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大都市 區自治制에 관한 硏究

        공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55

        한국의 지방자치법은 특별시와 광역시의 구에 대하여 법인격을 부여하고 시·군과 동일한 기초자치단체의 지위를 부여했다. 원래, 하나의 공동체인 대도시를 기초자치단체로 분할한 것이 구이다. 구자치제가 적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7대 도시인 서울·부산·울산·대구·인천·광주·대전의 거주인구는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도시에 산업·경제·문화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도시에서의 구자치제의 성공여부는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성패와 직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정부는 자치구가 주민을 위한 행정을 전개하는데 무엇을 지원해야 하고 효율적인 관리체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구의 자치역량을 강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모색을 본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구자치제도는 법적지위의 측면에서 준자치구 내지 특별자치단체의 성격을 띠고 있어 시와 자치구의 관계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와 자치구간의 기능적, 법제적 상하관계로 인해 갈등적 요소가 많이 발견되고 있고 갈등시에도 조정노력이 뒷받침되고 있지 않은데에 기인한다. 특히 사무배분의 경우 기본적으로 상호 대등한 수평적 관계가 아닌 수직적 관계의 형성으로 끊임없는 통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치구의 재정력이 열악하여 합리적인 재원조정이 필요하나 자치구간의 재정력 격차의 심화와 재정수입의 안정성의 결여에 따른 문제를 노정시키고 있다. 특히 예산편성의 자율성이 낮으며 예산집행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인사 및 조직의 측면에서는 자치인사권과 자치조직권의 제약에 따른 어려움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구자치제의 강화를 통해 지방행정의 능률성과 주민편의를 제고시키고 구자치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은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는데, 제1장은 서론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제2장은 대도시 자치구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서 자치구제의 의의와 자치구제 개편에 관한 논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3장은 외국의 대도시 자치구제에 관한 검토로서 영국, 일본, 미국의 구자치제에 대한 개편의 과정과 일반적인 특징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치구제에 관한 시사점을 협의제도, 사무배분, 재원조정, 구의회의 기능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제4장은 한국 대도시 자치구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법적지위, 사무배분, 재원배분, 인사 및 조직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재원배분의 관점에서 자치구 제정력의 문제, 자치구 예산편성 및 집행의 문제에 관해서 상세히 고찰하였다. 제5장은 한국 대도시 자치구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해서 법적지위와 계층구조의 변경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안들을 살펴보았고, 사무배분 및 재원배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특히 재원배분의 문제에 있어서는 시세와 구세를 조정하거나 자치구 예산운용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아울러 자치구세 선정을 위한 대안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인사 및 조직의 개선, 협의제도 및 구의회 기능의 강화라는 측면에서도 개선방안을 서술하였다. 제6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개괄적인 정리로 끝을 맺었다. This paper tried to improvoments of Self-Governing Districts in the metropolitan city. The first part begins with the logic of the improvements of self-governing districts, and about the various aspects of relations between the metropolitan city and the Self-Governing Districts in advanced countries. The above analysis of these realities helpus to some reform recommendations. In Korea, major problems of the present Self-Governing Districts has been pointed out in this paper. Those problems hamper the development of Self-Governing Districts by administrative obstacles. I can find a few important characterist seen in the Self-Governing Districts in Korea. First, the functional divisions of governmental activities in Korea are very ambiguous and delageted activities from the metropolitan city to Self-Governing Districts. The points allow us to present a few suggestions. Reallocationg the governmental functions between the metropolitan city and self-governing districts must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functional specialization. And quaranteeing the maximun effective participation of both the metropolitan city and the Self-Governing District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concerning the reallocation of governmental functions. Besides, recompensing fully the accrued expenses corresponding to the intergovernmental delegation and devolution of functions. Second, Self-Governing Districts have two critical financial problems financial deficiency and inequity. So, it is necessary to have tax-sharing system, which distrubutes local taxes to each Self-Governing Districts based upon either the population size, or tax ammounts colleded by each Self-Governing District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suggest the best alternative, because each alternative has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Third, we don't have purely decentralized government, but we know the decentralized Self-Governing Districts have a number of advantages. For exemples; they are far more flexible than centralzed metropolitan city, Self-Governing Districts are more effective than metropolitan city, Self-Governing Districts institutions are far more innovative than metropolitan city, decentralized institutions generate more commitment and greater productivity. But, it is well known that Korean local autonomy system is characterized as authoritative and orientated toward centralism. So, Self-Governing Districts system have crisis of local autonomy. Fourth, no single condition is unique to local authorities. Local government as it has developed has the special, if not unique, feature that it is both deeply political and deeply professionalized. The main actors within local authorities are subject to very powerful but very different process of socialization. This duality confronts the dilemmas of local choice in Korea. Lastly, many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 likely conflicts between metropolitan city and the Self-Governing Districts. But it is possible to face unnecessary conflict that can be avoided. In order to lower the chance of conflict there should be a clear line in the division if the metropolitan city and Self-Governing Districts. Administrative tasks should be redesigned and financial responsibilities should be concretely defined.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tropolitan city respect the views and perspectives of Self-Governing Districts without tending to force them to observe directives issued by the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which used to be precedents. In addition, fiscal power and political devolu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near future to vitalize Self-Governing Districts.

