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참여정도와 치료종류가 알코올과 약물남용 청소년의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

        고윤순(Yun Soon Koh)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2

        본 연구는 부모의 참여정도와 치료종류가 알코올과 약물남용 청소년의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표본은, 미국 위스콘신 주 매디슨 소재, 병원부속 알코올과 약물남용 치료프로그램에 1992-1997년에 참여한 440 명의 청소년과 부모들이다. 치료를 받은 청소년들을 부모의 참여정도(두부모, 한부모), 치료종류(2주 입원치료+6주 외래치료, 8주 외래치료, 8주 가족치료), 성별에 따라서 어떤 치료결과(졸업, 중도탈락)가 나왔는지를 범주형 자료로 분류한 후, 로그-리니어 분석(Log-Linear Analysis)을 사용해서 가설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부모가 치료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한부모만 참여한 청소년들보다 졸업가능성이 2.2배 높았다. 둘째, 입원치료 후 외래치료를 받은 청소년들이 외래 치료만 받은 청소년들보다 졸업가능성이 1.7배 높았다. 셋째, 가족치료를 받은 청소년들이 집단치료위주의 외래치료를 받은 청소년들보다 졸업가능성이 2.3배 높았다. 넷째, 입원치료와 외래치료를 같이 받은 청소년들과 가족치료를 받은 청소년들과는 졸업가능성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성별차이가 있어 여자청소년들이 남자청소년들보다 졸업가능성이 1.7배 높았다.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이론적 근거들과 주요인들의 효과가 검증됨으로써, 부모참여의 향상방안, 입원모델의 활용대안, 가족치료모델의 증진방안들이 논의되었다. 또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청소년의 약물남용 치료실천현장에 주는 함의도 함께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 participation and treatment type on the treatment outcome of adolescent substance abusers. Outcome variable was the successful graduation (or drop) from an Adolescent Substance Abuse Treatment Program. Adole­scents with their parents` participation were treated in one of three treatment models (2-weeks Inpatient plus 6 week Group-Oriented Outpatient, 8-weeks Group-Oriented Outpatient, and 8-weeks Family Therapy) within a private hospital-affiliated treatment center by managed care practice allowing their own choice (non-random natural as­signments). Several hypotheses were tested for main effects by the Log-Linear Analyses for a multi-dimensional contingency table with 440 adolescents (284 boys and 156 girls) treated during 1992-1997.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Odds of graduating versus dropping out of the treatment program among: (1) adolescents with two-parent were 2.2 times higher than those among adolescents with one-parent; (2) adolescents with Inpatient plus Outpatient was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Outpatient; (3) adolescents with Family Therapy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Outpatient Model;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Therapy and the Inpatient plus Outpatient. Also, girls were 1.7 times higher than those among boys.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parent participation, alternatives for inpatient model, and to train more family therapists in treating substance abuse adolescents. A few clin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field in Korea were carefully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아동학대 예방정책의 개선방안 : 아동보호체계 공공화를 중심으로

