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복지관 간호사를 위한 간호사정조사도구 개발 및 적용

        고하나 ( Ko Ha Na ),송미순 ( Song Misoon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6 간호학의 지평 Vol.13 No.2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nursing assessment tool for senior center nurses, and to test its feasibility and content validity.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psychometric test design.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geriatric health needs and Gordon’s 11 domains of functioning health. Initially, the tool was evaluated for content validity and feasibility. Then, it was administered among 195 older adults in a senior center by a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Data were analyzed to describe the nursing problems of the senior center older adults. Results: The final version of the nursing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27 items. The internal consistency, measured with the Cronbach’s α, was .74. The result of the assessment showed that senior center older adults had high nursing needs in the area of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hypertension, diabetes, and lipids), dental care, community relations, safety, elder abuse, health behaviors (such as drinking), mental health (depression, suicide, and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 consultations. Conclusion: The new tool was feasible for use with senior center participants, and it was evaluated as having high content validity by senior center nurses.

      • KCI등재

        여성 상담자의 알아차림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 스트레스 조절효과

        고하나(Ha-Na KO),김정규(Jung-Kyu K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여성 상담자의 알아차림 및 알아차림의 하위 변인들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상담사 자격 취득 전후인 여성 상담자 165명을 대상으로 K-KIMS척도, 스트레스 척도, K-CBI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기분석, 원점수 회귀 방정식 구성, 존슨-네이만 방법을 적용하여 상호작용 탐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아차림의 하위 변인 중 수용과 스트레스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알아차림의 하위 변인 중 수용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스트레스 수준에 의해 조절되었으며, 알아차림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스트레스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컸다. 이 같은 결과는 마음챙김 스트레스 완충기제가설에 부합되며, 상담자 소진 예방을 위한 알아차림 향상 프로그램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스트레스 수준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and women’s counselor burnout. For reaching this goal, data on 165 women counselors were collected. Participants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s on awareness, stress and burn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Jonson-Neyman technique. The result indicated that acception of sub factors of awareness interacted with stress such that it played a more prominent role during higher stress than during lower stress. Consistent with a mindfulness stress buffering account, results showed that aware training for counselor is more effective in the high-stress condition. Therefore, if we offer aware training program to prevent burnout among counselor, we will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 conselor’s stress conditions.

      •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ADHD 성향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놀이를 중심으로 -

        고하나 ( Ha-na Ko ),김정규 ( Jungkyu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ADHD 성향아동의 자기조절능력(selfregulation)과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능력을 자아 존중감, 대인관계, 자기 통제력, 뇌파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측정 하였다. 또한 집행기능은 신경심리검사(스트룹 단어 색채 간섭 검사, CCTT)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 매뉴얼(김정규, 2009)과 Rinda Blom (2006)의 “The Handbook of Gestalt Play Therapy”를 참고하여 ADHD아동의 특성에 맞도록 프로그램을 변형하여 구성하였다. 서울시 소재 00 센터와 학교에서 부모와 교사로부터 의뢰된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들에 대해 ADHD 평정 척도인 K-ARS를 실시하여 백분위 절단점수 80th, 90th 이상에 해당하는 아동 20명을 선별하였다. 이 과정에서 뇌손상의 병력이 있거나 경계선 이하의 지능을 가진 아동, 혹은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은 제외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10명으로 구성하였다. 통계분석결과 ADHD 성향 아동들은 GRIP 프로그램 실시 전과 비교하여 실시 후에 자기조절능력 하위 영역 중 자아 존중감, 대인 관계 척도, 자기 통제 검사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뇌파는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두엽 집행기능을 측정하는 신경심리검사(스트룹 단어 색채 간섭 검사, CCTT)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이 자기조절능력의 하위 영역 중에서 자아 존중감, 자기 통제력, 대인관계 척도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GRIP) on the self-regulation and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The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20 children with ADHD who were above the 80th and 90th percentile for DSM-Ⅳ cut-off scores as reported by their parents and teachers.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N=10) and control group (N=10). The GRIP study participants were 2nd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8 boys and 2 girls). The sessions were provided twice a week, each with a session duration of 50 minutes. The pre- and post-test rating scales used in this study for measuring executive function were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control, self-regulation brain wave analysis, STROOP and CCTT. To analyze the results, a t-test, paired t-test and ANOVA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P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self-control, and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on most of the post-tests for self-regulation. Second, GRIP had no positive effects on executive function for children with ADHD. There were no positive effects on brain waves as the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In conclusion, GRIP wa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esteem, self-control, and self-regulati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present finding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GRIP has positive effects on the treatment of ADHD.

