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等學校 生物敎科書에 取扱된 植物의 分類에 關한 分析的 硏究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plants dealt in biology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s

        고석순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신교육과정에 의거 1990년에 개정 발행되어 사용되는 검인정 교과서인 과학 Ⅰ (상) 교과서 7종과 생물교과서 7종중 14종의 교과서에 취급된 식물을 분석한 것이다. 1. 과학 Ⅰ (상)과 생물교과서에서 취급한 식물은 11門 102 科 177屬 138種 35sp. 20 變種이었고 門別로는 Spermatophyta 51科 114屬 110種 3sp. 16變種으로 가장 많고 Euglenophyta 1科 1屬 1Sp. 로 가장 적었다. 2. 과학 Ⅰ (상) 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식물을 취급한 교과서는 'G' 교과서로써 55종류이며 'B' 교과서는 27종류로서 가장 적은 식물을 취급했다. 또한 생물교과서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식물을 취급한 교과서는 '사' 교과서로서 82종류이며 '마' 교과서가 46종류로서 가장 적은 식물을 취급하고 있었다. 3. 전체(14종) 교과서 중 옥수수, 소나무, 양파를 13종의 교과서가 취급했고 벼, 고사리를 14종의 교과서가 취급하여 가장 보편적인 식물로 다루고 있었다. 또 과학Ⅰ(상) 교과서 7종 모두 취급한 식물은 고사리, 미모사, 콩, 완두, 양파, 벼 5종이며, 생물교과서 7종에 모두 취급한 식물은 14종으로 생물교과서가 과학1(상)교과서보다 다양한 식물을 취급하고 있었다. 4. 과학 Ⅰ (상) 교과서 어느 한 교과서에만 취급한 식물을 보면 가장 많은 식물을 취급한 교과서는 'G' 교과서로서 16종류이며 가장 적은 종류를 취급한 교과서는 'B' 교과서로서 3종류이었다. 또 생물교과서에서는 '바' 교과서가 12종류로서 가장 많이 취급했고 '라' 교과서가 1종만을 취급하여 가장 적었다. 5. 과학 Ⅰ (상) 교과서에서 실험재료로 가장 많이 취급한 재료식물은 양파이었고 생물교과서에서는 검정말, 시금치, 콩을 가장 많이 실험재료로 취급하고 있었으며, 과학 Ⅰ (상) 교과서보다 생물교과서가 실험을 많이 다루고 있었다. 6. 부산에 自生하는 식물플랑크톤 및 海藻類는 203屬 527種 5sp. 23變種이며 이중에서 각 교과서에 취급한 것은 36屬 36種類이었다. 또 維管束植物은 3門 6綱 44目 140 科 545屬 1,068種 1亞種 185變種 30品種이며 이 중에서 각 교과서에서 취급한 維管屬植物은 2門 62屬 67種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plants dealt in 14 kinds of biology textbooks used by the high school student in Korea These books based upon a newly-revised curriculum were written in 1990. The textbooks comprise 7 kinds of high school science book I (vol. Ⅰ) and 7 kinds of high school biolog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plants dealt in the textbooks were Ⅱ divisions, 102 families, 177 genera, 138 species, 35 sp, and 20 varieties According to the category of division, the Spermatophyta was made up of 51 families, 114 genera, 110 species, 3sp, and 16 varieties, whereas, Euglenophyta was made up of 1 family, 1 genus, and 1 sp, The former was dealt the largest numbers and the latter dealt the smallest. 2. In the science textbook I s (vol. I ), textbook G dealt with the largest number of plants (55), while textbook B dealt with the smallest ones (27). In the biology textbook 'SA' dealt with the largest number of plants (82), and textbook 'MA' dealt with the smallest ones (46). 3. Among the 4 textbooks, all the books dealt with the plants of rice and bracken, and 13 books dealt with the plants of corn, pine tree, and onion, which were recognized as the most universal plants All the 7 volumes of science textbook I s (vol. Ⅰ) dealt with 6 kinds of plants such as bracken, mimosa, soybean, pea, onion, and rice, while the 7 volumes of biology textbooks dealt with 14 kinds of plants, which indicated that biology textbooks dealt with more various kinds of plants than the science textbook I s (vol. Ⅰ). 4. In the numbers of plants dealt by textbooks, textbook G dealt with the largest numbers of plant (16), and textbook 'BA' dealt with 12 kinds of plants. awhile textbook 'BA' dealt with the smallest one (3). Textbook 'RA' dealt with a particular plant only once. 5. In the point of dealt plants as experimental materials, Onion was dealt the most frequently in the science textbook I s (vol. I ), such waterweed, spinach, and soybean were in the biology textbooks This suggest that biology textbooks dealt more parts of botanical experiment than textbook I s (vol. Ⅰ). 6 . Among the 203 genera, 527 species, 5 sp, and 23 varieties of phytoplankton and seaweed growing wildly in Pusan area, 36 genera and 36 kinds were dealt in the 14 textbooks Also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growing naturally in Pusan area was 3 divisions, 6 classes, 140 families 545 genera, 1, 068 species, 1 subspecies, 185 varieties, and 30 forms, among them 2 divisions, 62 genera, and 67 species were dealt in the textbooks.

