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地域施設 計劃에 關한 硏究

        孔章杓,金漢洙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0 環境硏究 Vol.10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the supply of community facilities of cities in Korea and Japan, by surveying the number of facilities per unit population, and to obtains fundamental data for regional planning in Kore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bove investigation ; 1) High correlations are found between population and number of facilities. 2) Facilities original unit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size of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3) In general, facilities original unit and population per unit facilities stand higher level in Japan than in Korea, but some kinds of facilities stand almost the same level.

      • 대학 캠퍼스의 공간분석과 구성에 관한 연구(l) : A Case Study of Keimyung University Sung-Seo Campus

        孔章杓,李重雨,金哲洙 啓明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81 産業技術硏究所 論文報告集 Vol.3 No.-

        Education and research are both called to be the main functions of today`s university. Howev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campus and disciplinary diversification intimidate those original functions.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of campus planning a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spatial organization in the light of following questions : 1) advancement of the academie plan 2) analysis of campus activities 3) organization of university facilities 4) selection of the pattern language of Sung-Seo Campus 5)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landuse and circulation

      • 浦項市의 開發을 위한 立地的 機能分析

        孔章杓 啓明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81 産業技術硏究所 論文報告集 Vol.3 No.-

        In dieser Arbeit wird die Siedlungsstruktur der Stadt Po-Hang im Hinblick auf die Standortent-Scheidung undersucht, und die Steuerungsmoglichkeit fur die funktionsgerechte Flachennutzung und die Raumgestaltung des heutigen Stadtgebietes vorgeschlagen. Fur diese Vorshlage werden, (1) die naturraumlichen Gegebenheiten auf die Siedlungsstruktur, (2) die bisherige Entwicklung von Bodennutzung and Bebauung, (3) die Ausstatuung der Infrastruktur, (4) die rechitlichen und planerischen Maβnahmen fur die Gestaltung der siedlungsstruktur analysiert. In der Darstellung der Vorschlage werden die jeweiligen Unterpunkte im Bezug fur die Grund-lagen der wirtschaftlichen Entwicklung beschrieben, da diese fur die Entwicklung der Siedlungs strucktur entscheidend ist.

      • 대구시 용도지역 변경과정에 관한 연구 : 도시계획 결정고시문을 중심으로

        공장표,임현철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7 環境硏究 Vol.16 No.2

        요 약 문 오늘날 대구라는 도시는 행정구역의 개편과 더불어 광역시로 변모함에 따라 새로운 종합적인 도시계획의 검토가 요구되는 시점에 놓여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 최초의 현대적개념의 도시계획인 1937년의 대구부시가지계획에서부터 1994년 9월까지 결정고시되었 던 각종 도시계획을 대상으로 용도지역 변경과정상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기별로 보면 1970년대 중반까지가 대구 도시계획에 있어서는 도시계획법의 운용과 용 도지역의 면적변경 과정면에서 어느 정도 체계를 잡아가던 시기로 볼 수 있다. 2. 용도지역의 면적증감은 개별 도시계획의 종합적인 형태인 도시계획재정비시에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이를 제외하고 보면 주거 ·상업 ·공업지역의 증가는 관련 개별 도시계획 사업에 의한 것이,주거 ·공업지역의 감소는 일반 용도지역의 변경 및 기타요인 특히,개발제 한구역 지정(1972)과 시내일부지역의 녹지지역지정(1975)에 의한 영향이 컸으며,상업지역의 감소는 주거지와 공업지를 개발하기 위한 도시계획사업에 의한 면적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녹지지역은 타 용도지역의 개발을 위한 유보지의 성격을 지녀왔음을 볼 수 있었다. 3.도시계획의 운용면에서 초기에는 법적 용어를 벗어난 애매한 용어를 사용하여 고시하는 예가 많았고,용도지역이 세분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용도지역을 지정하는 경우가 드물어 탄력적으로 운용되지는 않은 듯 하다. AbstractAs a metropolitan area, Taegu city requires to establish a new urban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characteristics of the zoning change process in Taegu city from 1937 to 1994.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sed as follows ; 1. Until the middle of 1970's, Taegu city tried to settle the systematical urban planning through the Urban Planning Act legislation and its revision with the change of square measure of zoning. 2. The change of square measure is remarkable in the general urban planning and each urban development project basis. Green track of land has been kept as reserved a piece of properties for suitable future use. 3. In the early phase of urban planning history, Taegu city used vague legal terms and stayed as positivelessness to designate the subdivision zoning.

      • 地域醫療施設의 供給水準에 關한 硏究 : 韓國과 日本의 比較分析

        金漢洙,孔章杓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0 環境硏究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basic data of relief from interregional gap when planner establishes supplement program of Medical facilities trough relative analysis of Medical facilities in Korea and Japan. The result is this : 1. In Medical level, region exists 1-2 Medical facility is 「Rural form」and region exist more than 3 medical facility is 「Urban form」. 2. We know that Korea medical service level is lower than Japan's. 3. Establish clear-cut lines of Minimum unit of population in Medical facilities. 4. By taking advantage of theoretical Model, result of Analysis present a method of assess medical service facility in relation to population size.