      • KCI등재

        분산연습에서 24시간 휴식간격의 수가 동작학습에 미치는 영향

        고영규 ( Young Gyu Ko ),고하나 ( Ha Na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분산연습에서 연습시간들 사이에 제공된 휴식간격의 수가 동작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조사하였다. 36명의 피험자들은 분산연습에 포함된 휴식간격의 수에 따라 세 집단에 무작위로 배치되어골프퍼팅 과제를 연습하였다. 첫 번째 집단은 1회 휴식집단으로 퍼팅을 첫날 120회 실시한 후 24시간의 휴식을 취하고 다음날 나머지 120회를 실시하였다. 2회 휴식집단은 첫날 퍼팅을 80회 시행하고 24시간의 휴식 후 80회를 그리고 다시 24시간의 휴식 후 나머지 80회를 시행하였다. 3회 휴식집단은 하루 60회씩연습시간을 네 번으로 나누어 그 사이 세 번의 24시간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휴식간격의 수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24시간 후에 60회의 파지검사 시행이 주어졌다. 분석결과, 3회 휴식집단은 습득과 파지단계에서 가장 우수한 수행을 나타냈고 1회 휴식집단은 가장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2회 휴식집단도 유의함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1회 휴식집단보다 우수한 습득과 파지수행을 나타냈다. 이결과는 연습시간들 사이의 휴식간격의 길이와 함께 제공된 휴식간격의 횟수가 분산연습의 효과를 결정짓는 주요 학습 변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연습시간들 사이에 24시간 간격의 휴식시간의 수가 부가될수록 첫 번째 휴식시간 동안 기억 공고화 작용이 일어나고 그리고 부가된 연습시간과 휴식시간 동안 기억흔적의 재활성화와 재공고화 작용들이 일어나 기억과 학습 효과는 더 커지는 것처럼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umber of a rest interval interpolated between practice sessions on learning of a golf putting skill. Thirty-six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that differed in the number of a 24-hr rest interval between practice sessions. In the first group participants took a 24-hr rest between two practice sessions. The second group took two 24-hr rests between three practiced sessions. The third group took three 24-hr rests between four practice sessions. The group with three rest intervals reveal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24-hr retention test than the group with a rest interval. The group with two rest intervals also showed better retention performance than the group with a rest interval although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a significance.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as well as the length of a rest interval interpolated between practice sessions can be a learning variable that decides the effect of a distributed practice. The learning effect observed in the multiple rest group may be attributable to the consolidation process during the first rest interval and reactivation and reconsolidation processes during the additional practice sessions and rest intervals.

      • KCI등재

        골프퍼딩 연습에서의 오프라인 학습 효과

        고영규 ( Young Gyu Ko ),고하나 ( Ha Na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골프퍼팅 과제를 연습한 후 취한 휴식시간이 워밍업 감소와 오프라인 학습 효과를 유발하는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48명의 피험자들은 120회의 연습단계 시행을 마친 후 즉시, 1시간, 5시간 또는 24시간의 휴식을 취한 후 검사단계 시행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실험과제와 절차를 사용한 선행연구(고영규 등, 2011)에서 휴식집단들은 20회의 검사시행 동안 향상된 수행을 보이지 않고 워밍업 감소만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검사단계의 초기시행에서 발생하는 워밍업 감소 효과를 감안하여 검사단계 시행을 60회로 늘려 일시적인 워밍업 감소 시행 후에 드러날지 모르는 오프라인 학습 효과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검사단계의 초기 20회 시행 동안 즉시 검사집단을 제외한 모든 휴식집단들은 연습단계의 종기 국면보다 더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그러나 검사단계의 나머지 40회 시행 동안 휴식집단들은 향상된 수행을 나타냈다. 1시간 그리고 5시간 휴식집단들이 나타낸 수행향상의 크기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야간 수면을 취한 24시간 휴식집단은 유의하게 향상된 수행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연습을 마치고 휴식을 취하는 동안 짧은 시간 범위에서 수행을 감소시키는 일시적인 워밍업 감소와 그리고 비교적 느린, 실제로 수행을 향상시키는 기억의 공고화 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처럼 이 연구의 결과는 골프퍼팅 과제의 학습은 연습 동안뿐만 아니라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도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골프퍼팅의 연습에서 오프라인 학습 효과는 5시간 이하의 휴식기간 동안에는 유의하지 않다. 그러나 연습 후 야간 수면을 동반한 24시간의 휴식을 취할 경우 그 효과의 발생 확률은 유의하게 높아진다. This study examined an warm-up decrement and off-line learning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length of a rest period after a practice session of a golf putting. Forty-eight subjects putted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Participants putted 120 balls in a practice phase and 60 balls in a test pha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est groups that differed in the length of rest period (immediate, 1, 5, and 24 hr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during the initial 20 trials of the test phase all the rest groups showed reduced performance relative to the performance level during the last 40 trials of a practice phase. However, the groups showed improved performance during the last 40 trials of test phas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 1-hr and 5-hr rest groups was not significant, but was significant in the 24-hr res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mory consolidation process occurs during the rest period after the practice of a golf putting task, leading to an off-line learning. The off-line learning effect does not occur when the period of rest is less than 5 hr but can occur reliably after a 24-hr rest with anight of sleep.

