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교사 요인의 영향

        곽나람 ( Naram¸ Gwak ),윤예린 ( Yerin¸ Yoon ),김성식 ( Sung Sik¸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교사 요인의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의 초등학교 입학 직후 학교적응 수준과 그 이후 4년 동안 변화 정도를 2수준 다층성장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시점 학교적응에 대해서 교사-아동 관계와 아동의 교사 선호도가 아동의 성별, 부모학력, 가구소득, 학습준비도 등을 통제한 후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 학교적응의 변화에 대해서는 교사-아동 관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른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배경,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학습준비도 등이 초등학교 입학 직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그 이후에는 주된 영향 요인이 교육활동 속에서 직접 경험하게 되는 교사와 아동의 관계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유·초 전환기 아동들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itudinally the effect of teacher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using the data from PSKC(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grade 1 and the slope of grade 1 to grade 4 were analyzed through two-level growth model.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students' preference for teachers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school adjustment, even after controlling children's gender, parents’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nd school readiness. Also,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slope of school adjustment, while parent-child interactions, learn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chool readiness) is functioned positively. The influence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maintained when the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lthough family background,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mmediately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the main factor becom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at children experience directly in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한 ‘영향요인 연구’의 인과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용남(Yongnam Kim),이상윤(Sangyun Lee),곽나람(Naram G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대학입학, 학업중단과 같은 교육적으로 중요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을 탐색하는 이른바 ‘영향요인 연구’는 국내 교육학 문헌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원인변수들 중에서 실제 영향력을 발휘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널리 적용되고 있는 다중회귀모형 중심의 영향요인 연구 접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그 인과적 논리와 타당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여러 영향요인 후보군들이 동시에 독립변수로 포함된 다중회귀모형에서 각 독립변수에 대한 회귀계수의 인과적 의미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독립변수들은 상호 간에 영향을 주거나 받을 수 있고, 제3의 공통원인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공통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관찰되지 못한 누락변수가 있는 경우,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은 영향요인 후보를 인과적으로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영향요인 연구들에서 보고되고 후속연구들에서 반복 인용되고 있는 ‘영향요인’ 또는 ‘결정요인’의 인과적 해석에 제한이 있는 이유를 인과그래프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논의는 통계분석 방법과 최신 인과추론 이론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가 있으며, 현행 교육학 연구방법론의 타당성과 결과 해석에 관한 논의라는 점에서 실제적인 의미도 갖는다. One of the popular approaches to educational research is to investigate multiple influencing factors on an outcome of interest. Researchers ask, “Why do students drop out of school?” or “Why did the math score decrease?,” and try to find potential factors that lead to such consequences. The findings are then used to develop an appropriate policy to intervene to facilitate a desirable outcome or to inhibit an undesirable one. This approach belongs to a type of question referred to as “causes of effects,” which is contrasted to “effects of causes.” Interestingly, many causal inferenc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former is much more difficult to answer than the latter. However, the theoretical basis for such a belief has not been well discussed in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field despite the popularity of the approach. Using causal graphs, this article explains why the causal interpretation of the findings from many studies on influencing factors cannot be established with certainty. In fact,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 from a single equation could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such as one as a direct effect and the other as a confounded noncausal association. It is emphasized that with the lack of knowledge of true data-generating process,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rrectly interpret statistical findings in terms of causal validity.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ortance of causal inference for education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