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화학교사의 학습관이 실습수업에 미친 영향

        고은정,최병순,Koh, Eun Jung,Choi, Byung-Soon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의 실습 수업을 관찰하여 특징을 분석하고, 실습 수업의 특징이 그들의 학습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 과정 중에 촬영한 예비교사 3인의 실습수업 동영상 9편을 분석하고, 학습관과 관련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화학교사들의 학습관이 실습수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관은 대부분 그대로 실습수업의 특징에 반영되는 모습을 보였다. 예비교사 K는 비교적 구성주의적 학습관을 지니고 있었고 실습수업에서도 구성주의적 특징이 많이 나타났으며, M은 다른 예비교사들보다 전통적 학습관을 많이 지녔고, 실습수업에서 전통적인 특징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몇 가지 외적 요인에 의해 예비화학교사들의 학습관은 제한적으로 반영되기도 하였다. 특히 구성주의적 학습관이 수업에 반영되지 않은 몇 가지 사례가 예비교사들의 실습수업에서 나타났고, 특히 예비교사 H에게서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학습관의 내면화 미흡, 실습학교의 여건, 실습 지도교사의 영향 등이 큰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화학교사들이 지닌 학습관은 실습수업의 실행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육실습을 책임지는 사범대학교와 교육실습학교, 지도교수와 지도교사가 예비교사들을 이해하고 수업을 지원하는 데에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ractice teaching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actice teaching characteristics and the view of learning. Thre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ir 9 practice teaching videos that recorded during practice teaching were observed, transcribed, and analyzed. Responses of questionnaires about their view of learning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Almost all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practice teaching seemed to be reflected in their view of learning. Pre-service teacher K had a lot of constructive view of learning, so comparatively many features of constructivism was presented in practice teaching. Pre-service teacher M had a lot of traditional view of learning, so many traditional features appeared in practice teaching. However, sometimes pre-service teachers' view of learning did not appear to their practice teaching because of several factors. In particular, a few cases that constructive view of learning was not reflected in the practice teaching appeared, especially pre-service teacher H. Factors were the practice school's conditions and the effects of tutors.

      • KCI등재

        예비화학교사가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이 학습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고은정,최병순,Koh, Eun-Jung,Choi, Byung-Soon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이 사범대학에서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은 학습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인의 학습관 및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과 관련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자신의 학습관을 변화, 수정하거나 유지, 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과학교육 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지녔던 예비교사 K와 P의 전통적 학습관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구성주의적 학습관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구성주의 학습관은, 학교 현장 실제성에 바탕을 둔 과학교육 과목 수강 이후에 다시 현장의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수정되고 변형되었다. 예비교사 H는 이전부터 지녔던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전통적 학습관을 추가하여 지니게 되었다. 이로부터 정도와 방향의 차이는 있지만 예비교사 K, P, H 모두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론의 현장 적용을 강조한 과학교육 과목이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원 양성대학의 과학교육 과목의 내용에 현장성이 많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예비교사별 맞춤식 교수활동 및 학습관 정립을 위한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 of learning focused on the influence of science education courses that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had learned. Thre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Documen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courses, survey data about their view of learning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had changed, modified, maintained and strengthened their view of learning while they took the science education courses. Pre-service teacher K and P had changed their traditional view to the constructive view and then had modified their view by adding the reality. And pre-service teacher H had modified his constructive view with some traditional view. All Pre-service teachers had modified their own view of learning because of the science education course that emphasized the real field situation. As discussed above, science education courses focused on the applying the theory to real teaching situation gave the opportunity to modify pre-service teachers' own view of learning. It implied that the science education courses learned in the teachers college have to include contents based on real teaching situation and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processes for establishing their view of learning and customized teaching activities.

      • KCI등재

        중학교 ‘분자운동과 상태변화’에 대한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 활용 모델링 학습의 효과

