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아라의 졸업작품「Emotion」해설

        고아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해설집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네 곡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 목적은 네 작품의 작곡 배경, 형식, 선율 및 화성 구조를 분석 함으로써 각 작품의 음악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졸업 공연에서 발표된 네 곡은 모두 자작곡으로 도시생활에서 느꼈던 사랑, 쓸쓸함, 외로움, 희망의 감정들을 주제로 작곡했다. 큰 주제는 <Emotion>이며, 각 곡들은 대학원 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품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자 다양한 장르의 곡으로 작곡하였다. 첫 번째 곡은 드럼, 콘트라베이스, 피아노, 보컬로 이루어진 Straight Feel 의 3/4박자 곡이고, Modal Interchange를 사용하였다. 두 번째 곡은 같은 악기 구성의 발라드 곡이며, 간결한 멜로디를 Rubato로 진행하였고 반복적인 Cadence를 사용하였다. 세 번째 곡은 왈츠(Waltz) 곡으로 각 구성 은 보컬, 피아노, 콘트라베이스, 드럼이다. 마지막 곡은 스윙(Swing) 곡이며, 빠른 템포의 장조 곡으로 보컬 임프로비제이션(Improvisation) 임프로비제이션(Improvisation) : 즉흥연주라는 뜻. 즉흥연주에서는 연주자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기교, 그리고 음악적인 구성력 등이 거의 순간적으로 발휘된다. 동사는 임프로바이즈(Improvise), 기보에서 쓰는 용어로는 ‘애드립’이 사용된다. 삼호뮤직편집부. 파퓰러음악용어사전. 서울: 삼호뮤직 (2002). p. 166 이 포함되어 있다. 본문을 통하여 졸업 공연에서 연주된 작품들의 작곡, 편곡, 연주에 대한 분석 및 음악적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 Comparison of the adjuvanticity of the de-O-acylated lipooligosaccharide-based adjuvant systems on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tuberculosis vaccine

        고아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Adjuvants are essential vaccine components used to enhance, accelerate, and/or prolong adaptive immunity against specific vaccine antigens. In this study, the adjuvanticity of two adjuvant formulations containing de-O-acylated lipooligosaccharide (dLOS), a toll-like receptor 4 agonist, on the Japanese encephalitis (JE) vaccine were evaluated in mice. Mice were immunized once or twice at a two-week interval with inactivated JE vaccine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adjuvant.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alum- and the liposome-based formulation induced significantly faster and higher serum IgG antibody responses as compared with the non-adjuvanted vaccine after either one or two immunizations. The antibody titers of the mouse immune sera correlated with 50%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50) antibody titers. In addition, the dLOS/liposome formulation was more effective in inducing a Th1-type immune response than the dLOS/alum formulation, as suggested by a strong antigen-specific interferon (IFN)-γ response. These data suggest that both alum- and liposome-based adjuvant formulations containing dLOS may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JE vaccines with improved immunogenicity. Tuberculosis (TB) is an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Bacillus Calmette-Guérin (BCG) vaccine is the only TB vaccine currently available, but it is not sufficiently effective in preventing active pulmonary TB or adult infection.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improved vaccine against TB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BCG vaccin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adjuvant formulations containing dLOS are capable of enhancing the immunogenicity and protective efficacy of TB subunit vaccine. The results revealed that dLOS/dimethyl dioctadecyl ammonium bromide (DDA) adjuvant formul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humoral and Th1-type cellular responses to TB subunit vaccine that are composed of three antigens, Ag85A, ESAT-6, and HspX. The adjuvanted TB vaccine also effectively induced Th1-type response in a BCG-primed mouse model, suggesting a potential as a booster vaccine. Finally, dLOS/DDA-adjuvanted TB vaccine showed protective efficacy against M. tuberculosis infection in vitro and in vivo. These data indicate that dLOS/DDA adjuvant enhances the Th1-type immunity and protective efficacy of TB subunit vaccine suggesting that it would be a promising adjuvant candidate for development of a booster vaccine. In summary, the dLOS-based adjuvant systems are highly effective in enhancing the antibody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to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nd tuberculosis vaccin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LOS-based adjuvant systems have a potential as an effective vaccine adjuvant for various viral and bacterial vaccines.

