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육논쟁(朱陸論爭)의 시작, 아호(鵝湖)모임에 관한 연구(硏究)

        高在錫 ( Go Jaesuk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0 No.-

        본 논문은 주희와 육구연이 처음 만나 논쟁을 벌인 아호모임의 분석을 통해 둘의 논점이 무엇이었고, 모임 전후로 어떠한 특징과 과정을 겪었는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긴 역사 속에서 전개된 朱陸和會論이나 朱陸早晩同異說과 같은 논쟁에서는 아호모임 이후 둘은 서로의 관점을 절충하거나 한쪽으로 선회하였다고 보고 있다. 최근 몇몇 학자들도 주희 측의 기록을 근거로 육구령과 육구연이 모임 당시 독서공부를 거부하였으나 이후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주희 쪽으로 전환하였다고 고증하고 있다. 또 여조겸은 아호모임 이전부터 줄곧 주희와 마찬가지로 육구연 형제를 강하게 비판하였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주희와 육구연의 관점은 어느 한쪽으로 전환되었거나 ‘和會’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주희와 육구연 형제는 첫 만남인 아호모임에서 공부 방법에 대한 명확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관점차이는 모임 이전 서로의 관계를 형성하면서부터 모임 이후 개인적 만남을 지속하는데 있어 계속 지속된다. 주희는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를 모두 중시하였다. 존덕성에 치중하면 덕성을 간직한 것이 볼 만 하지만, 도문학을 소홀히 하게 되어 인욕을 의리로 착각하고 함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육구연은 존덕성 공부가 독서나 외부사물의 이치를 궁구한 뒤에 따로 해야 할 함양공부가 아니고, 도문학 공부 역시 본심을 확립한 자라야 비로소 가능하다고 보았다. 본심을 잃어버리면 아무리 독서를 해도 그 의미를 알 수 없고 사물의 이치 역시 궁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여조겸의 경우 그가 비록 모임 후 주희와 같은 노선에서 육구연 형제의 관점을 비판했다 하더라도 이단인 불교와 같다고 시종일관 강하게 비판한 주희와 달리, 모임 초기부터 줄곧 육구연 형제의 인품과 학문적 관점에 호의적 태도를 보였고, 모임 도중에는 심지어 그들의 관점에 귀 기울이려는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여기서는 아호 모임 이전 주희가 육구연에게 처음 관심을 갖게 된 시기부터 백록동서원에서의 두 번째 만남 이전까지를 범위로 삼고, 주희와 육구연 형제의 논쟁의 흐름과 핵심논점을 중점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The issue of research for this paper is: in the argument between the Zhu Xi and Lu Jiuyuan starting from their mutual attention to their meeting at Ehu Temple and later, whether they stuck to their own viewpoints all the time, leading to the "mergence" or "great difference" of the two schools of thinking. The time range for this paper is from the first meeting between Zhu and Lu before their meeting at Ehu Temple when Zhu began to pay attention to Lu, until their second meeting at Bailudong lecture hall. The keypoint is the historic veinand core arguments. First, judging from the conclusion, Zhu and Lu's viewpoints had no way to "merge together";According to Zhu Xi's records,at their meeting at Ehu Temple, both Lu Jiuling and Lu Jiuyuan refused to do book learning. So, it is wrong to say they realized their mistake later and came close to Zhu Xi. Zhu Xi held that: if we lay too much stress on learning for cultivating the virtue,we can keep a good moral, but if we neglect the learning of "principles of moral", we will be unable to understand the justice and reason so as to control human desires. Henc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learning of both aspects. Lu Jiuyuan opinion was: learning for cultivating the virtue is not an additional learning after book learning or deep study of principles of externalities, and the learning of "principles of moral" can also be started on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cience. The reason is that, if we lose the conscience,even if we do book learning, we will still fail to understand its meaning, and have no way to probe into the principles of matters. Moreover, in appraisal of the meeting at Ehu Lake, we tend to think Lv Zuqian's attitude to Lu Jiuyuan brothers is the same as that to Zhu Xi. In fact, as early as before Ehu Temple meeting, when Lv Zuqian, who had already had exchange with Lu's brothers, commented on Lu's brothers, he said they were "people seldom seen in recent years", which formed a sharp contrast with Zhu Xi's sharp criticism of Lu's school as Zen. And at Ehu Temple meeting, Lv Zuqian showed a friendly attitude by listening respectfully to their view points.