        고은정(Koh Eun Jung),정대홍(Jeong Dae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분자운동과 상태변화’의 개념을 학습하는 데에 필요한 미시적 입자 개념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모델링 활동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모델링 활동 도구와 활동 과제를 개발하고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모델링 활동 수업을 한 집단은 교과서에 따른 수업 집단에 비해 과학적 모델에 대한 긍정적 인식정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모델의 다양성, 모델의 설명적 도구, 모델의 유용성, 모델의 잠정성 영역에서 인식이 개선되었는데, 이는 스스로 근거를 찾고 표상으로 나타내고 현상을 설명하는 모델링 과정을 연습한 결과, 모델의 본성, 유용성, 모델의 목적, 모델의 이점과 제한점 등을 이해한 것으로 분석된다. 개념 성취도 검사를 통해 통제 집단에 비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모델링 활동 수업을 한 집단의 개념 이해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모델링 활동을 수행하며 학습내용을 성취함과 동시에 오개념을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수정 과정에는 동료 친구들과의 모델링 활동 내용 공유와 교사의 피드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학생들의 스마트 기기 활용 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수업 처치가 학생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선호도, 학습 흥미도, 학습 유용도 등에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이 좋은 이유로는 ‘흥미로운 과학 활동’, ‘자기주도적 학습’, ‘친구 및 교사와의 학습내용 공유’ 등을 꼽았다. In this study, the modeling learning tool and ite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modeling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for learning the concept of molecular movement and phase change .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middle school 1st graders, the group of smart device modeling activity class showed an overall increase of positive perception of model 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group. Their perceptions were improved in the areas of ‘Models as multiple representation’, ‘Models as explanatory tools’, ‘The uses of scientific models’, ‘The changing nature of models’. Through the conceptual achievement test,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understanding of the group of smart device modeling activity clas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In addition, Students also underwent a process of correcting misconceptions during modeling activities. The reason for this revision process is due to the sharing of modeling activities with peers and the feedback from teacher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 use of smart devices in science education , students cited interesting science activities , self-directed learning , and sharing modeling activities with friends’, which are good reasons to use smart devices in the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과학교과에서 모델링 활동의 학습진행과정 구성 연구: 중학교 분자운동과 상태변화 영역을 중심으로

        고은정(Koh Eun Jung),정대홍(Jeong Dae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학습진행과정(Learning Progression)의 이론적 제시를 목적으로, ‘분자운동과 상태변화’ 영역의 ‘모델링’ 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선행연구 분석에서 나타난 현재 모델링 학습진행 과정은 과학내용을 고려 하지 않았고, 주로 모델링에 대한 ‘인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가설 단계’의 학습진행과정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보였다. 이를 발전시켜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과학 내용과 연계된 모델링 활동의 학습진행과정 제시, 둘째, 인식 조사에서 벗어나 모델링 활동 중심의 학습진행과정 제시, 셋째, 평가를 통한 학습진행과정 가설검증을 목표로 하였다. 모델링에 대한 하위요소를 ‘표상’, ‘근거’, ‘설명’으로 선정하고 세부 수준을 3단계로 설정하였다. 물질의 입자성을 질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하위 요소인 ‘표상’의 학습진행과정에서는, 거시적 표상을 수준 1, 입자적 표상은 수준 2, 복합적 표상을 수준 3으로 제시하였으며, 자신의 모델을 지지하기 위한 ‘근거’의 학습진행과정에서는 근거의 부족을 수준 1, 충분하지 못한 권위적 근거를 수준 2, 충분한 권위적 근거 또는 경험적 근거를 수준 3으로 나타내었다. 모델의 ‘설명’ 학습진행과정에서는, 모델과 실제 현상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지 못하는 단계를 수준 1, 모호한 감각에 의존한 설명과 예측은 수준 2, 모델과 실제 현상과의 인과관계를 적절히 설명하는 단계를 수준 3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학습진행과정의 사례 연구는 다른 영역의 주제 또는 개념에 대한 모델링 학습진행과정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며, 하위요소 선정 및 학습진행과정 단계의 개발과정을 함께 제시하였으므로 일선 학교의 개별적인 현황을 고려한 학습진행과정 개발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learning progression, we focused on the modeling activities of the Molecular Movement and Phase Change uni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the current modeling learning progression wa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science were not considered. Second, the focus was on the recognition of modeling and third, the learning progression was in the hypothesis stage. The aim of development of learning progression for modeling would be focused on the presenting the learning progression of modeling activity linked with science contents, centered on modeling activities not cognitive survey. The sub-elements of modeling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on , evidence , and explanation , and the level of detail was set to 3 levels. In the learning progression of representation , which is a necessary sub-element for explaining the particle nature of the matter, the macroscopic representation was presented as Level 1, the particle representation as Level 2, and the complex representation as Level 3. In the evidence , the lack of authoritative evidence was expressed as Level 1, the authoritative evidence as insufficient, Level 2, and sufficient authoritative evidence or empirical evidence as Level 3. In explanation , Level 1 was the step of presenting only the phenomenon or the model without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and the actual phenomenon, Level 2 was the step of explanation and prediction based on the ambiguous sense, and level 3 was the step of describ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and the actual phenomenon. The case study of the learning progression could be extended to the learning progression study of the modeling about the other science contents. And in this study, development process of the learning progression and the sub-element selection were presented, so this could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procession considering the individual situation of the school.