      •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고아라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Ko ara D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Counseling Psychology (Advisor : Park Eun-M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on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of counseling and education to improve personal and intrinsic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childcare teachers in a daycare center located in Gwangju and a survey is conducted to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in pers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test using SPSS 20.0 program;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Then,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regarding the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bles revealed that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are positively correlated.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variables. In detai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hat the higher the self-evaluation about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the higher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re was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he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A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as well. Secon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happiness wa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that partially mediates in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on sub-factor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In other words, happin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whole variable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which are sub-variable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confirmed the correlation among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happiness and showed that and happiness mediated the correlation.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promoted to make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more positive and smooth. Rich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counseling, educational programs,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국 문 초 록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 고아라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박은민)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육교사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관계에서 개인 내적 요소 행복감 증진을 위해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유아 보육교사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는 직접방문을 하여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인성에 대한 자기 평가가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각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행복감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각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인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관계에서 행복감은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행복감은 보육교사 인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유의미한 매개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복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전체변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인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행복감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행복감이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행복감을 증진 시켜야 한다. 보육교사의 행복감은 다양한 자기 계발과 근무환경의 개선은 물론 상담과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신장하도록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유효 핵전하 개념 이해를 돕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적 효과 연구

        고아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술혁신으로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새로운 인재상과 그 육성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이커 교육을 고등학교 정규 교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과학 교과 내 추상적인 개념 이해를 돕는 모형으로 기능할 수 있는 메이커 장치와 이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개념 이해 및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과학 개념으로는 원자 내 유효 핵전하를 주제로 그 정의와 영향 요인, 주기성의 세 가지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여 메이커 장치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G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화학Ⅰ 과목을 선택한 학생을 대상으로 8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개념 활동지와 차시별 보고서, 중간 및 마무리 보고서, 프로그램 적용 후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답변을 범주화하여 유효 핵전하에 대한 이해 및 개념 변화를 살펴보았고, 시각화를 통한 직관적 이해, 과학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능 영역 계발, 메이커 역량 계발의 세 가지 관점에서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한 메이커 장치는 원자 내 입자들과 그 관계가 바르게 표현되었고, 설정한 방향성이 모두 반영되어 관련 개념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모형으로써 기능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장치를 제작하고 측정하는 과정을 통해 유효 핵전하의 정의와 영향요인 각각의 영향, 주기성을 바르게 이해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소별 유효 핵전하 차이를 기술하는 문항의 점수를 사전-사후, 사중-사후로 비교했을 때 각각 사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은 이러한 장치를 통해 추상적인 유효 핵전하 개념을 시각화함으로써, 개념에 보다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장치 및 프로그램의 내용은 과학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능 