        고윤순(Yun-Soon Koh)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3

        본 연구는 2020년 10월 이후 시행된 개정 아동복지법과 특별법에 근거하여 진행되고 있는 아동보호체계 공공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19년 아동학대실태와 대응현황을 살펴보았다. 아동학대실태의 특징은 아동학대사례의 증가(사례 수 30,045, 발견율 3.81%), 재학대 증가(11.4%), 가해자는 부모가 가장 많음(학대전체 75.6%; 재학대 94.5%)이었다. 대응현황은 재학대 분리조치(23.2%)가 전체 분리조치(12.2%)의 2배, 쉼터거주아동 중 62.6% 퇴소, 퇴소아동 중 원가정 복귀 (45.9%)와 시설입소(41.6%)가 비슷하였다. 10개월간 진행된 공공화 내용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의 배치 및 역량제고의 어려움, 분리보호를 위한 쉼터와 적절한 프로그램의 부족,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심층사례관리의 어려움, 중간 지원시스템의 결여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아동보호체계 공공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사 공공화 영역에서는 전담공무원의 배치와 교육전략(성공사례 발굴, 교육환류시스템 개발, 교육매뉴얼의 주기적 개정, 공무원 1인 배치 시 슈퍼바이저 참여), 전담공무원 전문성함양을 위한 방안(장기적 배치, 2인 1팀 구성, 적절한 대우, 교육과 슈퍼비전 시스템 구축)을 제시하였다. 둘째, 분리보호체계의 안정화를 위해 쉼터의 확충, 맞춤형 서비스 제공, 다양한 대안 보호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례관리의 전문화를 위해 아동보호전문기관의 확충, 강점관점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넷째, 광역단위 지원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publicizing the child protection system which was based upon the revised Act on Child Welfare and the revised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implemented since 2020 October). Prevalence of and intervention on child abuse in 2019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of prevalence included an increase of child abuse cases(30,045 cases, finding rate 3.81%), relapse increase(11.4%), parents as majority abusers(total 75.6%, relapse 94.5%). Major findings of intervention included separation rate of relapse(23.2%) being twice of that of total(12.2%), 62.6% being discharged after shelter stay, rate of returning home(45.9%) was similar to the rate of transfer to other facilities(45.9%). Problems identified from the process of publicizing of child protective system included difficulty in assigning and educating Public Social Work Officer for Child Abuse(PSWOCA), lack of shelters and programs for child separation, challenge in case management by Child Protective Service Agency(CPSA), and lack of middle support system.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facilitate publicizing the child protective system. First, in the area of publicizing the child protection system, suggestions for assigning and educating PSWOCA (finding success cases, development of education feedback system, regularly revising of education manual, including supervisor when educating one PSWOCA), and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PSWOCA(long-term assignment, pair PSWOCA system, proper benefits, development of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 were made. Second, suggestions for separation care included increase of shelters, provision of tailored servic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alternative child care programs. Third, suggestions for advancing case management approach included increase of CPSA and development of Strengths-Based Solution-Focused Case Management Manual. Fourth, development of province-level middle support system was suggested.

      • KCI등재

        한국의 마약중독 치료·재활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고윤순(Yun-Soon Koh) 한국교정복지학회 2023 교정복지연구 Vol.- No.84

        마약청정국이던 한국에서 마약문제는 사회의 모든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마약공급차단을 위한 방안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마약과의 전쟁은 공급차단과 마약중독자들의 치료와 재활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마약중독자의 치료·재활을 위한 인프라는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전반적인 마약중독 치료·재활시스템 현황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마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 내용은 다양한 마약의 남용, 마약투약사범 및 젊은 층 남용자의 급격한 증가, 높은 재범률 등이다. 둘째, 치료적 처우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이 제도는 활용성과가 부진하므로 전문치료체계를 보완하고 사법기관과 치료기관의 연동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공공영역 마약중독 치료·재활체계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치료병원의 전문성을 향상하고, 중독재활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 설치해야 한다. 넷째, 민간영역 마약중독 치료·재활체계의 현황 및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중독자 치료에서 현재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치료공동체 다르크(DARC)와 소나사 모델에 대한 정부지원 및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NA모임을 전국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치료·재활체계 개선과 함께 진행해야 할 마약남용예방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여기서는 조제의약품 관리체계(NIMS) 강화, 마약검사키트 개발 및 보급, 예방교육강화, 콘트롤 타워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Drug-related problems have become very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 which used to boast as drug-free society. Korean government proclaimed ‘War on Drugs’ and has fortified supply-prevention strategies. However, for ‘War on Drugs’ we should intervene not only on supply side but also on treatment·rehabilitation(TR) for drug abusers. Currently the infrastructure for TR for drug abuse is very poor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TR system in Korea and ma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Specific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the problems in Korea was analyzed. They are availability of diverse drugs, sharp increase of abusers and young users, and high relapse rate, etc. Second, the ineffective court-ordered treatment policy was analyzed. It was recommended that treatment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and the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legal system and treatment system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 TR systems in public sector such as hospitals, Addiction Rehabilitation Centers(ARCs), Addiction Management Integrative Support Centers(AMISC) were analyzed. Public support to hospital treatment expense, nation-wide expansion of ARCs, and the development of referral system using AMISC were suggested. Fourth, the private sector systems such as DARC, Sonasa, NA were analyzed. It was suggested that government should financially support DARC and Sonasa. Also, it was recommended that NA meetings should be set up across the country.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NIMS, drug-testing kits, prevention education, and develop the control tower to effectively deal with drug addiction issues.