      • KCI등재

        연습 후 휴식기간의 길이가 골프 퍼팅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고영규 ( Young Gyu Ko ),고하나 ( Ha Na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기억공고화 이론에 비추어 골프 퍼팅 과제의 연습 후 취한 휴식기간의 길이가 학습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60명의 피험자들은 3.7m 떨어진 표적을 향해 퍼팅을 수행하였다. 수행점수는 퍼팅한 볼이 표적을 벗어난 거리를 cm단위로 기록하였다. 120회의 연습단계시행 후 피험자들은 속한 집단에 따라 즉시, 1시간, 5시간, 그리고 야간 수면을 동반한 24시간의 휴식을 취한 후 20회의 검사 시행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억공고화 이론의 예측과는 달리 5시간 휴식집단은 검사단계에서 향상된 수행을 나타내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24시간 휴식집단도 더 우수한 수행을 보이지 않았다. 즉각적 검사집단을 제외한 휴식을 취한 모든 실험집단들은 검사단계에서 오히려 더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그리고 수행 감소의 크기는 휴식기간이 길수록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골프퍼팅의 연습 후 휴식을 취하는 동안 기억의 공고화에 의해 오프라인 학습이 일어나는 것이 아닌 오히려 휴식기간으로 인해 기억흔적의 강도에서 손실이 발생했다고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워밍업 감소이론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검사단계 동안의 수행 감소는 기억의 손실에 의한 것이 아닌 휴식을 마친 후 시행을 재개할 때 일시적으로 발생한 워밍업 감소 효과인 듯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작기억의 공고화 이론을 반박하기 보다는 워밍업 감소 현상을 감안한 보완적인 실험설계를 요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ngth of a rest period after a practice session on learning of a golf putting. Sixty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Participants putted 120 balls in the practice phase and 20 balls in the test pha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est groups that differed in the length of a rest period (immediate, 1, 5, and 24 hr). On the contrary to the prediction of memory consolidation view the participants in the 5- and 24-hr rest groups did not show improved performance during a test phase. All the rest groups revealed decrements in test performance. The amount of performance decrement tended to increase with the length of a rest period.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memory did not improve after the rest. Rather, the loss of memory occurred over the rest period. However, it appears that the decrement in test performance is due to not memory losses but to the need to warm up for the task again after the rest. The internal sets that supported the golf putting skill was temporarily lost over the rest period and had to be reinstated during a 20 retention trials, resulting in a temporary decrement in performance. Considering a warm-up decrement the present study requires a complementally experimental design rather than rejecting the view of motor memory consolidation.

      • KCI등재

        연습시간들 간 휴식간격에 의한 기억 공고화와 분산연습 효과

        고영규 ( Young Gyu Ko ),고하나 ( Ha Na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 공고화 이론에 비추어 분산연습에서 연습시간들 사이에 제공된 휴식간격의 길이가 골프퍼팅 과제의 수행과 학습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있었다. 36명의 피험자들은 골프퍼팅을 두 연습시간으로 나누어 240회 연습하였다. 120회 시행의 첫 번째 연습시간을 마친 후피험자들은 무휴식, 5시간, 또는 야간 수면이 포함된 24시간의 휴식을 취한 후 120회의 두 번째 연습시간 시행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4시간 후에 60회의 파지검사 시행이 주어졌다. 분석 결과, 24시간 휴식집단은 휴식을 마친 직후 실시한 두 번째 연습시간의 초기시행에서 무휴식 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된 수행을 나타냈다. 뿐만 아니라 파지검사에서도 24시간 휴식집단은 무휴식 집단보다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5시간 휴식집단은 두 번째 연습시간의 초기시행과 파지검사에서 무휴식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드러내지 못했다. 이 결과는 연습시간들을 하루 안에 분산하여 실시하는 것보다 24시간 간격으로 여러 날에 걸쳐 연습하는 것이 학습에 더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의 24시간 휴식집단이 나타낸 분산연습의 효과가 수면에 의한 공고화 작용 효과인지 아니면 휴식간격의 길이에 의한 공고화 작용 효과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ngth of a rest period interpolated between two practice sessions on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golf putting skill. Thirty-six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Participants putted 120 balls in the first practice session and 120 balls in the second practice sessio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rest groups that differed in the length of a rest period (no rest, 5, and 24 hr) between two practice sessions. The 24-hr rest group reveal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utting performance after a rest period. The 5-hr rest group also showed improved performance but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a significance. In 24-hr retention test the 24-hr rest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better learning than the no rest group. However, the 5-hr rest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learning benefit relative to the no rest group.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the suggestion of previous studies that spacing practice sessions across days results in enhanced performance and learning compared to spacing practice sessions within a day. However, it is not clear yet whether the significant learning effect observed in 24-hr rest group is attributable to the length of a rest interval (i.e., wake-based consolidation process) or to a night of sleep (i.e., sleep-based consolidation process).