영역 중 ‘모형의 개발과 사용’,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의 정의와 상응하고, 학생들도 활동을 통해 해당 기능 영역을 계발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메이커 역량 관점에서 학생들은 총 6개의 역량군 중 ‘통합적 사고’, ‘메이킹 수행’, ‘메이킹 마인드’, ‘협업’ 역량군에서 각 하위역량이 발현 및 계발되었고, 비교적 제작 방법이 정해진 활동이었기 때문에 ‘인류애’ 및 ‘문제 발견’ 역량군의 하위 역량 발현 및 계발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메이커 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이 개념 이해에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것은 추상적인 개념을 시각화하여 개념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과학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능 영역 중 성취기준에 반영되지 않았던 영역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메이커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연구 과정에서 발견한 한계들을 바탕으로 더 큰 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의 필요성과, 장치의 개선 방향, 학생들로 하여금 활동을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 크지슈토프 보디츠코(Krzysztof Wodiczko)의 공공미술 작업에 나타난 사회비판적 특성

        고아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크지슈토프 보디츠코(Krzysztof Wodiczko, 1943~ )의 공공미술 작업에 나타난 사회비판적 특성을 살펴본 연구이다. 보디츠코는 198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건축물의 외벽이나 기념물에 대형 이미지를 프로젝션하거나, 자신이 디자인한 운송수단이나 기구들을 공적 공간에서 퍼포먼스하는 방식으로 도시 공간을 조형화하여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전달해왔다. 보디츠코가 활동했던 20세기 후반은 공공미술 내부에서 공공성을 찾기 위해 변화를 시도하였던 때이며, 정치적 성격이 강한 행동주의 미술이 확산되던 시기였다. 기존의 공공미술이 대중과 유리된 채 이데올로기를 표방하고 있다는 비판적 시각은 공공미술의 영역에서 사회적 이슈에 반응하여 대중의 소통과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행동주의적 움직임을 태동하게 했다. 보디츠코 역시 이 같은 관점을 견지하여, 장소에 대한 새로운 지각을 통해 사회 문제에 대한 비평적 담론을 촉발하는 행동주의적 전략을 탐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사회비판적 개입이라는 개념으로 규명함으로써, 그의 작품의 미술사적 맥락을 밝히고, 그의 작품세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활동 초기부터 보디츠코는 도시의 중심에 위치한 공공건물 외벽과 기념물에 대형 슬라이드나 비디오를 일시적으로 프로젝션하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이는 거대한 건축물이 가진 스펙타클한 효과를 전용하여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는 전략으로, 지배 권력의 이데올로기를 전달하는 공공 건축의 정치적 기능과 그와 연관된 사회적 이슈를 드러내었다. 또한 그는 기념물에 전쟁의 이미지나 희생자들의 증언이 담긴 비디오를 영사하여 전쟁과 폭력을 정당화하는 기념물의 왜곡된 역사적 재현을 비판하였다. 이와 같은 보디츠코의 공공적인 프로젝션은 일시적으로 장소에 개입하여 그와 관련된 사회·정치적 문제를 노출시킴으로써 공적 공간에서 다양한 담론이 오고가도 록 유도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한편, 1980년대 말부터 보디츠코는 지정된 장소를 넘어 도시 공간 전체를 전유하는 작업을 선보인다. 그는 도시의 소외된 공동체를 위해 고안한 기구들로 공적 공간에서 퍼포먼스하여 공간의 사회적 맥락을 주목하게 했다. 특히 그는 도시의 재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홈리스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홈리스의 생존을 위한 운송기구를 제작하고 실제로 사용하게 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 오용되고 있는 공적 공간의 기능을 비판하였다. 또한 그는 이민자를 위한 의사소통 기구들도 개발하여 도시 공간에서 벌어지는 타자의 배제를 문제시하고, 진정한 의미의 민주적 공간을 조성하고자 했다. 이처럼 그의 작품들은 공간을 전유하여 사회의 부조리한 측면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이를 변화시켜 더 나은 삶을 이루고자 하는 사회비판적 개입의 전략을 지속적으로 수행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공공적인 프로젝션의 제안이나 설치, 운송수단과 기구를 이용한 공적 퍼포먼스 등의 다양한 매체와 형식을 사용하는 보디츠코의 작품들은 삶의 공간에 개입하여 미술을 통해 사회 변혁을 추구하는 작가의 일관된 태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보디츠코의 작품 전반에 내재된 이러한 사회비판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것이 공공미술의 형태로 표출되는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의 작업이 행동주의 속성을 지닌 공공미술의 흐름에 위치하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의 사회비판적 개입이 공적 공간을 사회적 이슈를 논쟁하는 민주적 공간으로 변모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그의 작업이 대중의 사회적 인식을 일깨우는 진보적 형태의 공공미술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socially critical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art activities of Krzysztof Wodiczko(1943~). Since the early 1980s until today, Wodiczko has delivered his message of social criticism by projecting a large image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or making a performance of displaying his own designed mode of transportation or apparatus in a public space. The time Wodiczko was active – the late 20th century – was a time when there were many attempts to find public concern in public art, and also when behaviorism, which had a strong political character, started to spread. The critical perspective on public art of the time that it was isolated from the public and was advocating ideologies birthed the behaviorist movement that tried to get the public to get involved and communicate in reaction to social issues. Wodiczko too adhered to this perspective, and through new awareness of place, he researched behaviorist strategies that would spark critical discussion about social issues. On this, this study establishes this as an intervention that is critical of society, attempted to determine the art historical context of his works and tried to observe his world of art in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From the beginning of his career, Wodiczko shows works that momentarily projects large slides or videos on the outer wall of public buildings or monuments in the middle of the city. This was a strategy to convert the spectacular effect of a large building into conveying a social message, and revealed the political roles of public buildings of delivering the ideology of the ruling power while revealing related social issues as well. Also by projecting images of war or videos of victims’ testimonies on