      • 중학교 도덕 교과에서의 죽음교육 내용 검토

        고석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법의학자는 직업의 특성상 수많은 죽음을 접하면서 ‘죽음’은 그 사람의 삶의 모습과 닮아있다는 사실을 전한다(유성호, 2019). 즉, 우리가 살면서 갖고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는 ‘삶의 태도’와 같다는 것이다. 캐나다 심리학자 폴 웡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해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는 자연스러운 수용(Natural acceptance)으로 삶의 마지막 과정이 죽음이기에 죽음을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뜻한다. 두 번째는 죽음은 삶의 중간과정으로(Approach acceptance)현재의 삶과 또 다른 세계가 죽음 이후에 있다고 믿는 것이다. 헌신적인 삶,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삶을 살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죽음 너머 다른 생이 있다는 믿음으로 현실을 사는 것이다. 세 번째는 죽음은 고통의 탈출(Escape acceptance)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삶이란 고통이며 죽음을 통해 자신의 고통스러운 현실을 벗어나는 것이다(유성호, 2019). 최근 우리 사회는 세 번째 태도를 취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2018년 통계청 기준 한국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 26.6명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이다. 죽음에 대한 태도에 따라 자신의 삶이 달라진다고 했을 때, 지금 우리 사회는 더 이상 죽음에 대한 논의를 미룰 수 없다. 196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죽음교육은 유럽과 아시아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생명존중교육, 자살예방교육, 나아가 죽음을 통한 삶의 성찰이라는 철학적 사유로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었다(이이정, 2016). 우리나라에서는 1973년 덕성여자대학교에서 죽음교육이 처음 시작되었다. 이후 1991년에는 각당복지재단에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해 왔으며, 노인이나 시한부 환자, 나아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2004년에는‘청소년 죽음준비교육 연구 위원회’를 발족하였고 2007년에는‘청소년에게 죽음준비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주제로 강연회를 열기도 하였다(각당복지재단, 2016; 이이정, 2016). 2020년 한국죽음교육협회가 창설되었으며 ‘죽음교육의 공교육화 방향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갖기도 하였다. 학교 현장에서도 죽음교육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특히, 도덕수업에서 죽음교육이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한다(정재걸 외, 2013). 모든 영역·교과에서 생명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그 중심에는 도덕수업이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자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죽음’을 의식하는 것이야말로 지금 자신이 살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존엄하고 소중한 일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죽음교육은 단순히 죽음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문제이며, 생명의 문제이다. 더 나은 삶을 위한 죽음교육, 삶을 성찰하기 위한 죽음교육, 자신의 삶을 완성하기 위한 죽음교육 등, 죽음이 삶을 각성하게 하는 강력한 모티브인 것이다(정재걸 외, 2013). 죽음교육이 진정한 삶의 의미를 성찰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자아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더 절실하게 필요한 교육이다.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교육과정에서 진행되어져야 한다. 학교 폭력과 청소년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2012년부터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자살예방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자살예방교육도 죽음교육의 중요한 구성 내용 중 하나이다. 그러나 자살예방교육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죽음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위한 철학적 탐구, 죽음이 주는 슬픔을 올바르게 승화시키기 위한 비탄교육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죽음교육이 올바르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도덕 교과 내에서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죽음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진척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현행 도덕 수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죽음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죽음교육의 목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Deeken(1996)은 4가지 차원, 즉 인지차원, 정서차원, 가치차원, 행동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도덕 교과 내용의 구성은 이 4가지 영역에 근거해서 그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또 현재까지 보고된 중학생 대상의 죽음교육 프로그램 선행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을 위한 죽음교육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