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17세기 李潛ㆍ李得胤 父子의 講學活動과 門人의 動向

        고수연(Ko, Soo-yeon) 호서사학회 2015 역사와 담론 Vol.0 No.73

        조선시대 청주지역은 서인 - 노론계의 宗匠인 尤庵 宋時烈이 학문적 • 정치적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던 지역으로 그가 세상을 떠난 직후 인근에 華陽書院과 萬東廟가 건립되어 노론의 상징적 장소가 되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노론계 세력확대에 반대하는 청주지역 남인 • 소론계 사족에 의해 鄕戰이 일어났고, 1728년에는 남인 • 소론 사족이 중심이 된 무신란 반란군에 의하여 청주성 점령까지 이루어진 지역이다. 이러한 청주지역 사족의 모습은 이른바 17세기 후반∼18세기의 2세대 사림의 활동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앞선 16∼17세기 전반 청주지역 1세대 사림은 2세대 사림과는 다르게 다양한 학풍을 수용하였고, 사족간의 다양한 학문적 교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중심에 李潛․ 李得胤 부자가 있었다. 이잠과 이득윤 부자의 학풍과 강학활동과 문인 양성은 첫째, 琅城八賢이라는 청주의 걸출한 학자군을 완성하게 했으며, 둘째 湖西左道에서 두 번째로 莘巷書院을 건립하게 했으며, 셋째 이득윤과 이잠의 청주 출신 문인 51명을 과거에 입격시켰던 것이다. 즉, 이잠과 이득윤 부자는 청주지역에 1세대 사림의 인물과 그 활동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강학활동을 전개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 강학활동은 청주사림의 학문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이득윤 사후 17세기 후반에 이르면 중앙의 정계에서 불어 닥친 당쟁의 영향으로 이잠과 이득윤 문인들은 分岐한다. 그리고 그 움직임에는 이득윤의 수제자인 李德洙와 송시열이 개입되어 있다. 즉, 노론의 신항서원 운영주도권 확보 노력, 각 당파의 서원 건립․ 추향경쟁, 각종 향전으로 문인들이 대립한 것이다. 그리하여 17세기 후반에 이득윤의 문인과 그 후손은 철저히 당색으로 나뉘고, 이후 1728년 영조대 戊申亂이라는 격한 대립을 보여준 것이다. 그러나 무신란이 평정되면서 청주 지역의 학문, 사상사적 위상은 노론계가 중심이 되어 더욱 강화되고 경직된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In Joseon, the Cheongju area(淸州地域) was where Wooam Song, Shi-yeol(宋時烈), who was the head of the Seoin-Noron line, actively developed his academic and political activities. Hwayangseowon and Mandongmyo were built in its surrounding area right after he passed away, becoming the symbolic places of Nor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Hyangjeon by the Namin and Soron line Sajok of the area that opposed the expansion of the Noron line force. In 1728, the Cheongju Fortress was occupied by the rebel forces of Mushinran mainly comprised of the Namin and Soron Sajok. The aspects of Sajok in the Cheongju area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second-generation Sarim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The first-generation Sarim of the Cheongju area in the 16th and the early 17th century accepted a variety of academic traditions and had various academic exchanges among the Sajoks unlike the second-generation Sarim. There were Lee, Jam(李潛), the father, and Lee, Deuk-yun(李得胤), the son, at the center of it. Their academic traditions, activities to pursue study, and cultivation of literary figures made the outstanding group of scholars called Nangseongpalhyeon(琅城八賢) active in the Cheongju area, resul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cond Shinhangseowon in the Hoseojwado, and helped 51 literary figures from Cheongju pass the state exam. In other words, the father and the son developed activities to pursue study that could combine the first-generation Sarim figures and their activities into one. It seems clear that their activities to pursue study raised the academic level of Cheongju Sarim by a notch.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rty strife from the central political circles i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after the death of Lee, Deuk-yun, the literary figures in the circle of the father and the son rose to action. The movement was assisted by the best pupils of Lee, Deuk-yun, Lee, Deok-su and Song, Shi-yeol. That is, the literary figures confronted one another due to the efforts to seize the leadership in the operation of Shinhangseowon by Noron, the competition to build a seowon and hold a memorial service in it among the parties, and all kinds of Hyangjeon. I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literary figures in the circle of Lee, Deuk-yun and their descendents were thoroughly divided by the partisan colors with an intense confrontation of Mushinran(戊申亂) in 1728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confrontation, however, was sorted out in the Noron color after Mushinran was put down.

