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QL, PHP를 활용한 웹기반 갈등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기남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1990년대부터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여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공동주택 재건축사업 진행과정에서 조합, 시 공사, 행정관청, 도시정비사업자 등 사업주체 상호간의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그 결과 사업기간이 연장되어 막대한 사회적 비용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재건축사업은 사업 추진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갈등관리에 대한 정보의 부족과 예측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갈등을 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비전문가 집단으로 이루어진 재건축사업 주체에게 재건축사업의 정보 및 갈등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갈등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갈등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재건축사업의 주체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접근 가능한 웹 기반 갈등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계층 및 비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의 주체들이 갈등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고, 등록·공유할 수 있는 웹 기반 갈등관리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갈등관리시스템은 MYSQL, PHP, GD Library 등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재건축사업 주체의 갈등정보를 수집하고, 갈등관리 정보를 제공하며 사업주체들의 접근이 용이 하도록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건축사업의 갈등관리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일 방향 시스템을 구현하여 재건축사업 주체에게 제공되는 정보제공의 범위와 체계를 수립하였다. (2) 재건축사업의 주체를 통해 갈등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가공하여 갈등관리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양방향시스템과 갈등영향평가시스템을 구현하였다. (3) 웹 기반 갈등관리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반 정보기술사항을 사용자 측면의 정보 흐름과 시스템 측면의 객체지향적 정보 흐름으로 구분하여 구축하였다. 또한 재건축사업 주체가 등록한 실적데이터를 이용하여 재건축사업 주체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갈등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4) 현행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재건축관련 웹 시스템과 차별화하여 모든 재건축사업의 주체가 갈등관리시스템을 통해 질의하고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양방향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재건축사업의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5) 웹 기반 갈등관리시스템의 실시간 활용 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으로의 개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1990s, apartment reconstruction project have been implemented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enhance life of quality in the districts where ar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But these reconstruction projects caused conflict between the bodies of the project and loss of social cost on account of various reasons such conflicts between members of the reconstruction association, the member and tenant, the member and the committee, and the member and construction company.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to resolve the conflict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projects because of lack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flict management and absence of the predictable program when the conflict occurs.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f reconstruc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hould be given to the reconstruction parties that is organized by laymen, and the parties need organized conflict management system for the conflict impact assessment. Web-based conflict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ccessed in real time without any limit of time and space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parties of re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implement web-based conflict management system to help the parties organized by various classes and group of laymen ,obtain and shar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flict. Conflict management system collects the information about conflict between the parties using IT such MYSQL, PHP and GD Library, and is implemented to easily access for the par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rage and system of providing information are established by implementation of one-way system to give informa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2) The conflict information is collected by the parties, and two-way system and conflict impact assessment system finding out information about conflict management are implemented. (3) The information technology to implement web-based conflict management system is established by sorting into user-focused information flow and individual information flow. Besides, systematic and logical conflict management system model is presented by providing reliable information using actual data registered by the parties in this study. (4) This study presents the model making communication by question and answer of the parties through the system, and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web-based systems. (5)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 is presented to improve real-time use of web-based conflict management system.

      • 대학시설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아대학교를 중심으로

        공미정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대학시설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cy Plan of Facilities Management in University -Focus on Dong-A University- 건설사업관리학과 공 미 정 지 도 교 수 이 학 기 최근 국내 대학들은 대학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와 대학 간의 규모 확대 경쟁의 과열, 대학평가에 따른 편중지원, 대학의 서열화, 대학의 특성화와 구조조정,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학령인구의 감소 등으로 대학 경영환경의 악화를 겪고 있다. 국내 대학의 내‧외부적인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경영혁신 방안이 요구되었고 그 일환으로 대학의 정보화가 정책적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경영환경과 시설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학의 시설 및 공간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시설 및 공간관리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시설관리 현황으로 대학별 시설확보 현황과 시설관리 및 운영 현황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시설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구축현황과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대학교의 시설 및 공간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 후 그 개선방안을 시설 관리적 측면, 운영 관리적 측면, 통합시설관리시스템 활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별 시설확보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립대학일수록 교사 시설의 확보율이 높고 시설관리 인력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아대학교의 시설확보 및 시설 관리 직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동일 그룹의 대학 중 교지면적 확보율은 높은 반면 교사시설 확보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설관리에 투입되는 인력은 최저 수준을 기록하여 시설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대학별 시설관리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학시설의 관리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시설관리 인력의 부족을 지적하였으며, 대부분의 시설관리 업무는 시설과에서 주로 업무를 주관하고 있었으며 공간관리는 기획과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동아대학교를 살펴보면, 건설과에서 시설 및 공간관리 업무가 일원화되어 단일부서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대학시설의 규모에 비해 담당인력이 부족하여 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구축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 중 55%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시스템을 사용 중인 대학은 공간관리 규정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스템의 활용현황을 살펴보면, 6단계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학이 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의 규모와 실정에 맞는 단계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의 운영 및 활용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대학시설의 잦은 공간정보 변경으로 인해 실시간 관리가 어려움’(37%), ‘공간현황자료와 도면정보의 상호 연동 체계가 어려움’(12%), ‘부서/업무간의 호환성이 낮음’(12%)으로 지적되었다. 통합시설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대학은 업무능력 향상, 비용절감, 부가가치 창출, 품질향상 측면에서 효과가 높다고 평가하였다. (5) 동아대학교의 시설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시설 및 공간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개선방안을 시설 관리적 측면, 운영 관리적 측면, 통합시설관리시스템 활용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주요어 : 대학시설관리, 대학공간관리, 통합시설관리시스템

