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를 통한 인격적 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고미숙(Ko Mi-Su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는 인격적 관계 형성과 관련하여 FtF 커뮤니케이 션(face-to-face communication) 보다 열등한 것으로 이해되고, 관계 형성이 불가능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CMC가 우리의 일상생활이 되어가고 있는 지금, 어떻게 하면 CMC가 인격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CMC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최 대한으로 보완하고, 인격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교육을 체현과 정서의 철학을 바탕으로 하여 제시하였다. CMC는 사이버 몸을 통한 체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현존감 을 준다. 메를로-퐁티의 살의 가역성은 인격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토대로서 자기 객관화 및 관계적이고 체현된 주체로서의 윤리적 주체를 인식시킨다. CMC에서 정서는 정서적인 애 착 및 유대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는 텍스트적, 아바타적인 도덕적 감정이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격적 관계 형성을 위한 CMC 교육 방안으로 주체에 대한 새로 운 인식과 메타적 능력 등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understood that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s somewhat inferior to face-to-face communication in forming personal relationships or cannot make personal relationships at all. However, CMC is more and more becoming our daily life. Then, how can we make 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MC? This research suggested an educational plan for forming 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MC based on the philosophy of emotion and embodiment. CMC is an embodied activity by avatar, cyberbody and text. Embodiment enhances the experience of social presence. Merleau-Ponty's notion of reversibility of flesh can consider self-reflection, an interweaving of self and other, and ethics of embodied subjectivity. Human being, machine and the world are connected with one another in the webs of relationships and thus are interdependent. I suggested emotional intimacy and bond as functions of emotion in CMC. This research proposed some suggestions about what kind of education would be required to make 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MC: new understanding on subjectivity, moral empathy, emotional bond through digital narrative and cultivation of meta-ability.

      • KCI등재

        배려받는 자의 윤리

        고미숙 ( Mi Suk Ko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0 No.1

        배려 관계는 배려하는 자와 배려받는 자의 만남으로 이해되었지만, 배려하는 자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고 배려받는 자는 배려하는 자의 배려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존재로 간주되었다. 배려하는 자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존재인 반면, 배려받는 자는 취약하고 의존적인 존재라는 이분법적인 사유가 자율성을 중시하는 사회 속에서 배려받는 자를 경시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배려받는 자에 대한 편견은 배려하는 자의 배려가 완성되지 못하도록 만들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배려받는 자에 대한 오해는 무엇이며, 배려받는 자가 갖추어야 할 윤리는 무엇인지, 배려받는 자를 위한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탐구해 보았다. 인간의 취약성과 의존성은 배려받는 자만이 아닌 모든 인간의 조건이며, 이에 모든 인간은 배려가 필요하고 배려를 해야 하는 존재이다. 배려받는 자의 윤리로서 윤리적 응답과 자기 배려를 제시하였다. 배려받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배려받는 자의 경험과 목소리가 들려질 수 있는 내러티브와 대화의 방법을 사용하고, 배려하는 자와 배려받는 자의 배려 방식 간에 조정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덕적인 관점에서 배려 경험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적절하지 못한 배려를 인식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Although caring relation is the meeting between the carer and the cared-for, it has been regarded as the central role of carer and the passive role of cared-for, the carer independent-autonomous and the cared-for vulnerable-dependent. The dichotomy is related to the disdain on the cared-for in the society of autonomy. The prejudices on the cared-for make impossible the completion of caring. My question is that what are misunderstandings on the cared-for?, what are the ethics of the cared-for?, how can we learn to be the cared-for? Human vulnerability and dependence are conditions of our humanity, not only of the cared-for. I suggested the ethical responsiveness and care of self as the ethics of cared-for, the experiences and voices of the cared-for which can be heard through narrative and dialogue, how to mediate the differences on opinions of caring between the carer and the cared-for. Also, we should develop the critical reflection on our caring experiences and the capacity for awareness on improper caring in moral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몸의 의미

