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 집단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ㅇ

        고영실(Ko youngsil)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6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장애아 대상 집단미술치료의 성과연구 34편을 메타분석하여 전반적인 특성과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R프로그램으로 효과크기, 이질성, 출간오류분석 등을 산출하여 조절효과분석 뿐만이 아니라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2011년 이후 출판된 연구물은 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73개의 분석대상 논문들에서 산출된 48개의 정적 평균 효과 크기는 Hedges’ g=1.428로, 25개의 부적 평균 효과크기는 Hedges’ g=-1.363으로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셋째, 중재변인 유형별 이질성 탐색을 위한 조절효과분석에서는 정적, 부적 집단미술치료 평균 효과크기 차이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정적 집단미술치료 평균 효과크기 차이는 대상연령, 장애유형, 집단크기, 회기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적 집단미술치료 평균 효과크기 차이는 연도, 매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 메타분석에 포함된 대부분의 데이터는 출간오류의 가능성이 낮거나 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출간오류를 내포하고 있었으나 전체결과를 수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 대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후속연구와 향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ze 34 performance studies of group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ducted in Korea from 2001 to 2018. The R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heterogeneity, and publication err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control effect analysis. The research showed that, first since 2011 the research published o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has gradually increased. Second, 48 static mean effect sizes calculated from 73 papers were Hedges g = 1.428, and 25 negative mean effect sizes were Hedges g = –1.363. Third, in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for heterogeneity exploration by type of interventional variables, the difference in mean effect size of static and negative group art therap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mean effect size difference of static group art therap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bject age, disability type, group size, and number of sessions. Fifth, most of the data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had a low probability of publication error 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ublication error, but not enough to correct the overall result.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synthesiz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art therapy was verified.

      • KCI등재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반복읽기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조기술에 미치는 영향

        고영실 ( Ko Youngsil ),권이정 ( Kwon Yij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2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반복읽기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조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S시에 소재한 2개의 국공립어린이집 만 2세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총 영아 28명 중 실험집단 14명, 비교집단 14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는 9주 동안 총 18회에 걸쳐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반복읽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을 대상으로는 놀이 주제에 따른 그림책을 제공하여 관련 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 증가분에 대해 t검정과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생활그림책을 활용해 반복읽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영아들이 비교집단 영아들보다 의사소통능력과 자조기술 전체가 향상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의사소통능력의 하위변인 중 ‘듣기와 말하기’, ‘책과 이야기 즐기기’가 유의하게 증진되고, 자조기술의 하위변인 중 ‘의생활’, ‘보건 및 위생’, ‘식생활’이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반복읽기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조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etitive reading activities using life picture book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help skills of 2-year-old infants. For this research purpose, two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S-si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m into 14 experimental groups and 14 comparative groups out of 28 infants. Repeat reading activities using daily picture books were conducted 18 tim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9 weeks, and related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providing picture books according to the theme of play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SPSS 27.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increase in pre- and pos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help skills of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erformed repetitive reading activities using life picture books compared to infants in the comparative group. In particular, among the sub-variables of communication ability, 'listening and speaking' and 'enjoying books and stor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self-help technology, 'medical life', 'health and hygiene', and 'eating lif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etitive reading activities using life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help skills of 2-year-old infant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습장애연구』 의 지식구조 탐구

        고영실(Youngsil K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학습장애 연구의 지식구조와 시기별 동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학습장애학회가 발간한 학술지 『학습장애연구』 를 대상으로 KCI 데이터베이스와 RISS를 통해 창간호(2004)부터 제17권 1호(2020)까지 출판된 논문 총 360편을 수집한 후 네트워크분석 하였다. 추출한 총 1,495개의 키워드는 정제과정을 거친 후 지식구조 파악을 위해 NetMiner 4.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단어동시출현 행렬을 전체 기간 및 시기별로 나누어 구조적 속성, 노드 수준의 중심성, 그리고 클러스터 분석을 하고 이를 반영한 주요결과를 시각화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 『학습장애연구』 의 지식의 속성은 전반적으로 하위지식간 연결성이 낮고 동시에 ‘학습장애’ 키워드를 중심으로 중심화 경향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느슨한 네트워크 특징을 보였다. 둘째, 노드 수준의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장애’를 비롯하여 CBM, 읽기, 학습부진, 메타분석, 수학, 통합교육, 중재반응모형, 읽기학습장애, 직접교수 등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약간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전체 클러스터 분석 결과 ‘메타분석’, ‘학습장애’, ‘교수적수정’, ‘읽기이해, 읽기학습장애’, ‘학습부진’, ‘신뢰도, 타당도, CBM’’, ‘통합교육’과 관련된 분야가 7개의 지적 하위구조를 형성하고 시기별로 핵심주제에 따른 클러스터링의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인 특성과 시기별 변화양상을 살펴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향후 국내 학습장애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structure and research trends of learning disability literature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360 research articles in the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published by Korea Learning Disabilities Association from the first issue in 2004 to the recent 17th issue in 2020 were collected and analyzed. 1,495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articles and standardized for the analysis. The matrix of co-occurring keywords were transformed into a keyword network then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node centralities, and clusters were examined and visualized using NetMiner 4.4 software. The keyword network was later divided into two time periods to see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structu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of all, the whol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showed low density and tended to be centralized toward the keyword “Learning Disability.” Secondly, “CBM, Reading, underachievement, Meta-analysis, Mathematics, Integrated Education,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Learning Disability in Reading, and Explicit Instruction” as well as “Learning Disability” appeared to show high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although a slight change between time periods was detected. Fin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composed of seven sub-structures. However, the sub-knowledge structures of each time period differed.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significance of and the insights gain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