      • 주거환경 개선수단으로서의 재건축 제도에 관한 연구

        공장표,한상훈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9 環境硏究 Vol.18 No.2

        요약문본 연구는 기존 재건축제도의 문제점 분석과 아울러 이에 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의 고찰과 재건축과 관련한 현행 법규 및 새로 개정된 건축법을 분석하였다. 또 기존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장래 주택 재건축의 수요 를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주거환경 개선수단으로서 재건축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적정 개발밀도의 적용, 개발부담금 제도의 도입, 건축물 수명측면에서의 신 주택관리기법의 도입, 그리고 사업규모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 규모이상의 재건축사업을 재개발로 전환하는 등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끝으로 주거환경 개선수단으로써 재건축과 역할과 기능에 관한 장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of which i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multi-family housing reconstruction process in Korea.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usefulness of current housing reconstruction system as a mean to enhance dwelling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not only reviews previous studies but the current administration process and newly revised Architect Law in terms of housing reconstruction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the housing reconstruction market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tatistical reports. Basis on these data this study identifies various problems of the current housing reconstruction system and shows that in order to maximize the usefulness of housing reconstruc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aption of the optimum development density for each project site, development fee, new housing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building life-cycle approach, and transition of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 to re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the project's physical and spatial size. Finally this study proposes future research direction regarding to the research issues examined by this study.

      • 주택지구개발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f Daegu 대구도시계획권역의 공영개발사업지구를 대상으로

        공장표,박태준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8 環境硏究 Vol.17 No.2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택지개발사업이 가지는 특성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택지구의 규모와 각 기반시설 및 편익시설들의 규모에 대한 결정은 수용가구수와 각 시설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유도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용도시설별 토지면적을 전체사업지구면적에 대한 비율로 산정하여 이를 목적변수로 삼고, 전체계획지구면적, 가구수, 가구밀조를 각각 설명변수로 하여 각 용도시설별 면적비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로 공영개발사업 역시 지금까지의 주택정책과 마찬가지로 주책의 양적인 공급을 우선으로 하는 고밀개발을 하고 있었고. 공공시설용지의 배분이 시설기준에 의해 적정한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사업주체의 개발방식의 차이에 의해 공공시설용지의 배분비율이 상이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후의 바람직한 주거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첫째. 계획지구의 개발밀도의 상한선을 제도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고, 현행 공동주택건설용지의 비율기준을 하향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시설용지에 대해 적절한 규모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설치기준보다 상회하는 수준으로 공공시설동지를 배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적정한 수준의 상업시설용지의 배분이 요구되며, 단독주택의 용도전환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단독주택의 위치에 따라 필지의 건폐율과 용적율에 대한 차등적용을 통하여 규제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es of current site development project, and to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 of public development project. It is induced by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numbers and facilities that decides the scales of residential district and infra-facilities and service facilities. On this point, this study compare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s the scales of district, the numbers of household and household densities with dependent variable which has the scales of district, the numbers of household and household densities with dependent variable which has each facilities rat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site development project also takes precedence of quantity than quality as well as housing policy until now. Such high density developments bring many damages on the aspect of physical and mental owing to increase establishment charge of other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y area wasn!t distributed rightly by the facility standards based on statutes,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the public facility area was showed different resul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yle of the business object. The following items should be proposed to improve the direction of public development project in the juture First, to sublate high density development needs lawal limitation on the maximum.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rate of multi-family housing is lower. Secondly. in order to maintenance standard of public facility areas!s scale, we try to distribute a public facility area more than the present install standard. Thirdly, it demands that distribute of commerce facility area appropriately and in order to control the conversion of detached house effectively, according to location of detached house, it was needed limit, throughout the grade application of floor area ratio and floor space of lot.

      • 대구시 거주자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김언동,안영복,공장표,임현철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3 環境硏究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 공동주택 거주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는 면접을 통한 설문방식으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 대다수의 세대주들은 고학력을 보였으며 직업은 사무직, 전문직 및 행정관리직으로 나타났다. 2. 전체가구의 약 66%가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같은 비율의 가구가 월 101만원 이상의 가구소득을 보였다. 승용차는 가구당 0.8대로 나타났다. 3. 대다수의 가구가 대구시 내에서 거주이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파트를 선호하였다. 과거의 거주지 이동의 동기는 아파트의 소유, 교육 그리고 교통이었으며, 장래 거주지 이동의 목적은 주거환경, 교통 및 교육으로 조사되었다. 4. 대다수의 가구는 주거환경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었으나 거주지 입지와 도시시설의 입지에 따라 다른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거주자들은 아파트의 주차시설, 종합병원 이용의 편리성, 재래시장, 쓰레기처리, 아파트주변의 쾌적성 또는 공공공간 그리고 노약자를 위한 휴식공간등에 불만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households in Taegu city. In the process of this investigation, the report used a question method which is based on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 1. The majority of apartment households are highly educated and engaged in the field of office, special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work. 2. About sixty-six percentage of apartment households are owners of their own apartments and equal percentage of those make more than 1,010,000 won in a month. It is revealed that a private car per household is 0.8. 3. The majority of apartment households were moved in the inside of Taegu city and like apartment. The main motives of the past movement are ownership of aparment, education and traffic and it is revealed that those of the future movement are housing environment, traffic and education. 4. The majority of apartment households are satisfied their housing environment but they have different image about the condition of residence location and urban facilities location. They are dissatisfied with a parking facilities of apartment, convenience of the use of general hospital, the past market, the trash treatment, amenity of apartment outskirts or public space, and rest space, and rest space for the old and weak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