        고미숙 ( Mi Suk K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39

        본 연구의 목적은 몸과 마음의 이분법에 대해 비판하고 몸이 도덕교육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교육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현 시대는 몸이 중요한 주제로서 다루어지고 있으나 몸은 오랫동안 도덕교육에서 소외되어 왔다. 그 이유는 몸이 감각, 감정, 욕망 등과 관련되어 있어 진리를 탐구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몸은 생물학적 몸, 감각하는 몸, 생각하는 몸,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몸 등 종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는 몸으로 존재하고 몸으로 도덕적인 상황을 지각하고 앎을 얻으며 몸으로 도덕적 실천을 한다. 그리하여 몸은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야 하고 몸의 의미를 되살려야 한다.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몸에 대한 부정적관점으로 『파이돈』에 나타난 도덕적 타락의 상징이 되는 몸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았고, 몸에 대한 긍정적 관점으로 유가적 접근의 수신(修身)을 통해 도덕적 몸이 가능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양자를 넘어서, 몸을 도덕적 주체로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몸은 마음에서의 도덕적 사유를 단지 실천하는 기관으로 이해될 것이 아니라 몸도 도덕적으로 생각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덕교육에서 몸에 대한 관점은 암묵적이고 비인지적인 몸의 도덕적 경험을 활성화하는 방식, 몸의 촉감과 느낌을 되살리고 도덕적 욕망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mind and body dualism and examine the meaning and education of body in moral education. In modern times, body is an important theme but body in moral education has long been ignored. Because body as a material thing was considered as the cause of sense, feeling, desire and the obstacle in pursuit of truth. However, body should be understood by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body as biological organism, the body as bearer of sensation, thinking body, social and cultural body. We are our bodies, aware of moral situation through body and acquire the knowing of moral practice with body. Therefore, we should revive the meaning of body in moral education. I have studied the negative perspective of body as the symbol of moral corruption in moral education through Phaidon and the positive perspective of body as the possibility of moral body through moral cultivation(修身) of Confucian perspective. We need to recognize the moral subject of body. Moral thinking takes place in the body through moral experience. Body is not the tool of moral thinking in the mind.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body in moral education is the activation of tacit and pre-cognitive moral experience of body, the recovery of touch and feeling of body and recognizing of moral desire.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습관의 의미

        고미숙(Ko Mi-Su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7

        습관은 자동적으로 반복되는 고정된 행동방식으로 이해되어 왔다. 이러한 습관에 대한 전통적 관점은 습관이 갖고 있는 지적인 측면, 정의적ㆍ태도적 측면, 인간의 능동적 측면, 인간의 성장이라는 부분을 간과하는 문제를 낳는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 관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듀이와 메를로-퐁티의 습관의 관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도덕교육에서 습관의 의미와 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듀이에게 습관은 유기체와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과정 속에서 환경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행동방식이며, 메를로-퐁티에게 습관은 몸이 세계에 대한 이해를 습득하게 될 때 형성된다고 본다. 이들은 습관을 행동적 측면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이자 이해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들 간에도 차이는 있다. 메를로-퐁티는 습관을 선반성적이고 선인지적인 측면으로 보지만, 듀이는 지성적인 습관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습관의 의미를 토대로 할 때, 도덕교육에서는 학생들이 기존의 습관을 반성할 기회를 주어 선반성적인 습관을 인식하도록 하고, 상상력을 통해 가설적 도덕적 습관을 구성하며, 직접 실천해 봄으로써 도덕적 습관을 형성하고, 또 행위를 하는 과정 중에 반성을 통해 도덕적 습관을 정교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Habit has been understood as a routine, repeated, and automatic way of behaving. The traditional view neglects an intelligent aspect, an emotional and attitudinal aspect, an active aspect of learner, and a continued growth of being. I suggested the concept of habit,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habit in moral education based on Dewey and Merleau-Ponty. For Dewey, habit is the effective control of the environment in an interaction between organism and environment. Also, for Merleau-Ponty, habit is formed when body understands the significance of world. They have some differences. Merleau-Ponty thinks habit as pre-reflective and pre-cognitive, but Dewey emphasizes an intelligent habit. I suggested the reflection on pre-reflective habit as well as intelligence in habit to form moral habit. Also, I suggested constructing the hypothetical moral habit through imagination, forming the moral habits by practice and reflection-in-action.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통합