      • 중학생 정서·행동특성 정상군과 관심군의 생활역량 비교분석

        공미정 동의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the life competencies of students in the normal and concerned group in an inventor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not only provide a set of criteria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management of counseling and programs at secondary specialization agencies offering follow-up management to the students of the concerned group, but also contribute to the students' adjustment to family, school, and social life.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examined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collected data by administering an inventor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students and a test to diagnose the life competencies of adolescents to total 647 students at two middle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excluding 59 questionnaires containing insincere answers, the investigator used total 588 in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5.0 program, and Cronbach’s α coefficients were measured to test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students for the normal and concerned group.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btained to examine the life competencies of the entire students, normal group, and concerned group.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normal and concerned group in life competencies, six sub-competencies, and 19 life skil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n inventor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students was administered to total 588 students, and the results show that 87.1% and 12.9% belonged to the normal and concerned group, respectively. Girls recorded a higher percentage in the concerned group, where the seventh graders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being followed by the ninth and eighth graders in the order. Seco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normal group scored 3.50 out of five in life competencies with their mean scores in 3.12~3.82 across the six sub-competencies, of which they scored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in democratic citizenship and coping with problematic situations, respectively. Their mean scores were in 2.89~3.89 across the 19 life skills, of which life manners were the highest, being followed by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conflict control, and leadership in the order. Coping with media addiction was the lowest, being followed by allowance management, time utilization, and physical management in the order. Third,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concerned group scored 2.63 out of five in life competencies with their mean scores in 2.38~3.12 across the six sub-competencies. They also scored the highest and lowest points in democratic citizenship and coping with problematic situations, respectively, like the normal group. They seem to have the same tendencies as the normal group, but their mean scores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The mean scores of the concerned group were in 2.36~3.27 across the 19 life skills, of which life manners were the highest, being followed by physical management,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time utilization. Coping with media addiction was the lowest, being followed by coping with harmful environments, task solving, and allowance management in the order. Finally,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ormal and concerned group in life competencies and found tha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mean scores between them across all the domain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is, the normal group had overall higher life competencies of changing individual emotions and thoughts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daily life and maintain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 with others than the concerned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oncerned group lacks in the skills of creativity cultivation, task solving, learning attitude, and coping with harmful environments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and are expected to serve as useful data at youth-related agencies including Wee Center,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s for adolescents, and mental health and welfare centers providing the students of the concerned group with follow-up management.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과도한 학업경쟁, 가족구조의 변화, 학교폭력의 노출, 무분별한 정보 등으로 인해 정서·행동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교육부, 학교, 청소년관련기관 등에서 정서·행동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상생활에 대한 기초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에서 정상군과 관심군으로 선별된 학생들의 생활역량을 측정하고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심군 학생들의 사후관리를 하고 있는 2차 전문기관에게 상담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심군 학생들이 가정, 학교, 사회생활을 적응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자료수집에 있어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와 청소년 생활역량 진단검사를 부산광역시 소재의 2곳의 중학교에서 총 64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59부를 제외하고 총 588부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상군과 관심군을 선별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체학생, 정상군, 관심군의 생활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값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상군과 관심군의 생활역량, 6개의 하위역량, 19개의 생활기술을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총 588명을 대상으로 학생 정서·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한 결과 정상군이 87.1%, 관심군이 12.9%로 나타났다. 관심군 중학생들 중 성별비율로는 여학생 관심군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비율로는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상군 중학생의 생활역량 수준은 5점 만점에 3.50이며, 6개의 하위역량의 평균값 분포는 3.12~3.82로 나타났다. 6개의 하위역량 중에서 민주시민역량이 가장 높았으며, 문제상황대처역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정상군 중학생의 19개 생활기술 평균값의 분포는 2.89~3.89로 나타났다. 그 중 생활예절기술의 평균이 가장 높고, 공동체참여기술, 갈등조절기술, 리더십기술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매체중독대처기술의 평균이 가장 낮고, 용돈관리기술, 시간활용기술, 신체관리기술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관심군 중학생의 생활역량 수준은 5점 만점에 2.63이며, 6개의 하위역량의 평균값 분포는 2.38~3.12로 나타났다. 관심군도 정상군과 마찬가지로 민주시민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제상황대처역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같은 경향을 보이지만, 평균값이 정상군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관심군 중학생의 19개 생활기술 평균값의 분포는 2.36~3.27로 나타났다. 그 중 생활예절기술의 평균이 가장 높고, 신체관리기술, 공동체참여기술, 시간활용기술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매체중독대처기술의 평균이 가장 낮고, 유해환경대처기술, 과제해결기술, 용돈관리기술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정상군과 관심군 중학생의 생활역량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평균값이 많이 차이가 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상군이 관심군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며 타인과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개인의 감정과 사고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생활역량이 전반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관심군이 정상군에 비해 창의성개발기술, 과제해결기술, 학습태도기술, 유해환경대처기술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관심군 학생들의 사후관리를 하고 있는 Wee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청소년 관련기관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계피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디자인