      • KCI등재

        『논어』기반 인성교육 평가척도의 이론토대 연구

        고재석 ( Jaesuk Go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8 No.-

        이 글은 동아시아 고전 『논어』에서 규정하는 인성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고, 인성의 구성요인들을 기반으로 인성지수 모형을 설정하여, 인성의 정량적·정성적 평가도구의 척도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어』는 인간다움의 이상을 `仁`으로 규정한다. 내면의 본심을 확립하고, 그 마음을 미루어 남을 사랑하며,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까지 확대하여 천지만물을 아끼는 것이 궁극적 이상이다. 핵심가치 仁을 실천하는 역량의 진단척도로 참 나와 마주하는 修身역량·가족과 하나 되는 齊家역량·사회로 나아가는 治國역량·세상에 공감하는 平天下역량으로 구분하고,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실·배려·정의·책임`을 해당 역량의 핵심덕목으로 배치하였다. 또 세부 하위 역량과 덕목으로 立志(삶의 뜻을 세움)·存誠(참 마음의 확립)·持敬(공경의 태도 견지)·親親(부모에 대한 효도)·友愛(형제에 대한 사랑)·接人(이웃에 대한 나눔)·交友(학교생활의 우정)·處世(사회생활의 처신)·崇義(이익추구의 바름)·仁民(다문화에 대한 인정)·平和(국제관계에 대한 평화)·愛物(자연환경에 대한 공감)로 세분하였다. 인성수준을 진단하는 척도로는 `인성 알기(知)·인성 익히기(仁)·인성 다지기(勇)`를 제시하여, 실천역량과 핵심덕목의 함양의 수준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인성교육 평가척도 문항은 객관평가를 기준으로 한다. 시간과 공간 그리고 대상에 따라 차별적 문항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수정보완을 통해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이밖에 학생의 성장을 유도하는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주관적인 평가요소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이 실시하는 인성평가 이외에, 교수자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한 인성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척도 항목 역시 개발이 필요하다. 학생의 객관 평가와 주관 평가, 그리고 교수자의 평가가 통합된 『논어』를 기반으로 한 인성교육 평가척도는 동아시아 고전에 기반한 인성교육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되어, 인성교육 정착화와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purported to design the quantitive and qualitive criteria for evaluating human morality by analyzing concepts on human nature in the Lunyu and by developing a model for quantifying human moral factors. The Lunyu, which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classic in East Asia, defines the ideal human morality as ren 仁(benevolence). The Lunyu pursues a right understanding of human morality and a broader expansion of one`s love toward others and all the creatures on the planet. The model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core moral abilities (hexin liliang 核心力量), core moral virtues (hexin demu 核心德目), and inner maturity levels (renxing shuizhun 人性水準). As for the core moral abilities, the model for evaluating ren can be divided into four standards: xiushen 修身(to cultivate one`s morality), qijia 齊家(to regulate the family), zhiguo 治國(to govern the state), and pingtianxia 平天下 (to pacify the world). As for the core moral virtues, the four main virtues (i.e., sincerity, care, justice, and responsibility) suggested by the state curriculum of morality education are linked to each of the four standards in this model. Lastly, as for the inner maturity levels, in order to evaluate moral maturity of each individual the following three levels will be suggested: understanding morality (zhi 知), practicing morality (ren 仁), and internalizing morality (yong 勇).

      • KCI등재

        맹자 성선의 의미에 대한 연구 ― 본성현현과 본성실현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고재석 ( Jaesuk Go ) 동양철학연구회 2017 東洋哲學硏究 Vol.90 No.-