monuments, he criticized the distorted historical reproduction of those monuments. Like so, Wodiczko’s public projections show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inducing diverse discussion in public space by momentarily intervening in a place and exposing the related social, political issues. Meanwhile, Wodiczko displays work that surpasses the appointed space and monopolizes the whole city space since the late 1980s. By performing through devices designed for the neglected community in the city in a public space, he drew attention to the social connotations of the space. He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homeless issue that derived from the urban redevelopment process, so he made transportation devices for the survival of the homeless and put them to real use, criticizing the misused function of public space in capitalist society. Furthermore, he create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mmigrants in order to bring into question the alienation of strangers in urban environments and also set up a truly democratic space. Like so, his work monopolizes space and not only reveals the irrational side of society but also tries to change this by continuously acting on socially cri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will help achieve better life. Like this, Wodiczko’s artwork that utilize diverse media and formats, such as proposals for public projections or their installation, public performances using transportation devices or apparatus, etc., are founded on the artist’s consistent attitude that pursues changes in society through art by intervening in life space. This study considers the socially critical characteristic inherent in all of Wodiczko’s work overall, and tries to establish that his work is part of the flow of behaviorism by observing the various aspects of its expression in public art.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s to reveal that his activities are a progressive form of public art that awakens the public’s social awareness in that his socially critical intervention tries to transform a public space into a democratic place of social discussion.

      • 중·고등학생들의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식 조사

        고아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들의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및 실태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원, 김해, 밀양 지역의 만 12세 이상 18세 미만 청소년 250명을 표집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측정하였다. 설문지의 항목은 크게 4가지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데이트 경험의 특성,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데이트 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대해서 총 90문항으로 제작되었다. 자료 분석은 빈도(N)와 백분율(%), 교차분석, 기술통계 분석, 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응답자 250명 가운데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8명(67.2%)이며, 데이트 폭력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는 학생은 236명(94.4%)으로 나타났으며, 데이트 폭력의 인식 경로는 TV 92명(37.9%), SNS 77명(31.7%), 인터넷 47명(19.3%), 친구 8명(3.3%)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형별 데이트 폭력 인식정도는 신체적 폭력이 86.4%로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성적 폭력은 78.4%, 정서적 폭력은 77.7%로 나타났고, 반면에 행동통제 폭력은 56.9%로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셋째, 유형별 데이트 폭력의 인식에 대한 성별 및 중·고등학생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적 폭력에 대한 인식은 여자가 84.6%, 남자가 72.9%로 여자가 남자보다 성적 폭력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으며, 정서적 폭력에 대한 인식은 중학생이 80.0%, 고등학생이 66.7%로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정서적 폭력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으며, 행동통제 폭력에 대한 인식은 중학생이 56.9%, 고등학생이 43.7%로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행동통제 폭력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데이트 폭력 예방교육의 유무를 살펴보면,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84명(33.6%)으로 나타났고, 이 중 예방교육을 실시 한 기관으로는 학교가 63명(25.2%)으로 가장 높았다. 다섯째, 데이트 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실태를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 250명 중 가해경험을 한 학생은 59명(23.6%), 피해경험을 한 학생은 64명(25.6%)로 나타났다. 여섯째, 데이트 폭력 유형에 따른 가해 및 피해경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결과, 가해경험은 행동통제 폭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서적 폭력,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 순으로 나타났다. 피해경험은 마찬가지로 행동통제 폭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정서적 폭력, 성적 폭력, 신체적 폭력 순으로 나타났다. 즉, 가해 및 피해경험 모두 행동통제 폭력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데이트 폭력 유형별 실태에 대해 성별 및 중·고등학생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가해 및 피해경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250 children aged between 12 and 18 years in Changwon, Gimhae, and Milyang areas were sampled and their perception and actuality of dating violence was measured by self - report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four major items. Socio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dating experiences,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and experience of violence. A total of 90 questions were produce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N), percentage (%), crossover, descriptive statistics, variance analysis, and binary variance