        고미숙(Ko Mi 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교육에서 정(情) 윤리와 정의(justice) 윤리가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 및 방향을 탐구해 보는 것이다. 정있는 인간은 정의롭지 못하고, 정의로운 인간은 정이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정의로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정이 배제될 것이 아니라 정이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정 관계의 상대방에 대한 유대감과 애착은 자발적으로 상대방의 복지를 추구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는 것이 정있는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는 생각 하에서,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기 위한 방향을 탐구하였다. 첫째, 정 윤리와 정의 윤리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둘째,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분리에 대한 문제점은 무엇이고, 통합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셋째, 도덕교육에서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통합하기 위한 원리는 무엇인가? 정 윤리와 정의 윤리는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윤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서로를 필요로 한다. 정 윤리와 정의 윤리의 통합의 원리는 좋은 삶의 추구이다. 좋은 삶은 다른 존재와 더불어 행복하게 잘 사는 삶이고, 정 윤리나 정의 윤리 역시 이러한 삶을 추구하는 방향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정 윤리와 정의 윤리를 매개짓는 연결고리로서 정서, 특히 도덕적 정서의 역할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for integration between the ethic of Cheong(情) and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erson with Cheong is unjust and the person with justice has no Cheong. But we need Cheong for just society. People within Cheong-relation pursue others well-being spontaneous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an integration between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For more details, first,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of the perspective of incompatibility with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and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between them? Third, what is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n moral education? Cheong and justice are not contrary to each other but need each other.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is the pursuit of the good life. The good life is the life of well-being with others. I suggest the role of emotion, particularly moral emotion as the connecting link of the ethic of Cheong and the ethic of justice.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공적 행복의 의미

        고미숙(Mi-Suk Ko)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적 행복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적 행복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현 시대는 행복 추구의 시대라고 말할 정도로 개인의 사적 행복이 강조되고 있다. 행복의 의미를 개인의 심리적이고 사적인 측면으로만 이해하고 행복의 공적 측면을 무시하게 될 때, 사회 전체의 공적인 문제는 사람들의 관심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것이다. 아렌트에게는 공적 행복을 경험하지 못하면, 행복에 이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신의 정체성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공적 행복의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더 나아가서, 공적 행복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 공적 영역, 함께 참여함, 공적 감정, 공공선과 같은 4가지 요소들을 다루었다. 또한 공적 행복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기 위해서 공적 행복을 경험하는 장으로서 학교의 역할과 공적 공간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함께 살고 타인과 협력하며 사는 공적 존재로서의 도덕적 인간,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한 공적 참여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public happiness and the implication of its happiness in mor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rivate happiness of individual is being emphasized like the era of the pursuit of happiness. When we make light of the public happiness and understand it in psychological, private aspects of individual, we do not have the concern about public matters of society. For Arendt, if we do not experience the public happiness, we have the difficulty of identity as well as pursuit of happiness. My idea is based on the view of public happiness of Arendt but I tried to search the meaning of public happiness with 4 components(public sphere, participating together, public feelings, public goo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 happiness. Also, I suggested the school for the experience of public happiness, the moral public being living with oneself and living in concert with others in creating public space together, and the affective aspects of public participation for the implication of public happiness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인성교육에서 역량 접근에 대한 비판과 역량잠재성 접근의 대안적 가능성

        고미숙(Ko, Mi-Su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7

        현 사회에서 역량은 학문적으로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도 경쟁력있는 인간이 되기 위해서 길러져야 하는 핵심능력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것은 인성교육에서도 마찬가지어서 인성 역량이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역량 접근을 비판적으로 인식하여 역량과 역량잠재성의 개념을 구분지어 이해하고, 역량이 아닌 역량잠재성 접근으로 인성교육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역량 접근은 사회의 복잡한 요구 및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내는 능력으로서 기능적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역량잠재성 접근은 인간이 존엄한 삶을 살기 위해 발달시켜야 하는 선택의 기회, 자유로서 규범적으로 이해된다. 인성교육에서 역량 접근은 수행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인성을 개인적인 성공의 도구로 간주하는 과정 속에서 인성의 본질적 의미를 놓칠 수 있다. 역량잠재성 접근은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 역량잠재성의 발달을 권리이자 도덕적인 문제로 이해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역량과 역량잠재성의 개념을 탐구하고, 인성교육에서 역량 접근의 한계와 역량잠재성 접근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In modern society, the competence is regarded as the core ability to cultivate for a human being to be a competitive person,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his situation is the same in humanity education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humanity competence. But I considered the necessity of a distinction between competence and capability approach by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e approach, an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capability approach, not competence approach in humanity education. The competence approach can be understand in aspect of functioning as the ability to perform successfully the complex demand and task in society. But capability approach normatively can be considered as the opportunity of choice, freedom to develop with a purpose to live a life as dignified human being. The competence approach in humanity education has the merit to cultivate performance ability but can lose the essential meaning of humanity because of the humanity considered as the instrument for individual success. The capability approach see capability as the moral thing and the right which should be developed to live a humane life. I studied the concept of competence and capability, limits of competence approach and the possibility of capability approach in humanity education.