      • 中小企業 適合形 人的誤謬豫測分析 模型 (SQHEPA) 開發

        박정용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 문명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산업화도 비약적으로 고도화되고 시스템 화 되어져 간다. 인간의 활동의 목적은 결과적으로 인간의 질 높은 삶의 추구이며 인간의 행복을 위하여 행해지지만 재해라는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면 궁극적인 목표를 상실케 된다. 전 세계적으로 산업 활동의 결과로서 겪게 되는 중대 사고는 많은 인적, 물적인 손실을 발생하게하고 인간에게 큰 고통을 가져 다 준다.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많은 안전사고의 예방적 활동과 연구에도 불 구하고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세계적인 연구와 분석에 의하여 사고의 원인을 분류하면 인적오류의 원인이 80%이상이라는 것은 많은 연구 결과로서 증명되어져 있다. 국내의 2015년 사고원인 결과에서도 300인 이하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재해가 94%이상을 넘어가고 있지만, 중소기업에서는 상황적 열악성으로 인하여 보다 효율적인 인적 오류의 예방적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규모 기업환경에 맞는 인적오류감소에 대한 연구나 활동이 너무도 부족한 것이 현실이고, 인간 신뢰도 분석(HRA : Huma Reliability Analys)을 통한 인적오류 감소를 위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대부분 첨단의 원자력분야와 대규모 화학공정에 집중되어져 있어서 중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한 인적오류의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 )모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논문에서는 중소기업 환경에서 적합한 인적오류예측분석을 통한 위험성평가 모형(SQHEPA : Semi Quantitative Human Error Prediction Analysis)의 개발에 그 목표를 두었고, 기존의 인간 신뢰도 분석(HRA) 방법론들의 이론적 고찰을 행하고 중소기업에 적합한 인적오류의 유형별 요소들을 분류하여 8가지의 범용적 일반직무요소(GTT : Generic Task Type))와 기본오류율(GEP : Generic Error Type)을 정하고, 24가지의 중소기업 환경의 인적오류 영향인자(PIFs :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들을 도출하고 영향력(Influence of Factor : )과 가중치(Weight) 를 증명된 이론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제시 하였다. 이러한 항목 요소들을 이용한 새로운 중소기업 적합형 위험성평가모형(SQHEPA) 개발의 방법과 특징 그리고 그 절차를 도출하고 제안하였으며, 그리고 새로운 모형의 한계점과 장·단점을 분석 평가하고 중소기업 생산시설의 현장에서의 적용방법을 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 적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개선방법을 통한 인적오류영향인자의 수정, 복구, 회복, 우회적 방법을 통하여 인적 오류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새로운 인적오류 예측분석모형(SQHEPA)은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쉬운 절차와 방법으로써 현장적용이 가능하고 그 결과로서 인적오류를 일으키는 수행성 영향인자들을 수정·개선·복구하고 감소시킴으로써 안전사고와 재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새로운 분석모형(SQHEPA)은 중소기업 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한계적 범주를 가지고 있으며, 그 모형이 단순하고 쉬운 절차를 가지고 있음에 의해 대규모 설비 시스템이나 복잡도와 위급도가 매우 높은 고수준 환경에서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보다 나은 시스템 개선을 위하여 추후에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 산업기계 안전제어시스템 설계를 위한 EN 954-1과 EN ISO 13849규격의 비교 및 국내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김태호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산업기계 안전제어시스템 설계를 위한 EN 954-1과 EN ISO 13849 규격의 비교 및 국내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paring EN 954-1 to EN ISO 13849 Standard, and Domestic Countermeasures for the Design of Safety Control System of Industrial Machinery 산업경영학과 김 태 호 지 도 교 수 윤 훈 용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를 통한 기존의 EN 954-1 규격과 새롭게 개정된 EN ISO 13849 규격을 비교하고, 국내 대응을 위한 EN ISO 13849 규격의 적용 필요성을 연구함에 있다. 국제 및 유럽 표준 EN ISO 13849는 “safety of machinery – Safety-related parts of control systems”에 관한 표준 규격이며, Part 1 “General principles for design 과 Part 2 “Validation”으로 구분 된다. 