analysis. Results, first, Of the 250 respondents, 168 students have experience with resuscitation. There were 236 students who had heard about dating violence. The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was 92 for TV, 77 for SNS, 47 for Internet, and 8 for friend. second, The perceived degree of date violence was the highest with 88.4% of physical violence, 78.4% of sexual violence, 77.7% of emotional violence, and 56.9% of violence of behavior control. Third, Sexual violence was perceived by 84.6% of the women and 72.9% of the males, respectively. The perception of sexual violence was higher among women than men. Perceptions of emotional violence were 80.0%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66.7%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emotional violence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 perception of behavior control violence was 56.9%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43.7%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behavior control violence than high school students. Fourth, In the case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84 students had experience of preventive education and 63 of them were the highest level of prevention education. Fifth, Applied to dating violence and damage Looking at the situation experienced student who applied to 250 people from all respondents experienced students for 59 people, the damage was experienced by 64 people. Sixth, According to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injury and victimization experiences according to type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s of violence were behavior control violence, emotion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Damage was found to experience behavioral control violence, emotional violence, sexu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order. According to the actual gend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dating violence, both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구성주의를 토대로 한 초등학교 무용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고아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에서 무용교육은 훌륭한 무용가를 기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미적 경험을 갖게 하여 미의식과 스스로 창작할 수 있는 올바르고 원만한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에게 과정상의 활동을 중요시하고 자유롭고 재미있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구성주의는 어린이들에게 이러한 기회를 많이 줄 수 있는 학습방법이다.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학습은 기존의 교사가 주체가 되어서 객관적인 지식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들에게 자유로운 활동의 시간을 부여하고 그들이 스스로 지식을 수용할 것을 기대한다. 또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구성원들간의 대화를 중요시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앎과 학습의 과정을 점검하고 통제하는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다. 따라서 구성주의에서 강조하는 학습의 원리를 무용교육에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초등무용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첫째, 구성주의의 배경과 특징을 알아보고 구성주의 교수 학습관과 7 차 교육과정에 따른 무용단원의 내용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둘째, 초등무용교육과 구성주의의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고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7 차 교육과정에 따른 무용단원의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셋째, 초등학교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성주의 학습원리를 토대로 한 무용교수-학습안을 구안하였다. 이상의 내용들을 국내 외의 단행본과 논문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구안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주의에서의 지식은 인식주체에 의해 결정되며 개인의 사고는 신체적·사회적 경험을 통해서 성장한다. 교육의 최종목표는 개인이 맥락에 적합한 의미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며 학습자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며 의미를 구성하는 능동적 학습자이다. 교사는 이러한 학습자를 위해서 다양한 자료를 사용하여 안내하며 지식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공동참여자로서의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정해진 교육과정은 없으며 다양한 자료에 근거한 구성활동을 강조하고 질적평가를 강조한다. 둘째, 초등학교 무용교육과 구성주의에 접근가능성을 살펴 본 결과 학습의 과정을 중요시하고, 학습의 실제적인 맥락과 반성적 추상을 강조하는 구성주의는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표현욕구와 개방적인 분위기가 중요한 초등학교 무용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질 수 있다. 또,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7 차 교육과정에 따른 무용단원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경험의 강조,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강조, 지식의 유용성과 학습환경의 사회화 강조 그리고 협동학습과 소그룹 활동수업의 강조, 학습과정으로서의 평가를 강조하는 특징들이 있었다. 셋째, 구성주의를 토대로 한 교수-학습안은 아동에게 더욱 의미 있는 표현활동의 기회를 갖도록 하여 다양한 사고력을 기르고, 무용에 대한 좋은 태도를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성주의의 일반적 특징을 토대로 하여 무용교수-학습에 적용하였으며, 1-2학년, 3-4학년, 5-6학년용으로 구분해 구성하였다. 각 교수-학습안은 단계별 구분이 없이 일반적 소재와 추상적 소재 사용에 따라 사고의 깊이가 심화 되도록 하였다. 각 단계별 학습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도입- 전개- 발전- 정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다. 