      • KCI등재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

        고미숙(Ko, Mi-Suk)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1

        In this article, I studied the mor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based on humanistic psychology and ecological philosophy. Self-actualization means actualizing one’s potentialities, it has come to be regarded as the goal of education for a long time. But self-realization have missed the moral meaning by approaching through mainly individualistic, psychological and talented aspects. Although a person has the opportunities to use more one’s talents, possibilities, capacities and potentialities, the person can be impersonal and immoral being. To solve the problem, we need to recover the mor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Self-actualization of humanistic psychology has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to be that self which one truly is’ in addition to actualization of potentialities. Deep ecologist, Naess understands self-realization as the realization of the comprehensive, widening and deepening Self through identification. The ecological self shows the altruistic behavior based on inclination. Humanistic psychology emphasizes the individual self-actualization by means of individualism and autonomy but ecological philosophy stresses the ecological Self-realization based on interdependence of all kinds of beings. Despite their differences, they understand self-realization as a matter of being. Self-realizing person can be moral naturally. To recover the moral meaning of self-realization, we should consider the ontological self-realization, ecological thinking, aesthetic and emotional experiences, authenticity. 본 연구는 인본주의 심리학과 생태주의 철학을 토대로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를 탐구해 보았다. 자아실현은 인간의 잠재된 능력이나 가능성에 대한 최대한의 실현이라는 차원에서 오랫동안 교육목적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자아실현이 주로 개인적, 심리적, 능력적 측면에서 접근되는 과정 속에서 도덕적인 의미는 퇴색되어 왔다. 그리하여 인간의 잠재 능력은 실현되고 있지만, 비인격적인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잠재성의 실현이라는 의미 이외에도, 진정한 자기가 되는 존재적 측면을 주장한다. 심층생태론자인 네스는 자아실현의 의미에 대해 동일시를 통해 포괄적이고 더 넓고 더 깊은 자아가 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생태적 자기는 성향에 근거한 이타적인 행위를 드러낸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개인주의와 자율성에 바탕을 둔 개인적 자아실현에, 생태주의 철학은 모든 존재의 상호의존성에 바탕을 둔 생태적 자아실현을 주장하지만, 양자는 근본적으로 자아실현을 존재의 문제로 이해하고, 자아실현인은 자연스럽게 도덕적인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자아실현의 도덕적 의미를 회복하기 위해서 존재론적 자아실현을 제안하며, 이는 생태적 사유, 미적․정의적 경험, 본래성의 특징을 지닌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 생활 적응

        고미숙(Mi-Suk K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3개의 4년제 간호대학 1, 2학년 학생이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4년 10월 27일부터 11월 7일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β=.431, p<.001), 자아탄력성(β=.225, p<.001), 전공만족도(β=-.178, p=.002), 학교성적(β=.170 p=.002), 대인관계(β=.167, p=.003), 성별(β=-.167 p=.003)로 53.9%의 설명력을 보였고, 감성지능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감성지능과 자아탄력성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커리큘럼과 함께 전공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외 활동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158 freshmen & sophomores attending three nursing colleg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7 to November 7, 2014,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college adjustment with ego-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rategies. In addition emotional intelligence, ego-resilience, school record,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personal relations, gender accounted for 53.9% of variance in college adjustment. The strongest predictor of college adjustment was emotional intellig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is important to college adjust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gram to integrate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