      • KCI등재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고은정 ( Eun Jung Koh ),정대홍 ( Dae Hong 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온타리오주, 싱가포르 및 우리나라의 과학교과 핵심역량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여 과학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또한, 현장 과학교사들이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특히 최근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교육과정을 접한 경기도 지역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외국의 역량 기반 과학과 교육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각종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위해, 135명의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외국의 역량 기반 과학과 교육과정 탐색 결과, 각 국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범교과 역량과의 연계’, ‘과학 내용과 과학 활동의 결합’, ‘의사소통 능력 중시’, ‘역량별 성취 수준 제시’ 등이 나타났다. 또한, 각국에서 강조하는 과학과 핵심역량으로는,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탐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이해력’, ‘학문간 통합능력’, ‘적용능력’, ‘개인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있었다. 현장 과학 교사들은 현재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 및 과학수업에서의 실행 정도는 보통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가르쳐야 한다는 움직임과 가르칠 의사에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임으로써,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중요한 핵심역량으로는, 초·중·고 세 학교급 모두에서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탐구 능력’을 꼽았으며,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창의적 사고력’이었다. 경기도 지역의 교사들이 다른 일반지역의 교사들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의사소통 능력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수업 운영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점, 많은 수업 준비시간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Science Curricula in the UK, Australia, New Zealand, Canada, Singapore, and Korea with respect to core competencies. In the case of overseas countries, literature review on their curricula was conducted, and four common features were extracted: ``association of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with science-specific competencies,’ ‘a combination of science contents and scientific practices,’ ‘an emphasi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representation of an achievement level of competency.’ In addition, the common core competencies of science education were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inquiry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ultural literacy,’ ‘ability to integrate discipline,’ ‘application skills,’ and ‘personal/social competency.’ In relation to these featur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135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Teachers were not well aware of what core competencies are, and after introduction, they thought that they wanted to and needed to teach core competencies to their students. Teachers claimed that critical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are ‘cre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inquiry skills.’ Teachers thought that core competencies-based science class would help develop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and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y have difficulties in conducting core competencies-based science class because they are not familiar with how to conduct the class and they expect that it will take a long time to prepare such a class.

      • KCI등재

        Learning Progression을 적용한 중,고등학생의 "물질의 입자성"에 관한 지식과 미시적 표상에 대한 특성 분석

        신남수 ( Nam Soo Shin ),고은정 ( Eun Jung Koh ),최취임 ( Chui Lm Choi ),정대홍 ( Dae Hong 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5

        Learning Progressions(학습진행과정, 이하 LP)은 "과학의 핵심 아이디어(core idea) 혹은 과학 활동(scientific practices) 이해 과정을 상대적으로 단순한 체계에서 전문가의 지식체계로 논리적이고, 순차적인 단계로 정교하게 설명한 틀"로서, 한 교과 내 및 다른 과학영역들 (물리, 지구과학, 생물, 화학)과 연결하여 연계적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학습은 개개인의 선지식, 선경험, 교과교육과정, 교육과정 등의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는 복잡한 이해 과정으로, LP 단계를 모든 학생들이 동일하게 이동하지 않는다. 학생과 학습환경의 특성에 따른 이동 가능한 학습경로의 서술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생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가설의 LP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LP로 규명되며. 비로소 교과과정 개발의 틀(framework)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시간 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물질의 본성(nature of matter)" 주요 개념에서, 하위개념인 "물질의 입자성(particule nature of matter)과 입자적 표상(submicroscophic representation)"의 LP와 관련 평가지를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과 연계, 수정하여 개발하였다. 수정된 평가지와 LP는 124명의 중고등학생의 LP 경로 특성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학생들의 입자적 개념과 표상의 이해도, 개념과 표상 이해도 연관성을 중점으로 분석하여 관련 과학교육과정과 현장 수업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높은 레벨 문항의 정답을 고른 빈도수는 낮은 레벨 문항을 모두 정답으로 고른 경우에 높았으며 이는 학생들이 본 연구팀이 개발한 LP 경로로 이해과정을 정교화시킴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 특히 고등학생들은 초등학교 수준의 거시적 물질의 본성 개념 LP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중학교 수준인 미시적 표상 LP 단계에 있다. 입자적 개념과 표상 이해 실패의 주요 원인은 1) 과학적 모델의 본질, 2) 관련 선지식, 3) 미립자 표상의 이해부족으로 정리된다. 본 연구결과는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개념, 과학활동(특히 모델링)을 증진시키고 개개인 특성에 맞는 맞춤형 학습환경 제공을 위한 학습, 교수, 평가자료 개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더 나아가 ``물질의 본성``에 대한 LP연구와 과학적 소양 증진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Learning progressions (LP), which describe how students may develop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ver a defined period of time, can inform the design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assessment by providing a coherent, systematic measure of what can be regarded as "level appropriate." We developed LPs for the nature of matter for grades K-16.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Korean students, we revised one of the constructs and associated assessment items based on Korean National Science Standards. The assessment was administered to 124 Korean secondary students to measure their knowledge and submicroscopic representations, and to assign them to a level of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We characterized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models of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and described how students interpret various representations of atoms and molecules to explain scientific phenomena.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croscopic and molecular levels of phenomena, even in high school science. Their difficulties may be attributed to a limite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ing,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models used to represent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or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matter. This work will inform assessment and curriculum materials development related to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macroscopic, observed phenomena and the behavior of atoms and molecules, and can be used to create individualized learning environments. In addition, the results contribute to scientific research literature on learning progressions on the nature of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