교수-학습의 전 과정에서 적절한 발문과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 학습지를 사용하여 순환적 학습을 유도하고, 반성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스스로 평가를 하여 자신의 활동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룹별 협동학습을 통해 서로 돕고 협동할 줄 아는 태도를 기르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표현활동에 적용한 구성적 무용교수-학습안은 학생의 눈 높이에 맞는 교육, 그룹별 협동학습을 통한 사고 활동의 촉진, 자기평가를 통해 학습자에게 반성적 추상의 기회를 제공해 학습자는 더욱 의미 있는 표현활동의 기회를 갖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수-학습안의 구안에 있어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학습환경을 만들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본 교수-학습안에 대한 학습효과 및 효율성에 대해서도 현장검증을 통하여 평가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The goal of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lies not in bringing up excellent dancers but in helping the students to be exposed to a variety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thereby, grow into creative human beings having a good personality. Hence, it is necessary to give the children opportunities to express something freely and pleasantly. Constructivism is a pedagogics designed to give children such opportunities. It is not that teachers cram the objective knowledge into children's brain but it is that children are given the time to act freely and accommodate the knowledge for themselves. Futhermore, constructivism emphasizes the dialogue among learners, and therefore, learners can check and control the learning processes, while reflecting on themselv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pplying the learning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to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and thereby, suggesting an effective elementary dance pedagogics. To this end,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were reviewed first, and then, the constructivism pedagogics was examined in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dance curriculum specifi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Second, applicability of constructivism to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was discussed, and thereupon, the contents of dance curriculum specifi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Third, a dance pedagogics was designed based on constructivis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Besides, relevant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dissertations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constructivism, knowledge is perceived by subjects, while individuals' thoughts develop through physical and social experience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help individuals compose the contexts appropriate to themselves. In this course, learners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while constructing the meanings. Teachers are obliged to use a variety of materials for the students, guide and encourage them, while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process together with students. No definite curriculum is available. Merely, a variety of materials are used, while a qualitative evaluation is emphasiz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constructivism to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structivism emphasizing the learning process, actual learning context and reflective thinking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requiring children's free expressions and open atmospher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ance curriculum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from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specifies requirements of constructivism pedagogics: individual's experience,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usefulness of knowledge and sociable learning environment, cooperative small group learning, evalu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etc. Third, the pedagogics based on constructivism allows children to have the opportunities for more significant expressions, helps them to develop the ability of thinking in diverse ways and develop a good attitude towards dance. The pedagogics was applied to elementary students by dividing them into first- and second-graders, third- and fourth-graders and fifth- and sixth graders. The pedagogics was not differentiated or phased, and instead, was designed to help the students use the general and abstract materials to deepen their thinking. The pedagogics consisted of four stages (introduction - development - evolvement - conclusion). Through the entire learning proces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ask proper questions, while specific and positive feedback was effectively used to motivate the students to learn pleasantly. On the other hand, teaching materials were used to induce the students to repeat the learning process, while reflection on the performances and evaluating their performances for themselves. Moreover, they were encourag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group-wise cooperative learning. After all, the constructivism pedagogics designed for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was found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served to facilitate students' thinking through group-wise cooperative learning, encourage them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s for themselves, reflect on themselves and express themselves more positively.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exploring autonomous and active learning environments. Of course, the pedagogics suggested by this study should be subject to further field tests for its learning effects and efficiency.