      • KCI등재

        『戊申逆獄推安』에 기록된 戊申亂 叛亂軍의 성격

        고수연(Ko, Soo-yeon) 호서사학회 2017 역사와 담론 Vol.0 No.82

        『戊申逆獄推案』에는 1728년(영조 4)에 일어난 무신란에 가담했던 반란군의 供草가 모두 실려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무신역옥추안』에 실린 반란군 291명의 공초를 분석한다면 무신란 반란군이 士族 중심이었는지, 아니면 軍官 · 奴婢 등 하층민이 반란군으로 큰 역할을 했는지를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기존에 혼용되어 쓰이던 무신란의 성격, 즉 무신란을 붕당정치 차원에서 파악할 것인가,민중운동의 일환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시각을 분명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가지고『무신역옥추안』을 분석한 결과,첫째,『무신역옥추안』에 기록된 반란군의 職役을 보면 291명 중 미상 86명을 제외하면 사족이 173명으로 압도적으로 많다. 따라서 무신란 당시 사족이 주도적으로 가담했다고 한 연구시각, 즉, 무신란을 붕당정치 차원에서 파악한 연구시각은 맞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사족 외의 직역으로는 군관 6명, 중인 10명, 양인 4명, 노비는 12명에 불과하다. 더구나 노비는 대개 주인인 사족의 단순심부름을 하였다. 따라서 하층민이 반란전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고는 한 연구시각, 즉 무신란을 민중운동의 일환으로 파악한 연구시각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셋째,『무신역옥추안』에 기록된 반란군이 많이 살았던 지역인 여주 · 용인 · 충주 지역을 검토해 본 결과 그 지역의 반 노론계 2~3가문의 친척이 같은 당파와 인척으로 연합하여 반란에 가담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넷째,『무신역옥추안』에 실린 본관이 같은 가문으로는 淳昌趙氏, 驪興閔氏, 羅州羅氏, 泗川睦氏, 全州李氏, 潘南朴氏 순이었다. 당색으로 보자면 순창조씨 · 여흥민씨 · 나주나씨 · 전주이씨는 南人계, 사천목씨 · 반남박씨는 少論 峻少 계열의 가문이었다. 그리고 남인인 순창 조씨와 여흥민씨, 나주나씨와 전주이씨는 인척지간이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지역에 세거하던 남인 사족이 가장 많은 수의 친척을 동원하고 있었다. 이것은 1727년 丁未換局으로 서울의 소론 준소계열의 반란동력이 약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지방 세거 남인 사족들이 가장 많은 친척을 동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요컨대, 무신란의 전개에 하층민의 가담을 인정할 수는 있지만, 이것을 확대 해석하여 무신란을 민중운동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된다. 무신란은 사족, 특히 남인과 소론 준소계열 사족이 중심이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지역에 세거한 남인들이 인척으로 강하게 결속되어 있었고, 가장 많은 수의 친척을 동원하고 있었다.

