frequency of disfluency which young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showed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Methods: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5 year old CWS (male 2 and female 4), an age-matched group of CWNS (male 3 and female 3), and their mothers. Frequencies of normal disfluency (ND) and abnormal disfluency (AD), and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and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were measured two times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over the course of one year. Results: At initial visit,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frequency of A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and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both between two parent groups and between two child groups at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In the CWS group, at initial visi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requency of AD and mother’s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Frequency of A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duration of turn-switching pause of mothers and that of children. After 12 month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AD and mother’s duration of utterance in a conversational tur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study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WS · mothers interactions can help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o identify the interactional factors related to the recovery or persistence of stuttering and to enhance the efficacy of parent · child interaction therapy for CWS.

      • KCI등재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 간 상호작용 시 끼어들기 특성 종단적 분석

        곽효정(Hyo-Jung Kwak),황시현(Si-Hyeon Hwang),송푸름(Pu-Reum Song),심현섭(Hyun-Sub Sim),이수복(Soo-Bok Lee) 한국음성학회 202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3 No.4

        본 연구는 학령전 말더듬아동과 어머니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아동과 어머니의 끼어들기 특성을 분석하고 아동의 비유창성과의 관련성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2−5세 말더듬아동과 어머니 6쌍, 일반아동과 어머니 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상황에서 나타난 발화를 총 두 차례(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수집하여 아동의 ND(normal disfluency) 빈도와 AD(abnormal disfluency) 빈도, 아동과 어머니의 끼어들기 빈도 및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평가시점에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비유창성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의 끼어들기 빈도와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말더듬아동 집단은 평가 시점보다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 끼어들기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평가 시점에 말더듬아동 어머니 집단과 일반아동 어머니 집단 간 끼어들기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끼어들기 시 동시에 말한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말더듬아동·어머니 집단에서 시점별(평가 시점, 평가 후 12개월 시점)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와 아동과 부모의 끼어들기 특성 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평가 시점과 평가 후 12개월 시점에서 아동의 ND 및 AD 빈도와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시 나타나는 끼어들기 특성을 대화 상대방의 발화를 방해하는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증거로 해석하여 말더듬아동·부모 상호작용 치료 시 끼어들기 행동에 대한 조언이 적절한지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ly, interruption behavior which children who do stutter (CWS),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and their mothers and relationship with disfluency of children showed during interactions with their mothers.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5 year old CWS (male 2 and female 4), an age-matched group of CWNS (male 3 and female 3), and their mothers. Frequencies of normal disfluency (ND) and abnormal disfluency (AD) in children group and frequency of interruption and simultalk duration in children and mothers group were measured two times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over the course of one year.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requency of interruption and simultalk duration both between two mother groups and between two child groups at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However, frequency of interruption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course of one year in CWS group.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frequency of interruption of mother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imultalk duration of mothers at initial visit. In the CWS․mothers group, no factors were related with disfluency of children at initial visit and 12 months lat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ruption is not just negative behavior, and that reducing interrup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hild․parent interaction therapy for CWS.

      • KCI등재

        동영상 기반 자동 발화 심층 분석(SUDA)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수복(Soo-Bok Lee),곽효정(Hyo-Jung Kwak),윤재민(Jae-Min Yun),신동춘(Dong-Chun Shin),심현섭(Hyun-Sub Sim)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2

        본 연구는 동영상을 기반으로 일상생활에서 녹화한 아동 및 성인의 발화를 자동으로 분석해주는 SUDA(smart utterance deep analyser) 하이브리드 앱 개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아동과 부모가 원하는 시간 및 장소에서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 있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를 계속 축적하여 이를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SUDA는 안드로이드폰, 아이폰, 태플릿 PC 기반에서 구동되며, 대용량의 동영상을 녹화 및 업로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적(일반인, 전문가, 관리자)에 따라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 모드에서는 자동화된 시스템과 협업하여 대상자의 발화를 말·언어적인 측면(비유창성, 형태소수, 음절수, 단어수, 말속도, 반응시간 등)에서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즉, SDUA 시스템이 대상자의 발화를 반자동으로 전사 및 분석하면, 언어치료사가 이를 검토하고, 보완하여 의사소통장애 진단과 중재 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인(부모)의 경우, 전문가가 분석한 결과를 그래프 형태로 제공 받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관리자는 발화 분석, 영상삭제 등 전체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발화 분석의 반자동화로 치료사와 연구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부모가 자녀의 발화를 기반으로 하여 말·언어발달에 대한 정보를 쉽고 다양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형 말더듬아동 진단 및 중재에 적용할 수 있는 종단데이터를 구축하고, 말더듬 회복 예측 요인들을 찾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video-based smart utterance deep analyser (SUDA) application that analyzes semiautomatically the utterances that child and mother produce during interactions over time. SUDA runs on the platform of Android, iPhones, and tablet PCs, and allows video recording and uploading to server. In this device, user modes are divided into three modes: expert mode, general mode and manager mode. In the expert mode which is useful for speech and language evaluation, the subject"s utterances are analyzed semi-automatically by measuring speech and language factors such as disfluency, morpheme, syllable, word, articulation rate and response time, etc. In the general mode, the outcome of utterance analysis is provided in a graph form, and the manger mode is accessed only to the administrator controlling the entire system, such as utterance analysis and video deletion. SUDA helps to reduce clinicians’ and researchers’ work burden by saving time for utterance analysis. It also helps parents to receive detailed information about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of their child easily. Further, this device will contribute to building a big longitudinal data enough to explore predictors of stuttering recovery and pers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