      • KCI등재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의 집단멘토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고윤순(Yun Soon Koh) 한국교정복지학회 2014 교정복지연구 Vol.- No.35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청소년을 위한 대학생멘토링의 성과내용을 깊이 있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년원 퇴원 후 A시 청소년자립생활관에서 거주하는 보호관찰청소년들에게 집단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한 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멘토링 경험을 파악하였다. 질적자료 분석결과, 3개 영역, 8개 중심주제, 23개의 세부주제가 도출되었다. 멘토링의 성과는 보호관찰청소년 지도, 멘토링을 통한 대학생의 자아성장, 그리고 멘토링프로그램 평가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청소년지도영역은 학업과 진로지도, 정서적 지지, 상담으로, 대학생의 자아성장영역은 인식변화와 자아성찰, 지도기술 및 프로그램 지원능력, 보람과 성취감으로, 멘토링프로그램 평가영역은 집단멘토링의 장단점, 기관과 대학에 대한 제언으로 범주가 세분화 되었다. 학업과 진로지도에서 대학생멘토는 복학ㆍ학교적응 지도, 직업탐색과 진로지도, 검정고시준비와 대학진학지원, 기술훈련과 취업지원, 군복부준비를 지도하였다. 정서적 지지와 상담으로 사회적응을 위한 정서적지지, 문제행동ㆍ비행예방상담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멘토대학생의 인식변화와 자아성찰로는 청소년 및 문제원인이해, 비행청소년에 대한 편견수정, 봉사자로서의 자아성찰, 예비전문가로서의 성장이 있었다. 또한 대학생은관계형성기술, 상담기술, 프로그램지원능력이 향상되었고, 돕는 활동을 통해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집단멘토링은 편안함과 상호지지의 장점이 있는 반면 청소년의 소외감와 편애의 한계도 있었다. 멘토링프로그램을 위해 대학생들은 기관에는 지원과 수퍼비전, 대학에는 진로지도와 교육을 요청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관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생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the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montoring for delinquent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 qualitative study method with focus group interviews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10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 in a public youth group hom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ubjects students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mentoring activities and 3 areas, 8 subjects, and 23 sub-subjects were identified. Three areas of outcome were 'Guiding Delinquent Adolescents', "Self-Growth of Mentors', and "Evaluation of Montoring Program'. Guiding area included 'study and career guidance', 'emotional support' and 'counseling', and Self-Growth area included 'recognition change and reflection on self', 'guidance skills, program assistance ability', and 'satisfaction from achievement'. Program Evaluation area included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group mentoring', 'suggestions to agency and university'. It was identified that for 'study and career guidance', mentors helped mentees with school adjustment, preparation for GED and college, job training and employment, and preparation for military service. For 'emotional support and counseling', mentors helped mentees with emotional support for social adjustment, and counseling for problem behaviors and delinquency prevention. Mentor's recognition change and self-analysis included correction of bias, and self-analysis as a helper. It was found that mentors improved skills in relationship, resource identification and counseling, and program assistance and they felt satisfaction from mentoring. Group mentoring had limitations of isolation and preference in relations while having comfort and mutual support. Mentors hoped that agency would provide them with a guideline and supervision while asking university for guidance and education on juvenile issues.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mentoring programs with university students for delinquent juveniles were made.