      • KCI등재

        17세기 忠淸道 沃川 資風書堂의 운영과 인적구성

        고수연(Ko Soo-yeon) 역사문화학회 202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4 No.2

        資風書堂은 조선 초기인 정종~태종 연간(1398~1418)에 창건되었다. 그동안의 서당연구가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忠淸道 沃川郡에 위치한 자풍서당의 검토는 다양한 지역의 서당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풍서당원의 科擧 급제자 명단인 『書堂連桂案』에는 28명이 등재되어 있는데, 그중에 6명이 임진왜란 이전에 급제된 인물이었다. 1636년에 작성된 자풍서당의 堂憲인 <齋中約條>에도 과거급제 관련 조항이 남아있다. 이를 통하여 자풍서당은 科業교육을 담당한 조선전기 향촌서당의 한 사례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재중약조> 31개조 분석을 통해서 17세기 자풍서당의 임원구성, 재정운영, 서당 입학과정, 거접규칙, 과거급제시 포상 등 서당운영과 교육규칙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자풍서당의 인적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서당에 소장된 儒案인 『서당연계안』을 검토한 결과 서당임에도 불구하고 1426년부터 1894년까지 28명의 과거 급제자를 꾸준히 배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안인 『資風書堂仙案』과 『서당연계안』을 함께 검토한 결과 300여 명에 가까운 당원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17세기에 태어난 옥천인물들이 많았다. 따라서 이 시기가 자풍서당의 전성기였으며, 서당에서 주로 옥천인물들이 교육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서당원들은 본관별로 인천이씨·옥천전씨·함양여씨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들 가문은 南人계 성향을 보이면서 옥천지역 西人-老論계 사족과 대립하며, 書院을 이용한 鄕戰도 불사하였다. 그러나 결국 조선후기 중앙정계에서 서인-노론이 패권을 잡으면서 자풍서당 당원들은 옥천이라는 향촌사회에서조차 힘이 약해진다. 이를 통하여 서원뿐만 아니라 지역에 위치한 서당 역시 조선후기 당쟁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Japung Seodang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King Taejong (1398~1418) in early Joseon. As previous Seodang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Gyeongsang Province, a review of Japung Seodang located in Okcheon-gun, Chungcheong Province will have significance in promoting the study of Seodangs in various areas. The study of Japung Seodang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ases of Seodangs offering education for the State Exam during the former part of Joseon as there are fewer studies on Seodangs from that period than from the latter part of Joseon. In Seodangryeongyean, which is a list of people who passed the State Exam housed at the Japung Seodang, there are records of 28 people, six of whom passed the exam before Imjinwaeran. Jaejungyakjo, which was written to establish the rules of Japung Seodang in 1636, holds three provisions about passing the State Exa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Japung Seodang was in the early form of Hyangchon Seodang, whose nature was similar to that of Seojae in charge of education for the State Exam. The 31 articles of Jaejungyakjo show that Japung Seodang was actively managed with a set of detailed rules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study also reviewed the Seodangryeongyean, which is a list of Confucian scholars that studied at the Seodang and were housed there, to examine its human composition. Although it was a Seodang, Japung Seodang produced as many as 28 people that passed the State Exam throughout Joseon from 1426 to 1894. Another list of Confucian scholars, the Japungseodangseonan, was also reviewed along with Seodangryeongyean. The records show that nearly 300 people were registered on these lists, and they were usually born in Okcheon in the 17th century, which witnessed the prime years of Japung Seodang. The main family clans were the Lee family of Incheon, the Jeon family of Okcheon, and the Yeo family of Hamyang. These families had the Namin line propensity, confronted the Seoin-Noron line Sajoks in the Okcheon area, and did not shy away from Hyangjeon using a Seowon. After the Seoin-Noron line seized supreme power in central politics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however, the members of Japung Seodang grew weak in their power in the Hyangchon community of Okcheon. These results show that Seodangs as well as Seowon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party strif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老論系 文臣 李秀彥의 활동과 黨派적 성격