        공미정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대학원 연구 기간 동안 연구하고 제작된 작품을 토대로 계피 향기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 디자인에 관하여 서술한 것이다. 산업화로 인해 파괴되어가는 지구를 더 이상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디자인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친환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중 계피향을 이용한 생활 제품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계피는 방충, 방부, 스트레스 완화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그 향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계피 향의 방충 효과를 이용하면 보다 친환경적인 해충 퇴치가 가능하다. 기존의 살충제는 해충들을 죽이는 방식으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계피는 그 향만으로 해충들을 퇴치해 주며 지속적인 향의 유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계피의 향은 장기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집중력을 향상시켜 안전운전을 하는데 효과적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방향제는 화학성분을 이용한 인공적인 향을 지니는 반면, 계피는 원형그대로 향의 지속시간이 길기 때문에 오랜 시간 자연의 계피 향을 방향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제품에 계피 향을 첨가하면 살충제를 사용할 필요도, 방향제를 따로 준비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하나의 제품이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것은 제품의 최소화로, 그린디자인의 목적과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계피 향을 이용한 디자인에 있어 최소한의 가공으로 디자인 하는 것이 이 연구의 요점이다. 본 논문은 계피 향이 실생활에 조화롭게 응용될 수 있는 제품디자인을 제시한다. 제품의 시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친환경 요소, 더불어 실생활의 유용함을 고루 갖춘 디자인을 제시한다. 계피를 이용한 친환경 제품 디자인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에 필요한 여러 제품들이 다양한 천연 향기를 이용해 친환경적으로 만들어 지기를 기대해 본다. Based on a study of otter froducts and graduate research, this paper describes environment-friendly product design using cinnamon aroma. Also, this study is ffcused on Oe design of daily product, using cinnamon and avoiding pollution to the environment. Cinnamon serves as an insect repellent, preservative treaaent and stress reliever. Cinnamon aroma is known to protect people from the insects. Vis-a-vis eristing pesticides which ki31 iusects, cinnamon keeps'the insets away. Moreover, Cinnamcil's natㄴuel and permanent aroma can arigt f3r a longer period than erist- ing artif'.cial aroma products, Finally, Cinnamon relieves long distance-driver's stress and improves their concentration, which leads to saf2 driving. If the cinamon on aroma is added to the daily product, pesticides and artificial aroma products are unnecessary. A product with various functions is referred fa minimized Product, which is the otjective of 잉eon design. Thus, the minimized process of using Cinnamon is the point of this study. This paper introduces product design using cinrwon aroma for daily life. Visual ffcts, environment-friendly facts and convenience in usual life are taken inO consideration of the product of degign. Reseauh and the outcome of this paper imply that many products will be designed using other natural aromas.