이는 기계안전 분야에서 제어시스템의 안전부품 관련하여, 제1부 설계 지침과 제2부 검증 부분으로 나뉜다. 현재 유럽연합 (EU)은 2009년 9월 8일 처음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에 EN ISO 13849 규격이 조화규격 (Harmonized Standard)으로 지정된 이후, 2011년 12월 31일부터 기존의 EN 954-1 규격의 적용을 중단하고 EN ISO 13849 규격의 적용을 강제화하였다. 2012년 1월 1일부터는 새로운 기계가 유럽경제 공동체 (EEA), 스위스 혹은 터키 지역 내 시장으로의 진입을 위해서는 이러한 새로운 규정에 따른 CE 마킹이 필요하다. 국내 기계 제조자 또한 유럽수출을 위해 설계 시 EN ISO 13849 규격을 적용하여야 한다. 현재 위험기계 및 기구에 관한 의무안전인증 제도인 KCs 인증에서는 EN ISO 13849 규격이 안전규격으로 채택이 되고 있지 않다. 오늘날 대부분 복잡한 전자부품을 이용한 안전 관련 제어 시스템 설계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에서도 EN ISO 13849 규격의 도입과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지난 10년 이상 독일 인증기관인 TÜV SÜD에서 EU 기계지침에 따른 산업기계 평가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EN 954-1 규격에 의한 안전제어회로 실제 설계 중에서 안전카테고리 (Safety Category) 등급 B, 1, 2, 3, 4 의 각 회로 5가지를 선택하여 대표화 한다. 여기서 각 회로를 새롭게 EN ISO 13849-1을 적용할 경우 달라지는 점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그 차이를 기술적인 관점과 경제적인 관점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제조자의 이해를 돕고 국내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EN 954-1 규격의 위험성 평가 도구인 리스크 그래프는 잘못 적용될 경향이 있고, 설계 시 참조가 될 지정된 안전카테고리 등급 또한 적용에 있어 정성적이다. 여러 위험성 중 단 하나의 높은 위험성을 내포한 기계 설계에 있어 설계자들이 전체 안전제어 시스템을 안전카테고리 4로 맞추어 설계하여 안전제어시스템이 과설계가 되었다. 이러한 과설계는 높은 비용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EN ISO 13849-1 규격은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설계자들이 안전제어시스템을 보다 적은 수의 부품과 배선을 통해 경제적인 방법으로 설계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새로운 규격 적용에 따른 많은 장점들은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고, 기존의 규격에 비해 새로운 규격은 전자식 안전제어시스템 설계 시 보다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규격의 중요성과 장점들을 고려할 때 국내 산업기계 안전을 위해 이 규격의 국내 적용이 중요하며, 사례를 통한 EN 954-1과 EN ISO 13849 규격의 비교 결과는 국내 산업기계 안전을 위한 국내 적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무산소조 개조를 통한 피혁 및 수산물 가공 산업 폐수의 질소처리 효율개선

        김정웅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55

        산업화에 따른 부작용으로 여러 가지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피혁 및 수산가공사업에서 발생한 폐수의 질소성분은 부영양화 등 자연계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 인해 경제적 손실이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영양염류인 질소 처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처리 공정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피혁 및 수산가공폐수를 처리하는 기존 하수처리장의 질소제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존 폭기조를 무산소-호기조로 개조시키고 질소 제거 효율을 분석하였다. 시설 개조 후 전체 연구기간 동안 무산소조로 유입되는 물은 8.85 - 60.01 mg T-N/L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중 초기 13일까지는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방류수 수질 기준치인 60 mg T-N/L을 초과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4일 이후에는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4.01 - 10.00 mg T-N/L이었고, 이 기간 동안 T-N 제거효율은 30.1 - 76.6%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초기 13일간의 안정화 기간 이후부터는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방류수의 수질기준을 충분히 만족하였으므로 기존 폭기조를 무산소로 개조를 통해 질소 제거가 잘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제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분석