        고수연(Ko, Soo Yeon)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2 No.-

        李秀彦(1636~1697)은 17세기 후반 老少分裂과 換局이 절정이던 시기 지역에 물러나 있지 않고 중앙 정치의 최전방에서 노론계 文臣으로 활동한 인물이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노론계인 문신 이수언의 正體性에 대하여 주목하여 이수언의 가문과 교유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수언의 출신지역인 충청도 청주지역은 송시열의 문인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던 군현이었고, 문인 중에서도 韓山李氏가 가장 많았다. 이수언은 예조판서까지 오르게 되면서 청주지역 한산이씨 문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인물로 자리잡았다. 또한 이수언은 송시열의 문인과 매우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끊임없이 교유하고 있었다. 과거 급제 후 중앙 관직에 나아간 이수언은 老論의 영수인 스승 송시열의 변호에 힘을 쏟았다. 이수언은 1674년(숙종 원)에 甲寅禮訟의 연장선상에서 송시열이 현종 지문 짓는 것을 반대한 南人郭世楗을 논척하다가 체직되었다. 노소분열이 한창이던 1687년(숙종 13)에는 懷尼是非의 연장선상에 있던 少論羅良佐의 상소에 대하여 논척하여, 나양좌가 유배를 가기도 하였다. 이수언은 노론계 문신의 변호도 도맡아 하였다. 사헌부 대사헌을 역임하는 등 주로 간관에 있었기 때문에 간언을 했겠지만, 그 방향은 언제나 철저하게 자파인 노론의 당론 관철과 노론 관료들의 변호였다. 이수언은 노론계 문신이자 송시열의 문인이었던 李徵明·閔鎭周·李選·李翔등을 구명하는 상소를 올렸고, 이로 인하여 1689년 己巳換局때 유배되기에 이른다. 甲戌換局으로 다시 관직에 올랐으나, 소론 吳道一을 논척하다가 또 좌천되었다. 이수언은 유배나 체직으로 지역에 물러나 있을 때에도 스승 송시열 제향서원 건립 및 추배, 문집 필사 등 스승의 추숭활동에 큰 역할을 하였다. 특히 1694년 수원 梅谷書院건립, 1695년 정읍 考巖書院건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1696년에는 양주 道峯書院에 송시열을 추향하고, 청주 華陽書院을 건립하는 것에도 힘을 쏟는다. 이러한 송시열 제향 및 추향서원의 건립과 활동은 스승의 추숭뿐아니라 노론의 지역세력 확대에도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이수언은 중앙 관직에 나아가서나 유배나 체직으로 지역에 물러나 있을 때도 모두 스승 송시열과 정치적 궤를 함께했다. 즉, 이수언은 송시열의 문인으로 관직에 나아가 예송, 노소분열, 환국이 있을 때마다 노론계 문신으로 적극 활약하였고, 관직에서 물러나서는 송시열의 추숭활동에 몰두한 17세기 후반 노론계 문신의 典型을 보여준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최수찬(Soo-Chan Choi),고수연(Soo-Yeon Ko),이지(Ji-Yeon Lee),이희종(Hee-Jo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8

        직장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갈등, 생활만족, 직무디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직장보육시설 여성근로자 1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정직장갈등(FWC)은 직무디스트레스(WDIS)에, 직무디스트레스(WDIS)는 직장가정갈등(WFC)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직장가정갈등(WFC)이 높아지면 생활만족(LS)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가정직장갈등(FWC)은 직무디스트레스(WDIS)를 통한 완전매개경로를 통해 생활만족(LS)에 영향을 미쳤고, 직장가정갈등(WFC)은 직무디스트레스(WIDS)가 생활만족(LS)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갈등이 갖는 양방향성(bi-direction)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생활만족(LS)과의 관계가 단순히 부정적이라고만 밝힌 기존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직장가정갈등(WFC), 가정직장갈등(FWC), 직무디스트레스(WDIS) 간의 관계를 구분하여 살펴 봄으로써, 각 갈등의 방향성에 따른 결과를 보다 명확히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연구대상이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여성근로자들로 한정되어 있어서 일반 여성 근로자들과의 비교를 통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role conflicts(WFC, FWC), work distress(WDIS), and life satisfaction(LS) for female workers using child daycare center in workplace. From the data of 137 female worker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at FWC on WDIS and WDIS on WFC were positive. It also demonstrated the degree of WFC was higher, the LS level was lower. The results revealed not only WDIS fully mediated between FWC and LS, but also WFC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IDS and LS. Compar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failed to tell the directions of work-family role conflicts on LS,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bi-directional work-family role conflicts in searching for causal relationships among WFC, FWC, WDIS, and LS. This study recommended further studies for comparing female workers using child daycare center in workplace or not.