      • KCI등재

        올벚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효능 및 유효성분 규명

        홍혜진 ( Hye Jin Hong ),고하나 ( Ha Na Ko ),이남호 ( Nam Ho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2

        올벚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LPS로 자극시킨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및 water)에 대하여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이 세포독성 없이 76.3%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염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진행한 결과, EtOAc 분획물이 PGE2, IL-1 β 및 IL-6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iNOS와COX-2 단백질의 발현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EtOAc분획물에서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진행하였으며 5개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다. ursolic acid (1), prunasin (2), methyl p-coumarate (3), kaempferol (4), astragalin (5). 분리된 compound 1 - 5는 모두 올벚나무 잎에서 처음 분리된 물질이다. 분리된 화합물을 대상으로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compound 4와 5가 NO 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올벚나무 잎은 항염 효과를 갖는 천연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investigated for the extract of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Makino) Ohwi by monitor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The P. pendula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showed to decrease the NO synthesis by 76.3% at 100 μg/mL concentration. The inhibition occurr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The EtOAc fraction also inhibited the production of PGE2, IL-1β, IL-6 and expression of iNOS, COX-2 protein in dose-dependent manner. From the phytochemical study to isolate the active constituents, five 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which are ursolic acid (1), prunasin (2), methyl p-coumarate (3), kaempferol (4), astragalin (5). All of the compounds 1 - 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P. pendula. Among the isolates, the flavonoids 4 and 5 were verified to inhibit NO production with high efficienc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xtract of P. pendula leaves could be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in pharmaceutical or cosmetic applications.

      • KCI등재

        DACUM 기법을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정수정(Jung, Su-Jung),고하나(Ko, Ha-Na)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치매안심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수행하고 있는 임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DACUM 기법에 따라 위원을 선정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직무분석 결과에 대해 2 단계의 타당도 검증과 직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여 수행작업표(DACUM chart)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 DACUM 워크샵을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타당도 검증을 거쳐 9개의 임무와 56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와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파악하여 중요 임무 및 작업을 도출한 결과,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인지프로그램 준비하기와 인지프로그램 운영하기(내소/출장) 작업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에 대한 교육수요도 또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 DACUM 기법을 통해 분석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인력관리 및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in Korea by defining the duties and tasks they are performing. Methods : The DACUM method was used to achieve an analysis of the dutie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is, a job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a DACUM workshop by a DACUM committee, checked for validity in two steps of survey, an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job was investigated to created a DACUM chart. Results : Through the DACUM workshop, the du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were defined, and 9 duties and 56 tasks were derived through valid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of duties and task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ognitive program was the highest, and the Preparing for a cognitive program and Operate cognitive programs (in-center/business trip) tasks were high.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 for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efficient work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임경춘(Lim, Kyung-Choon),김명숙(Kim, Myoungsuk),고하나(Ko, Hana) 한국간호교육학회 2021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in older Koreans enrolled in senior welfare center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dementia prevention. Methods: A total of 182 older Korea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employed a cross-section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ith item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self-esteem,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dementia management self-efficacy, and anxiety about dementia. Using SPSS WIN 23.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Living with a spouse (p=.013), a higher monthly income (p=.018), better nutrition (p=.010), not having a sleep disorder (p<.001), and higher number of participating programs (p=.001) were associated with better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Attitudes about dementia (β=.18, p=.006) and the number of programs older Koreans were participating in (β=.17, p=.006)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while depression (β=-.41, p<.001) and sleep disorders (β=-.17, p=.006) influenced negatively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Overall, approximately 35% of the variability i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as explained by these four variables in this study (F=24.97,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pression reduction, good attitudes about dementia, program participation, and good sleep should be encouraged to promote dementia prevention. In addition, effective and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older Koreans to encourag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to reduce the risk of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