      • KCI등재

        빈곤부모의 역량강화 경험 연구

        허남순(Nam Soon Huh),허소영(So Young Heo),고윤순(Yun Soon Koh),이경욱(Gyeong Uk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0

        본 연구는 빈곤부모의 역량강화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스타트 사례관리 대상 부모를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면접과 개별면접을 하였다.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부모의 역량강화과정은 ‘막다른 상황에서 고립되고 무력해짐’, ‘관심과 존중받으며 함께 해결함’, ‘희망가지고 자녀 양육함’, ‘적극적으로 세상속으로 들어감’의 4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역량강화의 의미는 ‘희망을 가지고 자녀를 양육하고 적극적으로 세상 속으로 들어감’이며, 셋째, 역량강화 결과 개인차원의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차원의 자녀관계 개선과 원 조전문가와의 협력관계, 지역사회 차원의 자조모임과 봉사활동 참여가 나타났다. 넷째, 역량강화의 주요한 계기는 ‘원조전문가와 신뢰관계를 맺고 도움 받기’와 ‘자녀의 변화’이다. 다섯째, 원조전문가의 적극적 관계형성과 정확한 정보제공이 역량강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빈곤가족과 일하는 현장에서 빈곤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mpowerment experience of parents in poverty with a specific focus o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We Start case management program.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owerment stages were found to be "being isolated and powerless at a dead-end", "solving the problem together while receiving attention and respect", "raising children with hope", and "actively engaging with theworld". Second, the meaning of empowerment for parents in poverty was "actively engaging with the world by raising children with hope". Third, the results of empowerment were improved self-efficacy, improve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mproved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service provider, and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s and volunteer activities in the community. Fourth, empowerment process star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rust relationship with service provider and getting help", and "change in children." Fifth, activ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help professionals and provision of correct information facilitated parents` empowerme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practitioners to empower parents in poverty.

      • KCI등재후보

        가정폭력 쉼터퇴소자의 사회적응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선숙(Kim Sun-Suk),고윤순(Koh Yun-Soon),허남순(Huh Nam-So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社會科學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가정폭력 일시보호시설인 여성쉼터를 이용한 후 퇴소한 피해여성들의 실태,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응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전국 29개소 여성쉼터를 이용한 후 홀로서기를 준비하는 163명의 퇴소여성들이었으며, 조사는 2005년 5월에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태에 관한 기술분석, set-t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조사대상자 중 쉼터프로그램이 퇴소 후 도움이 되었다는 경우가 86.5%, 현재 부양자녀가 있는 경우가 60.1%, 월평균수입이 생활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73%, 자가와 전세이외의 주거형태가 66.7%였다. 평균 사회적응은 3.42, 평균 생활만족도는 3.60으로 중간값보다 높은 상태를 보였다. 회귀분석결과 사회적응에는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성역할태도, 연령이 생활만족도에는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성역할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폭력 피해여성을 위해 향상되어야 할 쉼터내 서비스, 사후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pictur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fter shelter stay. For this research 163 female victims from the 29 shelters for th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hroughout the country were survey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Out of these women, 86.5% expressed satisfaction with services in shelter, 60.1% had dependent children, 73% had insufficient fund for living while 73% did not have their own houses. It was found that mean score of social adjustment was 3.42 and mean of life satisfaction was 3.60.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elf-esteem, support from family, gender role and age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n Social Adjustment after shelter stay. An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gender role we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victims. Based on the study results, several clinic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the shelter programs and after-care programs were provided.