      • KCI등재

        진천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의 내용과 특징

        김의환(Kim, Eui Hwan),고수연(Ko, Soo Yeon) 역사실학회 2018 역사와실학 Vol.66 No.-

        평산 신씨는 申磼 때 진천 논실에 입향한 이후 세거하면서 가문활동과 향촌사회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은 지역 사족들과 百源書院을 건립하였고, 1615년에는 신잡을 추숭하기 위해 老隱影堂을 건립하고 영정을 제작하였다. 1834년에는 申義養의 부인 청주 한씨의 정려를 건립하였으며, 여러 차례의 족보 간행과 함께 종계를 운영하는 등 다양하게 활동하였다. 이 가문은 신경진 · 신홍주 · 신헌 · 신정희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여 ‘將臣 가문’이 되었고, 관직 활동과 사회활동과 함께 이와 관련된 많은 자료를 남겼다. 2014년부터 2차에 걸친 자료조사 결과 확인된 평산 신씨 충헌공 문중에 소장된 고문서와 전적은 모두 1,106점이다. 신계 · 신항 · 신익 · 신대수 등 8대 220여년에 걸친 노비 소유 실태와 노비 가족의 존재양상을 보여주는 戶籍單子와 准戶口 51점이 있고, 신화국 · 신잡 · 신경희 · 신계 등 이 가문의 인물 18명이 관직에 임명되거나 증직되면서 받은 敎旨가 103점이 있다. 신대준과 신헌이 주변 인물들과 주고받은 다양한 내용의 간찰이 224점이며, 가문의 재산과 관련된 각종 明文(1569~1680)과 分財記(1580~1651)가 23점이다. 계약문서와 소송 문서가 각각 56점과 39점이 있으며, 종회 문서와 관혼상제 문서는 각각 26점과 49점이고, 각종 通文과 所志․立案 자료는 각각 16점과 11점이다. 그리고 혈족 사이의 위계질서와 유대를 강화하고 가문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기 위한 문집과 다양한 족보 등 많은 자료도 소장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고문서와 서책은 평산 신씨의 향촌사회 활동은 물론 당시 생활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더구나 호적단자와 분재기를 비롯하여 통문 · 계약문서 · 영수증 · 종회문서 · 관혼상제 문서 등은 진천 지역사는 물론 조선후기 사회상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According to two surveys since 2014, the collection of ancient documents and books owned by the Chunghungong family are 1,106 pieces. The household register, hojukdanja(戶籍單子) and junhogu(准戶口) are total 51 pieces which has showed the actual condition of ownership of slave and slave’s resident ways for two hundreds twenty years in eight generation, Shin Gye(申繼), Shin Hang(申恒), Shin IK(申日翼), Shin Dae-soo(申大脩), etc. Also, there are 103 appointment certifications for about 18 people including Shin Hwaguk, Shin Job, Shin Gyeounghui, Shin Gye, etc, who have been appointed or have been promoted in public office. There are 224 letters exchanged by Shin Dae-joon and Shin Hyun with nearby people and kinds of definite documents(明文) and inheritance documents(分財記) related to the family property are 23 pieces. The contracts and litigation documents are 56 pieces and 39 pieces respectively. Also, documents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and documents of family meeting are 26 pieces and 49 pieces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re are 16 pieces of kinds of interchanged documents(通文) and petitions(所志) and the issued certificate documents(立案) are 11 pieces. Beside them, there are a variety of collections and family trees. These various ancient documents and books are important materials for understanding activities of local society and the lifestyle of Pyeongsan Shin’s family. Moreover, the household register, hojukdanja, inheritance documents, the contracts and receipts, documents of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and documents of family meeting will be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social situat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history of Jincheon.