      • 대학시설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아대학교를 중심으로

        공미정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시설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cy Plan of Facilities Management in University -Focus on Dong-A University- 건설사업관리학과 공 미 정 지 도 교 수 이 학 기 최근 국내 대학들은 대학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와 대학 간의 규모 확대 경쟁의 과열, 대학평가에 따른 편중지원, 대학의 서열화, 대학의 특성화와 구조조정,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학령인구의 감소 등으로 대학 경영환경의 악화를 겪고 있다. 국내 대학의 내‧외부적인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경영혁신 방안이 요구되었고 그 일환으로 대학의 정보화가 정책적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경영환경과 시설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학의 시설 및 공간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시설 및 공간관리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시설관리 현황으로 대학별 시설확보 현황과 시설관리 및 운영 현황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시설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구축현황과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대학교의 시설 및 공간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 후 그 개선방안을 시설 관리적 측면, 운영 관리적 측면, 통합시설관리시스템 활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별 시설확보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립대학일수록 교사 시설의 확보율이 높고 시설관리 인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아대학교의 시설확보 및 시설 관리 직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일 그룹의 대학 중 교지면적 확보율은 높은 반면 교사시설 확보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설관리에 투입되는 인력은 최저 수준을 기록하여 시설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대학별 시설관리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학시설의 관리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시설관리 인력의 부족을 지적하였으며, 대부분의 시설관리 업무는 시설과에서 주로 업무를 주관하고 있었으며 공간관리는 기획과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동아대학교를 살펴보면, 건설과에서 시설 및 공간관리 업무가 일원화되어 단일부서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대학시설의 규모에 비해 담당인력이 부족하여 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구축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 중 55%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스템을 사용 중인 대학은 공간관리 규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스템의 활용현황을 살펴보면, 6단계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학이 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의 규모와 실정에 맞는 단계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운영 및 활용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대학시설의 잦은 공간정보 변경으로 인해 실시간 관리가 어려움’(37%), ‘공간현황자료와 도면정보의 상호 연동 체계가 어려움’(12%), ‘부서/업무간의 호환성이 낮음’(12%)으로 지적되었다.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대학은 업무능력 향상, 비용절감, 부가가치 창출, 품질향상 측면에서 효과가 높다고 평가하였다. (5) 동아대학교의 시설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시설 및 공간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개선방안을 시설 관리적 측면, 운영 관리적 측면, 통합시설관리시스템 활용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주요어 : 대학시설관리, 대학공간관리, 통합시설관리시스템

      •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장·노년층 혈압정도에 따른 맥파전도속도와 동맥협착도에 미치는 영향

        공미정 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effects of Korean dance program on changes of b-a PWV and? ABI in hypertensive elderly people Mi jung, Kong Major in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upervised by Professor In-hyun, Chang)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search into the effects of Korean dance program on changes of b-a PWV and ABI in hypertensive elderly people and to clarify that the Korean dance program can be kinesiatrics of cardiovascular disease. 19 people with high blood pressure in P Cultural & Welfare Center of D city were randomly assigned for Korean dance program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Korean dance group and the non-Korean dance control group to analyze changes of b-a PWV and? ABI during the study period. 1. The blood pressure(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Korean dance group was decreased. The pulse rate of Korean dance group and the blood pressure and the pulse rate of the control group were not changed. However, the blood pressure(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Korean dance group was changed with a positive result. 2. b-a PWV of the Korean danc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changed but relatively decreased. 3. After the Korean dance program positive results were released when you see the change of R-L ABI as it was near the normal range(1.1~1.3). R-L ABI of the control group was not changed. As a result, after the regular and moderate exercise of Korean dance the positive effects of blood pressure were released in hypertensive elderly people. Also it was proved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bad Vascular Compliance and ABI.

      • 그림책을 이용한 도덕적 갈등상황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

        공미정 신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icture book based moral dilemma discussion on young children's perspective tak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made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intention perspective taking 1-1. between children in a discussion and reading group? 1-2. between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ought perspective taking 2-1. between children in a discussion and reading group? 2-2. between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3-1. between children in a discussion and reading group? 3-2. between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To answer the questions, 64 young children (32 of four-year-old, 32 five-year-old) attending a preschool in Busa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discussion group or a reading group. Children in the discussion group took part in twelve 20~25-minute sessions of moral dilema discussion, whereas their counterparts participated in the same sessions of reading activity. After the session of each activity, all children were individually tested on three kinds of perspective taking tests. The data were analyzed in 2(program) × 2(age) ANOVAs using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tion perspective taking ability between children in the discussion and the reading group as well as between four-and five-year old children.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ought as well as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between children in the discussion and the reading group. However, the age did not make any difference on the both thought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between the two age groups.