      •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이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

        고아라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이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해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을 파악 및 분석하여 올바른 윤리의식의 확립과 이에 따른 해결 방안을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댄스스포츠 프로페셔널 결승 진출자들을 대상으로 성인 남·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해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에 진실성과 신뢰도를 위해 구성원검토법, 삼각검증법, 동료검토법, 내용타당도를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이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올바른 윤리의식이 확립되지 않은 댄스스포츠지도자들로 인해 금품수수와 승부조작이라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선수들은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페어플레이 정신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 참여권을 박탈당하거나 운동을 포기하게 되는 사례로 이어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지도자의 지도라는 명목하에 폭력(성, 언어, 처벌)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신적 피해를 얻은 선수들은 선수 생활을 중도 포기 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금품수수, 승부조작, 폭행, 비윤리적인 행위로 구분 지을 수 있었다. 셋째,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에서 금품수수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장 목격 시 바로 신고를 해야 하며, 그에 따른 처벌을 받는 게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승부조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지도자가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 공정한 심판을 하고, 결과지를 공개해야 하며, 심사의 기준이 명확하고 선수들이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협회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지도자의 올바른 인격 성립을 위해 폭력과 성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 시키고, 전반적인 윤리 자격증을 이수해야 한다고 하였다. 비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과도한 승리지상주의를 지양하고, 지도자와 선수가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해서 긍정적인 환경을 실현해 나아가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기존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댄스스포츠지도자와 선수의 관계가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가를 규명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고,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에 대한 양적, 질적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 되고, 또 댄스스포츠 선수들이 지도자가 되었을 때 똑같은 전철을 밟지 않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다. 따라서 지도자의 자질과 올바른 윤리의식을 갖춘 댄스스포츠지도자가 필요하며, 이 연구를 통해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 소양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sports leaders' ethical consciousness on athletes, discover and analyz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improve dance sports leaders' ethical consciousness, and provide basic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even adult men and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finalist study specializing in dance sport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one-on-on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a member review method, a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 a peer review method, and content validity were used for the stud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urvey of the impact of dance sports leaders' ethics on players showed that dance sports leaders who did not have the right ethics were causing bribery and match-fixing, causing players to lose the most important fair play spirit. This is interpreted as leading to cases in which players are deprived of their right to participate in the game or give up their exercise. One the other hand, violence (sex, language, punishment) occurs in the name of leadership, and mentally damaged players give up their careers in the middle. Seco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dance sports leaders can be classified into bribery, match-fixing, assault, and unethical behavior. Third, in the improvement plan that can improv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dance sports leaders, it is said that it is effective to report immediately when witnessing the scene as a way to prevent bribery. As a way to prevent match-fixing, the association's need has been raised to establish correct values, make fair judgments, disclose results, have clear screening standards, and allow players to represent their voices. As a way to prevent violence, it is said that violence and sex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overall ethical certificates should be completed to establish the right personality of leaders. And it is also argued that he expects to realize a positive environment by avoiding excessive victoryism and maintaining horizontal relations between leaders and players as a way to solve unethical problems. Therefore,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ance sports leaders and athlete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gles, and it was an opportunity for dance sports players not to follow the same Track. Therefore, a dance sports leader with the qualities of a leader and the right ethics is needed, and this study aims to support dance sports leaders to have a sense of ethics.

      • 퍼스널컬러가 유행인식, 자기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의류와 색조화장품의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고아라 한양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메이크업과 기본적인 착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사회생활에서의 효과적인 이미지 창출에 대한 관심은 메이크업과 패션산업의 발달과 함께 개인이 지니고 있는 선천적인 색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일반적으로 퍼스널컬러라고 한다. 퍼스널컬러에 관한 연구들은 퍼스널컬러의 중요성을 가정하여 한국인에 맞는 퍼스널컬러의 유형과 이론을 확립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실용화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반면에 이러한 퍼스널컬러들이 개인의 유행인식, 자기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적인 구매행동, 구매 욕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고찰은 제한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퍼스널컬러 진단에 관한 연구도미흡한 점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퍼스널컬러 인식이 개인의 유행인식, 자기이미지 형성과 더불어 실제 패션상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서울, 경기, 대전을 비롯한 전국에 거주하는 총 550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고, 설문지 조사의 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퍼스널컬러 인식의 각 하위차원들은 유행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자신의 신체 고유 색상에 대한 기본적인 관심이 이를 활용하는 차원에서 유행인식에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퍼스널컬러 인식의 각 하위차원들은 자기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퍼스널컬러의 활용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현대적이고 진취적인 자기이미지 확립과의 연결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셋째, 퍼스널컬러 인식을 고려한 패션상품 구매행동을 알아본 결과, 색조화장품 구매 시 색상선택 기준에 대해서는 ‘피부색이나 모발색을 고려해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을 선택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색상선택 시에는 자신의 얼굴색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제품 구매 시 색상선택 기준에 대해서는 색조화장품 구매 시와 달리 ‘자신이 좋아하는 색’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색상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색조화장품 구매 시와 달리 자신의 의상색을 제일 먼저 고려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퍼스널컬러 인식에 따른 유행인식, 자기이미지에 대한 영향과 패션 상품 구매 행동을 알아보았다. 그에 따라 퍼스널컬러 인식에 따른 변인들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이 퍼스널컬러를 설정하는데 수반하는 노력과 행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