      • KCI등재

        REBT 집단상담이 비만여중생의 체중조절신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임명금 ( Myoung Geum Lim ),고윤순 ( Yun Soon Koh ),허남순 ( Nam Soon Huh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인지정서행동치료) 집단상담이 비만여중생의 체중조절신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K구에 위치한 Y중학교 1, 2학년 여학생 29명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6명)으로, 전체를 대상으로 한 학교신체검사결과 체질량지수가 25이상인 학생 중 본 연구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이다. 무작위로 배치한 실험집단에는 REBT 집단상담을 4주간 10회에 걸쳐 1주일에 3회씩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유인물제공외에는 특별한 개입이 없었다. 비모수 통계방법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체중조절신념 모든분야(합리적 사고, 식이자아효능감, 운동에 대한 정서, 섭식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수가 더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비만 여중생들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tion is to study the effects of REBT(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group counseling on the belief in weight-control,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obese middle school girls. A total of 29 seventh and eighth grade female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who had 25 or higher BMI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13 students) and control group (16 students).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0 sessions of REBT during 4 weeks period (three times per week) while control group in a waiting list did not have any treatment except a literature on weight control issues. Wilcoxon signed ranks tests and Mann-Whitney tests, non-parametric statistics with SPSS 13.0 version were used to analyze data.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REBT group counseling ha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belief of weight-control (rational thoughts, self-efficacy in diet, feeling towards exercise, and dietary attitud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self-esteem sco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 Practical strategies to implement REBT group counseling for obese girls in middle school system were suggested.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성희롱피해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경란(Park Koung Ran),서혜경(Suh Hye Kyung),고윤순(Koh Yun Soon) 韓國老年學會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1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성희롱피해실태를 알아보고 성희롱피해경험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연구는 2013년 10월-11월 동안 강원도 Y군내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240부 설문지 중 부실응답 8부를 제외하고 23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 중 38.0%가 근무 중 성희롱을 경험했고, 피해 횟수는 1회~2회가 54.8%로 가장 높았고, 9회 이상도 13.1%로 나타났다.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희롱피해가 56.1%로 재가시설의 24.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둘째, 성희롱가해자는 남성이 91%, 기혼, 치매환자, 3등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희롱 피해경험의 문항평균(5점만점)은, 신체적성희롱 2.18, 언어적성희롱 2.05, 시각적성희롱이 1.93으로 신체적성희롱 점수가 가장 높았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의 문항평균(5점만점)은 개인역할 일상업무가 2.62, 동료관계가 2.36, 시설 및 상사관계가 2.05, 클라이언트관계가 2.69로 클라이언트관계가 가장 높았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시각적성희롱(β=.446), 신체적성희롱 (β=.399), 언어적성희롱(β=.373)과 성희롱전체는 (β=.473) 모두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희롱예방과 대처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ual harassment(SH) on job stress among care-givers for the elderly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240 care-givers from Y county, Gangwon-do and the 232 responses from the survey conducted during October-November in 2013 were used for data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by the use of SPSS win 18.0 versio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8.0% care-giver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54.8% with 1-2 times, but 13.1% with more than 5 times. 56.1% of care-givers from nursing care facilities experienced SH which was more than two times than 24.4% from visiting care facilities. Second, for perpetrators, 91.1% were men and groups with the highest frequency were the married, the elderly over 80 years old, with dementia, 3rd degree under dis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long-term care. Third, mean scores in the SH sub-scales were 2.18 for physical SH, 2.05 for verbal SH, and 1.93 for visual SH. Fourth, mean scores in the Job Stress sub-scales were 2.62 for personal duty, 2.36 for peer relations, 2.05 for supervisor relations, and 2.69 for relations with client. Fifth, physical SH(β=.399), verbal SH(β=.373), and visual SH(β=.44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for job stress in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tal SH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job stress, controlling control variables. Visual SH was the most powerfu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for job stress than physical SH and verbal SH when put together into the regression model. Based upon the study results, the several practice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and intervention for sexual harassment among care-giver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노인대학에 참여하는 농촌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 여가만족 및 성공적 노화

        고윤순,이정숙 노인간호학회 2009 노인간호학회지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leisur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s who participated in a school for elderly peopl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Methods: From December 10 to December 27, 2007, 143 elders were survey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ean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IADL was 6.87, for leisure satisfaction, 80.28, and for successful aging, 135. IADL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uccessful aging (r=.172, p= .040), and leisure satisfaction also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uccessful aging (r=.757, p=.000). The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for elders were leisure satisfaction, education and age, which explained 64.3% of the variance in successful aging.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a need to make arrangements for a support system for successful aging through leisure activities by develop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o promote successful aging of elders in agricultural distr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