        본 논문은 송명시기와 조선시기에 전개된 맹자 성선설의 철학사적 흐름에서 `차이`가 아닌 모두 동의하는 `같음`의 지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개별 철학사에 드러난 성선의 특성에 대한 정리 작업은 방대하여 후속 작업으로 남겨두고, 여기서는 맹자 원문에 한정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①인간의 선한 도덕 감정에서 본성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현현되며, ②智愚나賢不肖와 같은 도덕 경지의 차이에 따라 도덕 수준이 낮은 일반 사람은 본성 실현을 위해 어떤 수양의 노력을 해야 하는지 규명하였다. 본성 현현의 특성은 `사랑의 근거 仁`과 `옳음의 기준 義`로 구분하여 고찰하였고, 본성 실현의 특성은 `사랑의 실천 居仁`과 `옳음의 추구 由義`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성 현현은 `나`를 천지만물과 연결된 일체이자 대체로 규정하는 근거이다. 나는 남과 하나 된 `나`이고, 남도 나와 연결 된 `남`이므로, 인간은 본성 현현에 따라 조건 없는 사랑[仁]을 베풀어야 한다. 다만 본성은 각기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드러나므로, 현현 과정에서 親疏와 尊卑의 차이가 없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고 차등적 사랑이 반드시 `親親→仁民→愛物`의 단계로 확장해야 함을 말하지 않는다. 자기가 처한 자리에서 본성 현현에 따라 선후본말을 구분하고 마주한 대상을 사랑하면 된다. 또한 본성 현현은 개인이 처한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다르므로, 상황에 맞는 時中이 옳음[義]이 되는 특성을 지닌다. 물론 옳음이 중용의 특성을 지닌다 하여, 보편성이 결여된 것은 아니다. 서로 입장 바꿔 생각하면 보편성은 획득될 수 있다. 본성 실현은 만물일체의 완성을 이상으로 한다. 다만 智愚나 賢不肖와 같은 도덕 경지의 차이에 따라, 일반 사람들은 조건 없는 사랑의 감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가정에서 실천하고, 점차 주변으로 미루어 확장해야 한다. 그래야 타인과 자연으로 조건 없는 사랑을 확충할 때, 진정성 있고 지속적인 실천이 가능하다. 또한 도덕적 경지가 낮은 사람에게 내면의 직관에 따라 행동할 것을 강조하면, 자칫 욕망을 본성 현현으로 착각하게 하여 그릇된 행동을 조장할 수 있다. 일반 사람은 본성 실현을 위해 내면의 마음을 성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인간은 누구나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지만, 본심을 상실하는 것이 현실이므로, 돌아봄의 노력을 통해 선한 본성을 실현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Mencius`s theory of the innate goodness of human nature. For this, this paper examines first, with what characteristics benxing (本性) is manifested in the good moral sentiments of the human being; 2) what kind of effort for moral self-discipline is needed for the ordinary person of low moral status to realize his benxing (本性) according to the different moral status like zhiyu (智愚) and xianbuxiiao (賢不肖). The manifestation of benxing (本性) is the basis for defining `I` as yiti (一體) and dati (大體) closely connected to the whole creation. Since I am `I` who is united with others, and `others` are also connected with me, man should give unconditional love (ren 仁) to others according to the manifestation of benxing (本性). However, since benxing is manifested each time in different time and space, man should love the other person he encounters by distinguish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ings according to the manifestation of benxing in his own circumstances. Because the manifestation of benxing varies according to the time and space in which an individual is placed, it is characterized by shizhong (時中) becoming yi (義)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course, even if yi (義) has the quality of the golden mean, that does not mean it lacks universality. Universality can be secured if one puts oneself in the other`s shoes. The ideal of the manifestation of benxing is the perfection of all things. However,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the moral status, ordinary people should practice morality at home first where the sentiment of unconditional love can be easily verified, and then they should expand such a practice gradually to their surroundings. On the strength of this gradual practice, sincere and continuous practice is possible when one extends unconditional love to other people and nature. If we are emphatical that a person of low moral status should act according to his inner intuition, the person may mistakes his desire for the manifestation of his benxing, which can encourage wrong behavior. Ordinary people need to maintain the attitude of contemplating their inner self for realization of benxing

      • KCI등재

        최근 40년간 중국 ‘十三經注疏’ 口語번역 및 校點정리 현황에 대한 회고와 미래전망

        沙志利(Zhili Sha),고재석(Jaesuk Go) 한국동양철학회 2020 동양철학 Vol.- No.54

        Since 1980, Continent of China’s collation and research on Confucian classics have gradually come out of the slump, and the translation and proofreading of the “Thirteen Classics Annotated and Explicated(十三經注疏)” over the past 40 years have all accomplish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is chapter briefly examines the representative works in the vernacular translation category of “Thirteen Classics”, summarizes their achievements, analyzes their deficiencies, and puts two kinds of work directions forward. In the second section, the series on the collation of the four text forms(清人注疏, 白文本, 经注疏本, 经注本) of the “Thirteen Classics” in the past 40 years, also involve some scattered varieties, summarizing the achievements already made, especially the nine items under study, which show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Thirteen Classics” in this paper. 1980년 이후 중국대륙의 유가 經典 정리와 연구는 점차 곤경에서 벗어나기 시작하였다. 최근 40년간 ‘十三經注疏’에 대한 구어 번역과 교점 정리 과정을 회고하면, 적지 않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글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十三經’ 구어 번역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들을 간략하게 들어 그 성과를 개괄하고 부족한 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두 가지 시도해 볼 만한 사업 방향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최근 40년 동안 영향력 있고 규모가 큰 몇 가지 ‘十三經’ 淸代 注疏와 白文本·經注疏本·经注本의 네 가지 텍스트 형태에 대한 교점 정리를 시도한 총서들을 열거하고, 다른 산발적인 서적도 언급하여, 이미 거둔 성과를 총평하였다. 특히 연구 중에 있는 아홉 가지 항목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진행하여, 이를 통해 ‘十三經注疏’의 校点정리 발전 경향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