        이춘재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메탈보다 가볍고 강한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부품을 생산하는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 종사자들은 규격서에서 요구하는 복잡한 내용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한치의 실수 없이 순서에 따라 한 장, 한 장 적용하거나 지정된 하드웨어를 적용하여 고객 만족과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결함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하는 중요한 업무로써 이러한 업무 수행은 작업자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게 됨으로 부적합한 부품 생산의 주요 인적 요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승객들의 편안하고 안락한 여행과 안전비행을 위하여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 종사자들이 갖는 각종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따라 행동 반응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그러한 직무 스트레스를 어떻게 통제하고 관리함으로써 복합소재 부품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의한 부적합 품을 경감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제조업 종사자 204명을 대상으로 한국산업 안전공단과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제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비교한 결과, 물리환경, 직무자율,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의 요인에서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직무 불안정 요인은 복합소재 부품제조업 종사자(55.11)가 표준산업분류에 의한 전체 제조업(51.75) 비해 상대적으로 실직, 해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고용 불안정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조직체계도 높은 점수(57.12)를 나타내는데 이는 본 업종이 전체 제조업보다 조직의 정략 및 운영체계, 조직의 지위, 조직 내 갈등, 합리적 의사소통 등의 수준이 낮음으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승진에 대한 가능성, 자신의 교육 및 경력에 비추어 볼 때 직위 적합 여부를 느끼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고용형태와 업무내용, 육체적 피로감, 정신적 피로감이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고용형태와 업무내용에 따라서 특히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정규직, 비정규직의 고용형태 특성상 나타나는 결과라 생각되며, 항공기 복합부품 제조 업무 특성상 Assy, Lay-up, 화공 페인트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에 차가 큼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는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 종사자들과 같은 힘든 업무지식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함은 물론 부적합한 부품제작으로 인한 항공기 안전사고 예방효과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분배기 및 플렉시블에어호스를 이용한 환기용 덕트시스템의 적용성 검토

        김병운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 2003년 이후로 시작된 주택 내 실내환경에 대한 관심은 2004년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관리법의 시행과 sick-house syndrome 및 well-being에 대한 국민적 관심의 고조와 더불어 사회적인 이슈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에 2006년 이후 신축되는 공동주택에는 실내공기환경 개선을 위한 환기설비의 설치가 의무화 되었으며, 현재 일반적으로 1종의 강제 급․배기 기계환기장치가 적용되고 있고, 일부 창문 등에 자연환기구를 설치하는 자연환기장치 등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계환기 방식은 각 실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환기용 덕트의 경로가 현실적으로 필요하다. 2004년 11월 국회에서 주택법 개정안이 통과되었고 2005년 1월 소방법의 적용으로 인해 11층 이상 공동주택의 전층에 대해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일정 높이의 천장공간이 확보되어, 현재 이 공간을 환기덕트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경제적인 측면에서 층고를 2,800mm~2,950mm 이하로 제한하고 있어 실질적인 천장공간은 170mm~320mm 이내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간내에 환기용 덕트와 스프링클러를 동시에 설치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시도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는 압력손실 증가의 우려가 있음에도 플랫덕트(flat duct)를 많이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덕트를 사용하여 각 실로 덕트 설계를 할 경우 스프링클러 등을 피해 각 실에 설치되기까지의 덕트 길이가 상당히 길어질 수밖에 없어 시공성, 효율성 및 경제성의 측면에서 불리함이 현실적인 문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량조절형 분배기와 플렉시블에어호스를 이용해 저정압의 설치성이 증대된 주거용 환기 덕트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해 CFD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분배기 설계 및 플렉시블에어호스의 실험을 통한 검토를 실시하여 최적의 주거용 덕트시스템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recent indoor air quality problem in a newly-built apartment house is resulted from the improvement of airtightness performance and the use of the building material contained harmful chemical substances. As a result, these cause indoor air quality gradually to become worse and the harmful effect on occupant health called Sick House Syndrome. So recently, the instruction of the house ventilation system was necessary because of the recent construction trend and the legal ventilation frequency 0.7 point inside the house of common. Accurate information on the pressure loss characteristic of applied duct and fitting should be provided for design of ventilation system. A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efficient way of duct in limited ceiling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pressure loss characteristic generated by duct and fitting which are used in house ventilation system by the mock-up test, and is to secure database for optimum design of hous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comparison between original ventilation duct system and unified ventilation duct system by network simulation and experiment, it is estimated to application possibility of house ventilation duc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