      • 논증적 글쓰기와 수사학 : 비판적 사고와 설득능력의 함양을 위한 글쓰기 교육

        공미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attempts to open some debate with respect to the rhetoric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of writing as a way to cultivate critical thinking and persuasive power. I try to suggest the direction the modern rhetoric should take by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a wider understanding of rhetoric and its role in the writing of argument. It is revealed that the education of writing is being more emphasized as a process of education to build up critical thinking and power of argument being a condition to realize the image of ideal human beings demande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cannot keep abreast of the change of modern times and society. The education of writing plays a role as the education of basic liberal arts and becomes a channel for the education of citizen. It is meaningful that the power of thinking and persuasion developed by the education of liberal arts can be improved more by the deep study of a specific area. Rhetoric can be reasonably discussed because writing aims not to be a simple process but to communicate with a reader. Persuasion has a complicated mechanism and it is available through argument. The power of argument is a basic qualification for a member of a community. The free communication is required to dissolve the conflict which arises by means of a variety of value systems. In some cases, we can persuade others by argument through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a consensus and concession can be reached. In this sense, rhetoric has an ethical value with respect to the practice of the judgement of value by the members of a community. I divided the argumentative writing into the process of thinking and the process of writing. The process of thinking is divided into description, content construction, intensification and visualization, and the process of writing, into brainstorming, topic choosing, structurization, plot making, draft writing, and revis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process of thinking because in the practice of writing, the descriptive technique can be only part of writing, not writing itself. Rhetoric in writing takes up an extended realm getting beyond an original limited one by contributing to creating a public discourse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Recognizin rhetoric in a new perspective can not only bring an active correspondence to a today's real world which is radically transformed by information revolution and globalization but also expect the effect of practice, namely, the change of environment by internet and text messaging. 이 글은 비판적 사고력과 설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관련하여 수사학과 관련된 점에서 몇 가지 논의거리를 던지려는 시도이다. 이 글은 특히 논증적 글쓰기에서 수사학의 역할과 ‘수사학’에 대한 더욱 넓은 이해의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현대 수사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대적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의 환경도 변화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교육여건 속에서 교육에서 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을 실현하기 위한 조건으로 비판적 사고력과 논증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과정으로서의 글쓰기 교육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글쓰기 교육은 대학에서의 기초교양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데, 이것은 나아가 시민교육의 일환이 되기도 한다. 교양교육을 통해 얻은 사고력과 설득 능력은 특정한 한 분야의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글을 쓰는 것은 단순한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독자와 소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설득의 학문인 수사학을 논의할 근거를 갖는다. 설득이란 복잡한 매커니즘을 갖게 되는데, 이는 논증을 통해 가능하다. 논증 능력은 사회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기본교양이다. 사회에는 여러 가지 이해관계와 다양한 가치관의 차이에 따라 갈등이 생겨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의사소통과정에서 논증을 통해 상대를 설득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의 합의와 승인을 얻어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수사학은 사회의 구성원들이 만들어 내는 가치판단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윤리적 가치가 함의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논증적 글쓰기의 과정을 사고 과정과 글쓰기 과정으로 나누어 보았다. 사고 과정은 정의하기, 내용 구성하기, 심화하기, 시사화하기 등 4단계로, 글쓰기 과정은 구상, 주제, 구성과 개요작성, 집필과 퇴고 등으로 나누었다. 실제의 글쓰기에서는 이러한 표현의 기술이 글쓰기의 일부는 될 수는 있어도 전부가 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고과정에 더욱 중점을 두고자 했다. 글쓰기에서 수사학의 적용은 의사소통이나 결정의 매체로서 공공의 담론을 창출하는 데에 기여함으로써 수사학은 애초의 ‘한정된’ 영역에서 벗어나 ‘확장된’ 영역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수사학을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무엇보다도 정보화, 세계화로 인해 근본적으로 변화된 오늘날의 현실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문자메시지를 통한 환경의 변화에 제대로 된 말과 글에 대한 인식과 교육이라는 실천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과 괴롭힘 피해의 관계 : 지각된 학급풍토의 조절효과

        공미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three subtypes of social withdrawal(shyness, unsociable, regulated), class climate and verify moderating effect of class climate in the relation to social withdrawal and bullying victimization. To do this,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SEQ), Child Social Preference Scale-Revised(CSPS-R), Class Climate Questionnaire were implemented to the adolescents who are studying at middle school in Busan. 382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in several steps using SPSS 20.0 :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 girls and adolescent boys in terms of relational bullying and shyness withdrawal, regulated withdrawal.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withdrawal subtypes and bullying victimization with adolescent girls. Adolescent boys were no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gulated withdrawal and bullying victimization.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utonomous or familiar class climate and bullying victimization. But, controlled or laissez-faire class climate and bullying victimization were positive correlations. Finally, controlled or laissez-faire class climate moderates the effects of shyness withdrawal, regulated withdrawal on peer bully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dolescent girls.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a need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nsiders gender differences and specific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victimization, social withdrawal and class climate for middle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fully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