      • KCI등재후보

        고령은퇴남성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현정(Hyun Jeong Kim),고수연(Soo Yeon Ko),정희원(Hee Won Jung),이지선(Jee Sun Lee),임지영(Jee Young L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1 No.-

        고령화연구패널을 활용하여 60세 이상의 은퇴남성 1,38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고령은퇴남성의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 밝히고자 하였다. 장애 및 질병, 정신·신체기능, 생산적 활동의 위계적 관계를 설명한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모델을 근간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가 있는 경우는 없는 경우에 비해 삶의 만족도는 떨어지며 경험하는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장애 및 질병 요인의 경험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지기능이 낮을수록,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일상수행능력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며 특히 우울의 상대적 영향력은 다른 주요 변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활동의 내용에 따라 매우 상이하여 사회·경제적 관점의 기여와 그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을 모두 고려한 생산적 활동 촉진 전략이 필요하다. 끝으로, 장애 및 질병, 정신·신체기능, 생산적 활동의 세요인 중에서 특히, 정신·신체기능이 고령은퇴남성의 삶의 만족도를 설명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제도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the life satisfaction on the retired elderly males using the first year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5 males who are older than 60 years old and do not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d OLS Regression model based on Rowe and Kahn s Successful Aging Model which explains the hierarchical relations among disability and illness, mental and physical function, productive activities. The key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dependent variables for disability and illness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ability (-), number of chronic illness (-). Second, independent variables for mental and physical function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 depression (-), and IADL (-). Third, independent variables for productive activities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biggest change in R square is observed from the second model including variables of mental and physical function: factor of mental and physical func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facto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om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future reseach direction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진천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 조사의 내용과 성격

        김의환(Kim, Eui-hwan),고수연(Ko, Soo-yeon)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진천 평산 신씨가 소장한 고문서와 전적 222점을 검토하였다. 교지 90점, 호적단자와 준호구 51점, 명문과 분재기 23점, 가승류 9점, 기타 고문서 21점 등 고문서 194점을 확인하였고, 일기 · 문집 · 족보 등 28점의 전적도 조사하였다. 교지는 15명이 모두 90점을 남겼는데, 신잡의 교지가 39점으로 가장 많고, 신계의 교지는 18점, 신대수의 교지는 13점 등이다. 특히 신잡은 하루에도 두 번씩 여러 차례 교지를 받았으며, 임진왜란이라는 전쟁 상황 및 후손들의 공신 책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가문의 호적단자와 준호구는 모두 51점이다. 14명의 主戶가 1669년부터 1891년까지 8대 220여 년 동안 작성한 것이며, 호적단자가 46점이고, 준호구가 5점이다. 이것은 충청도에서 한 가문의 자료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이다. 이 자료는 호적의 작성과정과 기재양상은 물론 노비 소유 규모와 존재 양상 등 사회경제적 기반을 이해할 수 있다. 명문과 분재기는 23점이 확인되었다. 18점의 명문은 노비 매매 8점, 토지매매 7점, 토지와 노비의 동시 매매 1점, 노비쟁송 1점, 대지와 기와집 관련이 1점이다. 5점의 분재기는 가문의 재산 소유현황과 재산상속의 원리 및 그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가승류와 족보는 절첩인 세계와 요람 9점을 비롯하여 족보가 8점이 있고, 이 외의 고문서도 21점이 있다. 이 가운데 주목되는 것은 통문류 9점인데, 이것은 모두 신의양 부인인 청주 한씨가 순조 34년(1834)에 정려를 받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평산 신씨는 28점의 전적도 소장하고 있다. 신잡의 문집과 행적, 필적류, 사마방목, 과거시험용 경서 등이다. 1596년의 신잡 일기는 임진왜란 동안 기존의 경서 위에 행초서로 가필한 난중일기이다. 그리고 1546년 신화국의 생진과 입격자 명단인 사마방목도 있다. 평산 신씨 소장 고문서와 전적 222점을 조사하여 이들의 정치 · 사회 · 경제상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자료들과 함께 신홍주 · 신헌 · 신정희 · 신석희 · 신팔균 등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한다면, 가문의 위상은 물론 진천의 사회상과 정체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yeongsan Shin family in Jincheon has owned one hundred ninty four pieces antique documents and twenty eight books such as diaries, collection of personal works, family trees. Among them were ninty appointment certifications(敎旨), fifty one pieces household register and identification records, eighteen definite documents(明文) and five inheritance documents(分財記), nine brief family trees, etc. Ninty appointment certifications from fifteen persons were handed down ; thirty nine appointment certifications for Shin Jab, eighteen for Shin Gye. Shin Jab had received thirty nine appointment certifications, even twice a day due to his meritorious deeds during Japanese invasion in 1592. The household register, hojukdanja(戶籍單子) of Pyeongsan Shin are total 51 pieces and were recorded for two hundreds twenty years from 1669 to 1891 by fourteen persons. They ar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writing process of family trees, ownership of slave and slave’s resident ways. This family had owned all 1,463 slaves, 371 resident slaves(25.4%), 742 outside-resident slaves(50.7%) and 349 escaped slaves(23.9%). It had also eighteen definite documents which are eight slave dealing documents, seven land trading documents and one slave lawsuit document. Five inheritance documents are good materials to investigate the own status of family property, ways of property inheritance and its process. Besides, the family owns nine brief family trees, eight family trees and twenty one other old documents. Especially nine interchanged documents(通文類) were written in 1834, when the wife of Shin Ui Yang, Cheongju Han was honored to her filial duty. This clan owns also twenty eight books. Shin Jab’s collection of works, record of his personal history and career achievement, Samabangmok(司馬榜目), confucian scripture for state’s examination etc. are about twenty pieces. Especially the Shin Jab’s diary written at 1596 is remarkable for War Diary, which was written by hand on the scriptu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ne hundred ninty four pieces of archives and twenty eight books owned by Pyeongsan Shin clan are the important materials to inquire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 of the last two hundreds years.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diverse materials that related with the persons, wh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as Shin Hong Ju, Shin Hyeon, and Shin Jeong Hee. Such a study and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ke clear their activities and also make sure the area Jincheon identity.

