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Inclusion) 담론’에서 장애와 영재성 공존의 교육적 의미

        고다현(Dahyun Ko),조상식(Sang-Sik Cho),이효정(Hyojung Lee) 한국교육철학회 2022 교육철학 Vol.83 No.-

        This study explains why twice-exceptional children of disability and giftedness were imcompatible under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Governmentality made person productive for power, and in terms of productivity, the expectations of disabled and gifted students were considered different. Gifted students were understood as individuals with high performance and viewed as objects that contributed to society. On the other hand, disabled students were recognized for the legitimacy of education in terms of productivity development. In terms of productivity, giftedness and disability could not be personalities for one person. However, education have to move toward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twice-exceptional children and expanding the scope of support. Thus it is important to find out what the emergency of twice exceptional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giftedness means in governmentality. It is also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ong with the discussion including all. In governmentality there is a limit to simply understanding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through labeling. Therefore, this paper concludes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 of intersectiona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twice-exceptional child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 KCI등재

        칸트의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 개념의 도덕교육적 함의

        고다현(Ko, Dahyun),박재성(Park, Jaesung),이현우(Lee, Hyeonwoo),조상식(Cho, Sang-Sik)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2

        흔히 전인교육 또는 도덕성 발달과 같은 의미에서 사용되는 Bildung은 독일 낭만주의자들에 의해 심미적으로 수용되어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Bildung의 개념상 특징은 칸트의「판단력비판」에 분명히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핵심이 되는 부분은 §59절에 나타난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이다. 이 절에 이르러 미감적 판단력과 도덕성의 상징 관계가 명시적으로 언급되는데, 이러한 점에서 선과 미의 상징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학적 시각에서 「판단력비판」을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토대로 칸트의 「판단력비판」에 나타난 취미판단과 숭고의 성격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양자가 인간 내면에 불러일으키는 것은 무엇이며 이것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더 나아가 이것들이 도덕성과 어떠한 상징관계를 맺는지 파악하였다. 이후 이러한 작업을 통해 파악한 취미판단, 숭고, 그리고 미와 도덕성의 상징관계를 도덕교육에 적용하여 칸트의 윤리성의 상징으로서 미의 원리적, 실천적 가능성과 함께 그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The concept of ‘Bildung’ which was taken aesthetically by the philosophical trends of German romanticism, is found in Kant’s Critique of Aesthetic Judgment. He articulates this on the §59 of the writing, titled as ‘About beauty as the symbol of the morally good.’ The fact that the role of the aesthetic judgment is clarified on the same section by the reference of the morally good, urges a need for researching the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the beauty and the morally good which is presented widely in the writing. In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that what the characters of the judgment of beauty and sublime are, how those make human abilities work, and how the two aesthetic judgments are symbolically associated with the morally good. Finally, by synthesizing the findings, the possibilities of moral education are discusse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while the limitations of it are also ment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