      • KCI등재

        Amino Acid Complex의 항노화 작용

        김기호 ( Ki Ho Kim ),김기수 ( Ki Soo Kim ),김영희 ( Young Heui Kim ),고강일 ( Kang Ii Ko ),박선희 ( Sun Hee Park ),김진국 ( Jin Guk Kim ),최현진 ( Hyun Jin Chio ),고수연 ( Su Yeon Ko ),배윤주 ( Yoon-joo Bae ),김용민 ( Yong-min Kim 대한화장품학회 200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2 No.2

        피부 각질층내의 아미노산 조성비율과 유사한 조성비로 amino acid complex을 제조하고, 제조된 amino acid complex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생존율, TIMP-1 발현 증가율, 보습 및 각질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amino acid complex는 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로 우수한 보습력 및 보습유지효과와 ascorbic acid와 유사한 TIMP-1 발현량 증가로 주름 예방 및 개선에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각질량 감소 및 감소유지효과로 자극이 있는 AHA 대체 물질로의 가능성을 보였다. 따라서, amino acid complex는 다기능을 가진 노화방지 화장료 기능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mino acid complex was made with the composition of amino acids quite similar to that of stratum corneum on the skin.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mino acid complex on the skin as an active cosmetic ingredient, we measured cytotoxicity. TIMP-1 expression, moisturizing effect and the amount of horny substance. In cytotoxicity assay, amino acid complex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In moisturizing effect test using corneometer, it showed very good moisturizing effect. In TIMP-1 mRNA assay using RT-PCR, moo acid complex showed the increase of TIMP-1 expression, suggesting that amino acid complex have anti-wrinkle effect. Therefore, amino acid complex may be useful as an active ingredient for anti-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